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27
※ 동 정보는 잠정치로서 향후 확정치와는 다를 수 있음. | ||||||
1. 연결실적내용 | 단위 : 억원, % | |||||
구분 | 당기실적 | 전기실적 | 전기대비증감율(%) | 전년동기실적 | 전년동기대비증감율(%) | |
('23.2Q ) | ('23.1Q ) | ('22.2Q) | ||||
매출액 | 당해실적 | 19,457 | 16,051 | 21.2 | 14,261 | 36.4 |
누계실적 | 35,508 | 16,051 | - | 29,100 | 22.0 | |
영업이익 | 당해실적 | 589 | 196 | 200.5 | -2,557 | 흑자전환 |
누계실적 | 785 | 196 | - | -3,507 | 흑자전환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당해실적 | 251 | 59 | 325.4 | 321 | -21.8 |
누계실적 | 310 | 59 | - | -702 | 흑자전환 | |
당기순이익 | 당해실적 | 232 | 93 | 149.5 | -391 | 흑자전환 |
누계실적 | 325 | 93 | - | -1,430 | 흑자전환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 | 당해실적 | 256 | 114 | 124.6 | -370 | 흑자전환 |
누계실적 | 370 | 114 | - | -1,401 | 흑자전환 | |
- | - | - | - | - | - | |
2. 정보제공내역 | 정보제공자 | 재무팀 | ||||
정보제공대상자 | 국내외 투자자. 애널리스트 및 언론사 | |||||
정보제공(예정)일시 | 공정공시 이후 수시제공 | |||||
행사명(장소) | - | |||||
3. 연락처(관련부서/전화번호) | 재무팀(031-5171-7900)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상기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연결기준의 잠정 영업 실적입니다.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내용 중 일부가 회계검토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관련공시 | - |
■2분기 영업이익 589억원으로 흑자기조 유지
- 삼성중공업의 2023년 2분기 실적 (K-IFRS 연결)은 매출액 1조 9,457억원 (+36.4% YoY), 영업이익 589억원 (흑자전환 YoY, 영업이익률 3.0%)을 기록
- 1분기에 21분기 연속 영업이익 적자를 탈출한데 이어 2분기에도 흑자기조를 이어갔으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한 양호한 실적
- 이번 흑자전환은 건조선가 상승, 외국인 인력 투입 본격화에 따른 건조물량 증가, LNG선과 컨테이너선 비중 증가 등 제품믹스 개선 등에 기인
- 해양부문에서 180억원의 일회성 이익이 있었던 점을 감안한 수정영업이익은 409억원 수준
■올해 신규수주는 63억 달러 기록, 3년 이상의 안정적 일감 확보 중
- 한편 삼성중공업의 올해 조선/해양 신규수주는 FLNG 1기와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16척, LNG선 6척, Suezmax Tanker 2척 등 총 63억 달러를 기록해 올해 신규수주 목표 95억 달러의 2/3를 달성
- 여기에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카타르 LNG선 2차 발주와 해양플랜트 추가수주 등을 감안하면 최대 60억 달러 내외의 추가수주도 가능할 전망
- 7월 현재 조선/해양부문 매출기준 수주잔고는 26.8조원 (러시아 프로젝트 4.8조원 제외)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올해 예상매출액 대비 약 3.3년치 일감
■분기별 실적개선세 지속될 전망
- 여름휴가 등에 따른 3분기 조업일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분기별 매출액은 건조선가 상승과 건조물량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할 전망
- 원자재와 인건비 등의 변수가 있으나 지난해 실적에 반영한 2,700억원의 충당금 효과와 건조물량 증가에 따른 고정비 감소 등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도 영업이익 흑자기조 이어질 전망
- 하반기에는 실적개선에 더해 심해유전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과 이에 따른 FLNG 발주 움직임, 카타르 LNG선 2차 발주 등에도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