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과 삼성증권, SK하이닉스 목표가 34만원으로 상향(2025.06.25)
2025.06.25
■목표주가 340,000원으로 상향
KB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340,000원 (12M forward P/B 2.0X, P/E 7.0X)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
목표주가 상향은 ① HBM3E 12단 출하 본격화에 따른 제품 믹스 개선 효과로 하이엔드 중심의 DRAM 수익성 개선이 지속되고,
② 두 자릿수 ASP 상승이 가능한 HBM4에서도 시장 지배력 강화로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실적 창출이 예상되며,
③ 범용 메모리의 경우 감산 및 선단 공정 전환에 따른 웨이퍼 투입 감소와 공급 축소 효과로 하반기 범용 메모리 가격이 안정 추세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25년, 2026년 SK하이닉스 영업이익을 38.4조원, 45.1조원으로 상향 수정하였다.
■2분기 추정 영업이익 9조원, +65% YoY
2분기 실적은 매출 20.5조원 (+16% QoQ, +25% YoY), 영업이익 9.04조원 (+22% QoQ, +65% YoY, OPM 44.1%)으로 추정되어 컨센서스 영업이익 (8.8조원)을 상회할 전망이다. 2분기 부문별 영업이익은 DRAM 8.96조원 (B/G +11%, ASP +5%, OPM 54.8%), NAND 0.08조원 (B/G +24%, ASP -2%, OPM 2.1%)으로 예상된다.
특히 3분기 실적은 매출 23조원 (+12% QoQ, +31% YoY), 영업이익 10.4조원 (+16% QoQ, +49% YoY, OPM 45.4%)으로 분기 영업이익 10조원을 시현하며 4분기까지 증익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2025년 추정 영업이익 38.4조원, +64% YoY
2025년 실적은 매출 86.4조원 (+31% YoY), 영업이익 38.4조원 (+64% YoY, OPM 44.4%)으로 예상되고, 2026년 영업이익은 45.1조원 (+17% YoY, OPM 44.6%)으로 추정되어 향후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
특히 올해 DRAM 부문은 HBM 매출 비중이 47%로 예상되어 실적 변동성 완화와 안정적 실적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반도체 업종은 품목별 관세 부과 가능성과 상반기 메모리 반도체 선행 구매 집중 등으로 하반기 수요 불확실성은 다소 상존하지만, 향후 SK하이닉스는 실적 차별화로 경쟁력 격차를 나타낼 전망이다.
-----------------------------
HBM4는 커스터마이징(주문형) 메모리가 되므로 재고 걱정이 없게 됩니다.
즉 주문을 받아 생산하는 파운드리 같은 구조가 됩니다.
---------------------------
2025.06.27 한화증권
지금까지는 멀티플의 정상화. 이젠 내년 성장을 바라볼 때
2Q25 Preview : 높은 기대치 부합 예상
2Q25 예상실적은 매출액 20.8조원(+18% QoQ), 영업이익 9.0조원 (+23% QoQ)으로 환율 하락에 따른 부정적 환 효과에도 불구 시장의 높은 기대치에 부합하는 우수한 실적 달성 예상.
HBM3E 12단 매출의 본격적인 확대가 핵심. GB300향 공급이 본격화됨에 따라 전체 HBM 내 3E 12단 제품의 출하 비중은 50%를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1Q25 약 25% 수준).
또한 컨벤셔널 디램 수요도 고객사들의 선제적인 재고 비축 수요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는 좋았을 것.
이에 따라 디램 출하량 은 기존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14% 증가, Blended ASP는 +5% 상승 예상. 한편, 낸드도 전분기 낮은 기저효과로 인해 출하 증가율은 +25% 수준, Mix 개선에 따라 Blended ASP도 소폭 상승함에 따라 흑자 기조 유지 전망.
하반기는 선두의 품격을 재확인하는 구간
하반기 동사의 영업이익 규모는 21.4조원(3Q25 10.5조원, 4Q25 11.0조 원)으로 증가 전망.
HBM3E 12단 판매 추가 확대에 따른 Mix 개선 효 과가 지속되고,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노출도가 낮으나 컨벤셔널 디 램(D4 종산, D5 생산 제약 영향) 가격 강세도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 .
또한 내년 HBM 시장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반영될 수 있는 시기. 내년 HBM 시장은 후발주자들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사실상 동사의 독주 체제가 지속된 올해 대비 경쟁 강도는 심화될 수 있으나, 시장 성장 이 충분히 가파르며(올해 228억 Gb, 내년 357억 Gb), 선두 업체로써 의 주도권도 지속 유지된다는 점에 무게를 둘 필요.
당사는 동사의 HBM 출하량이 올해 약 122억 Gb에서 내년 172억 Gb 수준으로 증 가할 것으로 예상.
목표주가 36만원으로 상향
최근 동사의 주가 상승은 그간 비정상적이었던 멀티플 저평가 국면이 정상화되는 구간. 지금부터는 내년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반 영될 수 있는 시기.
이를 고려해 목표주가 산정 기준을 올해 예상 BPS 에서 내년 예상 BPS로 변경. Taget P/B는 1.9X 적용.
이에 따라 목표주 가를 기존 29만원에서 36만원으로 +24% 상향. 매수의견 유지
(주석:한화증권 리포트에서는 2025년1분기 디램 매출이 하이닉스 전체 매출의 78%라고 적었으나,
실제로 하이닉스의 실적발표에서는 80%였다. 리포트의 오류로 보인다.)
--------------------------------
2025.06.24
메모리 3개업체들은 기존 DDR4 생산은 단종하기로 하고, 공급이 부족한 HBM 생산 라인는 증설하기 때문에
레거시 메모리 가격이 급등하고 있고, 낸드는 기판 공급 부족으로 하반기에도 상승이 예상되는 등
모든 메모리 가격 상승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HBM capacity crunch triggers price surge in DDR5 and VRAM markets
HBM capacity crunch triggers price surge in DDR5 and VRAM markets
HBM 공급난, DDR5·VRAM 가격 급등 초래
Rising demand for AI servers is forcing memory makers to shift their production priorities, sending shockwaves through the semiconductor supply chain. As manufacturers focus more on High Bandwidth Memory (HBM), prices for DDR4 modules have spiked sharply,...
AI 서버 수요 급증에 메모리 생산 우선순위 조정…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충격파
AI 서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메모리 제조업체들이 생산 우선순위를 고대역폭 메모리(HBM)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파장이 일고 있으며, DDR4 모듈의 가격은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현대차 증권 SK하이닉스 리포트 주요내용(2025.06.26)
현대차증권에서 SK하이닉스(000660)에 대해 '6개월 목표주가를 280,000원 (25년 예상 지배주주 BPS에 Target P/B 2배 적용)에서 325,000원 (25년 예상 지배주주 BPS에 Target P/B 2.3배 적용, HBM성장성에 대한 Conviction을 가졌던 24년 2분기 P/B에 10% 할증)으로 상향하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
동사의 2분기 DRAM과 NAND Bit Growth는 관세 부과 전 고객사들의 Pull In 수요에 힘입어 기존 추정치를 상회하는 DRAM 13.7%, NAND 24.0%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다만, 현물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DDR4와는 달리 동사의 주력 제품인 DDR5의 가격 상승 폭은 시장 기대보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전망을 상회하는 원화가치 상승으로 인해 2분기 매출액은 기존 추정치와 유사한 19.9조원, 영업이익은 기존 추정치를 2.2% 하회하는 9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보임.
DRAM내 HBM 비중은 2분기에도 45%대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하반기 HBM 비중은 NVIDIA의 B200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 하반기에도 원화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25년 영업이익 전망을 기존 대비 1.9%하향한 38.8조원으로 변경하지만 HBM Content가 50% 증가하는 Blackwell Ultra 효과를 감안하여 26년 영업이익 전망을 기존 대비 8.7% 상향'라고 분석했다.
----------------------
2025.06.25
6월24일(화) 마이크론 종가는 127.91달러로 시총은 1429억달러(194조원)이고,SK하이닉스는 종가 278,500원으로
시총은 202조원이었다.
마이크론의 회계년도 2026년2분기(2024년12월~2025년2월말) 실적은 매출 11.27조원(80.53억달러,1달러=1400원계산),영업익 2.48조원(17.73억달러), 영업이익률 22%이고, SK하이닉스의 2025년1분기 실적은 17.63조원, 영업익 7.44조원,영업이익률 42.18%였다.
이런 차이는 HBM의 글로벌 점유율 차이(마이크론 10%,하이닉스 70%) 때문이라고 볼 수있다.
마이크론의 매출은 하이닉스의 64%, 영업이익은 3분의1에 불과했다.
이런 두 회사가 시가총액이 194조원과 202조원으로 비슷한 것으로 볼때 하이닉스의 저평가가 심하다고 볼 수있다.
오능 6월25일 삼성증권과 KB증권의 SK하이닉스 목표가 34만원으로 상향은 합당하다고 볼 수있다.
[LIVE] 부자되는 좋은습관 MTN 머니투데이방송 (뉴스&증권 경제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