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데이터센터 임대를 취소(2024.02.24)
2025.02.24
Here is the TD data center note that has everyone buzzing | Forexlive
QUICK TAKE: INDUSTRY UPDATE CHANNEL CHECKS INDICATE U.S. DATA CENTER LEASE CANCELLATIONS BY MICROSOFT
채널 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데이터센터 임대를 취소한 것으로 나타남
Our channel checks indicate that MSFT has 1) cancelled leases in the U.S. totaling “a couple of hundred MWs" with at least two private data center operators,
2) has pulled back on the conversion of SOQ’s to leases,
and 3) has re-allocated a considerable portion of its international spend to the U.S.
When coupled with our prior channel checks, it points to a potential oversupply position for MSFT.
우리의 채널 조사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 내 최소 두 개의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와의 임대 계약을 취소했으며, 총 "수백 메가와트(MW)" 규모의 용량이 포함됨.
- SOQ(Statement of Qualifications,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의 사전 단계)에서 정식 임대 계약으로의 전환을 보류함.
- 국제 시장에 할당했던 상당한 예산을 미국으로 재배정함.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가 이전에 파악한 채널 조사 결과와 결합했을 때, 마이크로소프트가 데이터센터 용량 초과 문제를 겪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Our Channel Checks Indicate Microsoft Has Cancelled Select U.S. Data Center Leases And Has Pullback On SOQ To Lease Conversion;
마이크로소프트, 미국 내 일부 데이터센터 임대 취소 및 SOQ 전환 보류, 국제 시장 확장도 축소
Pulls Back On International Market Expansion Our recent channel checks indicate that Microsoft has terminated select leases with at least two private data center operators across multiple U.S. markets to the tune of “a couple of hundred MW".
최근 채널 조사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미국 내 여러 시장에서 최소 두 개의 민간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와의 특정 임대 계약을 해지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총 규모는 "수백 메가와트(MW)" 수준입니다.
Our checks indicate that in some situations, Microsoft is using facility/power delays as a justification for the termination.
일부 사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시설 및 전력 공급 지연을 계약 해지의 이유로 내세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Recall, as we highlighted in our 2023 Takeaways from PTC, this is the same tactic that Meta used to cancel multiple data center leases in the U.S. after we learned in our checks that Meta had then cancelled a $4B capex program related to the metaverse (Meta subsequently cut its capex guidance by $4B two weeks later).
우리는 2023년 PTC 보고서(Takeaways from PTC) 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당시 메타(Meta) 역시 미국 내 여러 데이터센터 임대를 취소했으며, 그 배경에는 메타버스 관련 40억 달러 규모의 자본 지출(capex) 프로그램 철회가 있었습니다. 이후 메타는 공식적으로 40억 달러의 자본 지출 가이던스를 축소했습니다.
Separately, our channel checks suggest that Microsoft has also pulled back on converting negotiated and signed Statement of Qualifications (SOQ’s) (the pre-cursor to a data center lease) into signed leases.
추가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SOQ(임대 계약 체결 전 단계의 자격 심사 문서)를 정식 임대 계약으로 전환하는 것을 보류한 것으로 보입니다.
To this point, it is currently unclear to us if this is simply a delay in SOQ to lease conversion, or if it is an outright termination of the SOQ with no conversion to leasing expected. For context, based on our checks, an SOQ sets forth the terms and conditions for the lease and does not constitute a lease agreement, however the conversion rate of SOQ’s into a signed lease is close to 100%, with data center operators using this as the signal to start data center construction.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이는 단순한 전환 지연인지 아니면 SOQ의 완전한 종료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SOQ는 임대 계약의 조건을 설정하는 문서이며, 공식적인 임대 계약은 아니지만, 실제 전환율은
거의 100%에 달하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운영업체들은 이를 신호로 삼아 데이터센터 건설을 시작합니다.
In addition, our channel checks indicate that Microsoft is also re-allocating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ir projected international spend to the U.S. which suggests to us a material slowdown in international leasing.
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국제 시장에서 계획했던 예산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재배정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국제 임대 시장의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Why Is This Happening?
While we have yet to get the level of color via our channel checks that we would like into why this is occurring, our initial reaction is that this is tied to Microsoft potentially being in an oversupply position.
현재까지 우리가 확보한 채널 조사 정보만으로는 명확한 이유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우리의 초기 해석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데이터센터 용량 초과(Oversupply) 문제를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As we highlighted in our recent takeaways from PTC, we learned via our channel checks that Microsoft
1) walked away from multiple +100MW deals in multiple markets that were in early/mid-stages of negotiations,
2) let +1GW of LOI's on larger footprint sites expire,
and 3) walked away from at least five land parcels that it had under contract in multiple Tier 1 markets.
PTC 보고서에서 우리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 여러 시장에서 협상이 진행 중이거나 초기 단계에 있던 100MW 이상의 계약을 다수 포기함.
- 1GW(기가와트) 이상의 대형 부지에 대한 LOI(Letter of Intent, 의향서)를 만료시킴.
- 미국 내 Tier 1 시장(대도시 및 핵심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최소 5개의 토지 계약을 포기함.
At the time, we also highlighted that the magnitude of both potential data center capacity it walked away from and the decision to pull back on land acquisition (which supports core long-term capacity growth) in our view indicates the loss of a major demand signal that Microsoft was originally responding to and that we believed the shift in their appetite for capacity is tied to OpenAI, which recent press reports appear to confirm.
이러한 움직임은 데이터센터 용량 증가 계획의 주요 수요 신호를 잃었음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 변화가 오픈AI(OpenAI) 와의 협력 변화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최근 언론 보도(Press Reports) 역시 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To that point, consider this, Microsoft was the most active lessee of capacity in 2023 and 1H24, at which time it was procuring capacity relative to a capacity forecast that contemplated incremental OpenAI workloads.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2023년 및 2024년 상반기(1H24) 동안 가장 적극적인 데이터센터 임대 기업이었으며, 당시 오픈AI 관련 추가 워크로드를 고려한 용량 확보 전략을 추진하고 있었습니다.
However, as we believe is indicated by its decision to pause construction on a data center in Wisconsin which our prior channel checks indicated was to support OpenAI, there is capacity that it has likely procured, particularly in areas where capacity is not fungible to cloud, where the company may have excess data center capacity relative to its new forecast.
하지만 최근 위스콘신(Wisconsin)에서 계획된 데이터센터 건설이 중단된 것은 오픈AI와의 협력을 위한 용량 확보 계획이 조정되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데이터센터 용량이 클라우드 서비스용으로 전환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새로운 수요 예측에 따라 초과 용량을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This is our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however, our view is subject to change as we conduct incremental channel checks.
현재까지의 해석은 우리가 확보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것이며, 향후 추가적인 채널 조사를 통해 상황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