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1
1.반도체 수출액(단위:백만달러)
2020년: 7,164(1월)-->7,400(2월)--> 8,757(3월)-->7,176(4월)-->8,068(5월)-->8,303(6월)--> 7,877(7월)-->8,200(8월)
---> 9,504(9월)--> 8,678(10월)--> 8,597(11월)-->9,462(12월)2020년 합계: 99,178(전년대비 +5.6% 증가)
2021년반도체 수출액(백만달러): 8,717(1월)-->8,374 (2월)-->9,506 (3월)--> 9,342(4월)
-->10,043(5월)-->11,159(6월)(누적 57,134)-->10,997(7월)-->11,727(8월)
2.SSD 수출액(단위:백만달러)
2020년: 689(1월)-->828(2월)--> 849(3월)-->825(4월)-->957(5월)-->968(6월)--> 838(7월)-->1,015(8월)
---> 941(9월)--> 677(10월)--> 683(11월)-->791(12월) 2020년 합계:10,122백만달러(전년대비 +101.5% 증가)
2021년: 701(1월)--> 776(2월)--> 912(3월)-->751(4월)--> 968(5월)-->1,109(6월)-->1,119(7월)-->1,354(8월)
---------------------------------------------------------------------------------------
8월 수출 532.3억달러(+34.9%), 수입 515.6억달러(+44.0%) |
◇ 8월 수출은 작년 11월 플러스 전환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
* 월별 수출 증감률(%) : (‘20.11월)+3.9→(12월)+12.4→(’21.1월)+11.4→(2월)+9.3→(3월)+16.3→(4월)+41.2→(5월)+45.6→(6월)+39.8→(7월)+29.6→(8월)+34.9
ㅇ 8월 수출액은(532.3억달러) 8월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
◇ 우리 수출은 3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① 수출 증가율 두 자리,
② 월수출액 500억달러 돌파, ③ 해당 월의 역대 1위 수출액 경신”
이라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 중
ㅇ 이 같은 선전속에 8월까지 누계 수출액은 4,119억달러로 역대 최단 기간 내 4,000억달러를 돌파.
* 年 수출액이 유일하게 6,000억달러를 넘겼던 ’18년의 8월 누계 수출액은 3,997억달러.
◇ 반도체・석유화학・일반기계 등 주력산업이 꾸준히 선전하는 가운데, 바이오헬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의
신산업이 역대 8월 수출액 1위를 기록하며 전통산업과 유망산업이 고른 성장세
→ 3개월 연속 15대 주요 품목이 모두 증가한 것은 물론, 사상 최초로 15대 품목이 두 자리 증가
➊ 반도체는 14개월 연속 증가세속에 4개월 연속 수출액이 100억달러*를 상회하였으며,
8월 수출액은 올해 최대치(117억달러)
* 반도체 월 수출액이 100억불 이상을 기록했던 적은 ‘18년과 ’21년밖에 없음.
- 최근 수출 호황은 초과 수요로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 공급의 증가는 기술적 한계 등으로 제한적인 반면, 5G 본격화 및 비대면 경제 가속화 등으로
수요는 가파르게 증가하여 현재 초과수요 상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주요 조사기관도 세계 시장 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한 바 있음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반도체 : +43.0%)
①신규 CPU 출시와 주요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서버 증설이 맞물려 고용량 D램 주문이 확대되고 있으며,
②주요 모바일 업체들의 신규 모델 출시로 모바일 수요도 강세를 지속하는 한편,
③ 파운드리 업황도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14개월 연속 수출 증가
* D램 고정價($) : (‘20.10~12) 2.85 → (‘21.1~3) 3.00 → (4~6) 3.80 → (7~8) 4.10
* 낸드 고정價($) : (‘20.8~9) 4.35 → (10~‘21.3) 4.20 → (4~6) 4.56 → (7~8) 4.81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20.8) 82.0(2.8) → (’21.8) 117.3(+43.0)
* 8.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中) 36.6(33.5), (亞) 17.6(25.0), (美) 6.3(66.9)
□ (디스플레이 : 23.7%)
①국내 기업들의 LCD 생산 축소에 따른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②우리 기업이 강점을 가진 OLED 시장이 확대 되고 제품군이 다양해지는 가운데,
③OLED를 채택한 신규 프리미엄 스마트폰이 연달아 출시되면서 디스플레이 수출은 5개월 연속 증가
* OLED 출하량(백만대): [TV] (’20.8)0.4 → (’21.8e )0.7, [모바일] (’20.8)26.8 → (’21.8e )44.0
* 디스플레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20.8) 15.7(△22.8) → (’21.8) 19.5(23.7)
(컴퓨터 : 26.1%)
①재택 근무, 원격 수업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소비자용 SSD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②상반기 재고 소진을 거친 데이터센터의 서버 증설 확대되면서,
③계약 단가 상승과 함께 8월 컴퓨터 수출은 6개월 연속 증가.
* SSD 수출액(백만 달러) : (’20.8)1,015 → (11)683 → (’21.2)776 → (5)968 → (8)1,354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20.8) 13.1(106.5) → (’21.8) 16.5(26.1)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수출입 동향 (0) | 2021.10.05 |
---|---|
2021년9월 수출입 동향 (0) | 2021.10.01 |
2021년7월 수출입 동향 (0) | 2021.08.01 |
2017년,2018년 수출 자료 (0) | 2021.07.16 |
2021년6월 수출입 동향 (0) | 2021.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