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골드만삭스 '중립' 의견에…SK하이닉스 주가 5%대 급락(2025.07.17)

yjsunshine 2025. 7. 17. 10:46

2025.07.17

요약: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내 경쟁이 심화하면서 SK하이닉스의 가격 결정력이 약화되고

HBM ASP(평균 판매 가격)가 10% 하락하고 내년 영업이익이 올 해보다 감소할 것이다.

2025년3월 하이닉스가 제공한 HBM4인증에 7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

 

그런데 마이크론 회계년도3분기(3월-5월말) 영업이익률은 26.77%이고, 삼성은 이거보다 못하고,

하이닉스는 1분기 영업이익률은 42.18%이고 2분기는 44%이상으로 예상하는데, 이 차이는 HBM기술및 매출 차이 때문입니다.

 

마이크론의 회계년도 4분기 가이던스 (2025년 8월 종료 예정)는 매출 107억 달러 ± 3억 ($104억~110억),
영업이익은 32.94억달러로 영업이익률 (비‑GAAP)은 30.78%가 예상된다.

 

이 차이가 2026년에는 없어져서 3사 경쟁체제로 공급 과잉이 된다는 골드만의 분석이 이해가 되나요?

-----------------------

2025.07.17

Goldman Sachs Initiates Micron (MU) with a Neutral Rating

골드만삭스, 마이크론(MU) 커버리지 개시…투자의견 ‘중립’

 

골드만삭스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NASDAQ: MU)에 대한 커버리지를 시작하며 투자의견을 ‘중립(Neutral)’으로 제시하고,

목표주가는 130달러로 설정했습니다. 이는 반도체 전반에 대한 신중하지만 안정적인 전망을 반영한 것입니다.

 

이번 평가는 미국 반도체 장비, 저장장치, 파운드리(위탁생산) 부문 전반에 걸친 골드만삭스의 커버리지 개시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 메모에서 반도체 장비 산업이 “중간 사이클(mid-cycle)” 단계에 진입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요인과 도전적인 요인이 혼재된 국면이라는 의미입니다. 골드만삭스는 해당 업종의 매출이 2026년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단기적으로는 주가를 끌어올릴 만한 강력한 상승 동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메모리 및 저장장치 시장의 주요 기업인 마이크론은 여러 핵심 산업 트렌드의 중심에 위치해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몇 년간 가격 하락과 수요 둔화에 직면했던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골드만은 NAND 시장이 2026년까지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장기적으로 마이크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일정 부분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골드만삭스는 현재 시장 환경이 전반적으로 상승보다는 하방 리스크가 더 크다고 판단해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제시했습니다.

 

그러나 골드만은 동시에 중국 시장이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 위협보다는 성장 기회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이며, 이는 중국 내 수요 증가에 기반한 평가라고 설명했습니다.

-----------------------------

2025.07.17

Micron stock falls after Goldman downgrades peer SK Hynix

 

Investing.com -- Micron Technology (NASDAQ:MU) stock declined 3.9% in pre-market trading Thursday after Goldman Sachs downgraded peer memory chip manufacturer SK Hynix (KS:000660), causing ripple effects across the semiconductor sector.

 

Investing.com 보도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 NASDAQ:MU) 주가는 목요일 프리마켓 거래에서 3.9% 하락했습니다. 이는 골드만삭스가 경쟁 메모리 칩 제조업체인 SK하이닉스(한국거래소: 000660)의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영향으로, 반도체 업종 전반에 파급 효과를 불러왔습니다.

 

Goldman Sachs analyst Giuni Lee downgraded SK Hynix from Buy to Neutral, triggering a 9% drop in the South Korean chipmaker’s shares. The move appears to have sparked concerns about the broader memory chip market, particularly regarding future pricing power and competition in high-bandwidth memory (HBM) chips us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골드만삭스의 애널리스트 이주니(Giuni Lee)는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등급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로 인해 SK하이닉스 주가는 9% 급락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전반에 대한 우려, 특히 인공지능(AI)용으로 사용되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칩의 향후 가격 경쟁력과 시장 경쟁에 대한 불안을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The downgrade specifically cited potential HBM pricing declines in 2026, with Lee noting that "HBM pricing could decline for the first time in 2026, with increasing competition and pricing power gradually shifting to the major customer where Hynix has an outsized exposure."

 

이번 하향 조정은 특히 2026년 HBM(고대역폭 메모리) 가격 하락 가능성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이 분석에서 이주니(Giuni Lee) 애널리스트는 “HBM 가격이 2026년에 처음으로 하락할 수 있으며, 경쟁 심화와 함께 가격 결정력이 SK하이닉스가 크게 의존하고 있는 주요 고객사 쪽으로 점차 이동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Goldman’s analyst also expressed concern about SK Hynix’s operating profit outlook for next year, projecting a YoY decline compared to consensus estimates that had anticipated 17% growth. The firm’s 2026 operating profit estimate now sits 19% below consensus expectations.

 

또한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SK하이닉스의 내년도 영업이익 전망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시장 컨센서스는 17% 성장을 예상하고 있었으나, 골드만은 오히려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며 202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컨센서스 대비 19% 낮춰 제시했습니다.

 

The negative sentiment toward SK Hynix has spilled over to Micron, which competes in similar memory chip markets and has been expanding its presence in HBM chips for AI applications.

 

이러한 부정적인 분위기는 SK하이닉스와 유사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 중이며, AI용 HBM 시장 확대를 추진 중인 마이크론(Micron)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2025.07.18

[News] HBM Prices Reportedly Face Double-digit Drop Risks in 2026, Posing Challenges for SK hynix | TrendForce News

 

[News] HBM Prices Reportedly Face Double-digit Drop Risks in 2026, Posing Challenges for SK hynix | TrendForce News

As NVIDIA and cloud giants like Meta and Google ramp up AI efforts, fueling HBM demand, analysts warn of a possible price dip next year. Citing Goldma...

www.trendforce.com

엔비디아(NVIDIA)와 메타(Meta), 구글(Google) 같은 클라우드 대기업들이 AI 사업을 확대하면서 HBM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내년에 HBM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코노믹 데일리 뉴스(Economic Daily News)는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를 인용해, 경쟁 심화와 공급 과잉이 맞물리면서 2026년에는 HBM 가격이 처음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시장 선두주자인 SK하이닉스에게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2026년 HBM 가격은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경쟁이 격화되고, 가격 결정 권한이 주요 고객사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요 고객사 의존도가 높은 SK하이닉스의 수익성이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HBM 가격 하락세의 주요 원인으로 주요 업체들의 HBM 비트 공급량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2026년에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연간 평균 판매가격(ASP)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수년간 공급이 부족했던 HBM 시장이 2026년부터는 느슨해지면서 업계 전반에 가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는 전망했습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HBM 시장 성장률 전망도 크게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존에는 전년 대비 45% 성장할 것으로 봤으나, 현재는 25%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HBM의 총시장규모(TAM) 전망치를 수정했는데, 2025년 전망은 소폭 상향 조정해 360억 달러(기존 대비 1% 증가)로 잡은 반면, 2026년 전망은 13% 하향 조정해 450억 달러(기존 510억 달러)로 낮췄습니다.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현재 HBM 생산 상황이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공급업체들의 수율도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HBM 제품에 대한 가격 인하 가능성은 높은 상황입니다. 그

 

러나 내년에는 아직 인증 절차가 진행 중인 차세대 HBM4가 핵심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이며, 아직 경쟁에서 누가 승자가 될지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밝혔습니다. 트렌드포스는 차세대 HBM 출시를 고려할 때, 전체 HBM의 평균 가격은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SK하이닉스를 둘러싼 추가적인 위협 요인들

골드만삭스는 특히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인 **루빈(Rubin)**이 이전 세대인 B300과 비교해 HBM 탑재 용량이 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두 제품 모두 288GB 용량을 탑재하는데, 루빈은 HBM4 12단(12Hi), B300은 HBM3E 12단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GPU 기반의 HBM 수요 증가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엔비디아의 주요 HBM 공급업체인 SK하이닉스에 불리한 소식입니다.

 

반면, 이코노믹 데일리 뉴스는 한국 애널리스트들의 분석을 인용해, 2025년 차세대 HBM4가 본격 출하되면 SK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 가능성도 경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엔비디아의 H20 칩에 대한 중국 수출 규제를 완화한 조치는 HBM 수요 확대와 SK하이닉스에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동시에 경쟁사들에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 보도에 인용된 애널리스트들은 2026년까지 삼성전자의 HBM 출하량이 연평균 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SK하이닉스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압박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또한 이코노믹 데일리 뉴스는 중국 메모리 업체들이 빠른 속도로 글로벌 선두권을 추격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습니다. 현재 기술 격차는 약 3~4년 수준으로 좁혀졌으며, 2026년 말까지 HBM3의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록 중국산 HBM 제품은 해외 시장 진출에 제약이 있을 수 있지만, 중국 내에서의 점유율 확대는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입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보도는 전했습니다.

 
 
 

 

--------------------

2025.07.17

골드만삭스 하이닉스 목표가 310,000원.

2026년 HBM 공급과잉과 경쟁 심화 예상.

 

[증시는 지금]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주가는? / 이권희 위즈웨이브 대표

 

----------------------------------

골드만삭스 '중립' 의견에…SK하이닉스 주가 5%대 급락

 

골드만삭스 '중립' 의견에…SK하이닉스 주가 5%대 급락

SK하이닉스 주가가 17일 장 초반 급락세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내 경쟁 심화로 SK하이닉스의 가격 결정력이 약화될 것이란 외국계 증권사 분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전 9시23

v.daum.net

 

 

----------------

2025.07.17

SK하이닉스 주가 '급락'…가격 경쟁력 약화 시기는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SK하이닉스 주가 '급락'…가격 경쟁력 약화 시기는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컨슈머타임스=전은정 기자 | SK하이닉스 주가가 급락하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내 경쟁이 심화하면서 SK하이닉스의 가격 결정력이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www.cstimes.com

 

---------------------

"SK 하이닉스 저도 사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HBM4 독점 유력, 10년에 한번 오는 절호의 기회 왔다 (이창환 영업이사 / 2부)

 

 

----------------------

 

[News] HBM Prices Reportedly Face Double-digit Drop Risks in 2026, Posing Challenges for SK hynix | TrendForce

 

[News] HBM Prices Reportedly Face Double-digit Drop Risks in 2026, Posing Challenges for SK hynix | TrendForce

As NVIDIA and cloud giants like Meta and Google ramp up AI efforts, fueling HBM demand, analysts warn of a possible price dip next year. Citing Goldma...

www.trendforc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