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1
분기별 반도체, SSD와 MCP 수출 자료를 통해 삼선전자와 하이닉스의 분기 매출이
전분기대비 또는 전년 동기대비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했나를 추정할 수있다.
2022년 1분기 반도체,SSD와 MCP 합산 수출액은 2021년4분기 합산 수출액보다 0.11% 증가했다.
지난 3월29일 실적 발표한 마이크론은 2월말 분기 매출이 전분기대비 1.27% 증가하였다.
요약: 2022년3월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38% 증가한 131.18억달러였고,
SSD 수출은 55.6% 증가한 14.2억달러였다.
2022년1분기 반도체 수출은 343.17억달러로 전년 동기 수출 265.97억달러대비 29% 증가했으나.
2021년 4분기 359.94억 달러대비 4.66%(16.77억달러) 감소했다.
2022년1분기 SSD 수출은 39.4억달러로 전년 동기 수출 23.89억달러대비 64.9% 증가했고,
전분기 수출 36.84억달러대비 6.9% 증가하였다.
(이는 지난 3월29일 마이크론이 실적 발표에서 데이터센터향 SSD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언급과 일치한다.)
2022년 1분기 MCP 수출은 99.85억달러로 2021년4분기 수출 85.1억달러 대비 17.3% 증가했다.
(1분기 수출 75.72억달러?)
전체적으로 반도체+SSD+MCP 3개 합한 수출액을 비교하면 전분기대비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매출 증감 추이를
추정할 수있다.
2021년 4분기 3개 합한 수출액: 481.88억달러
2022년 1분기 3개 합한 수출액: 482.42억달러
2022년1분기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매출은 전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아래는 향후 몇개 분기간 낸드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므로 장비 주식 램리서치를 추천하는 기사.
Analyst Atif Malik noted that Micron (MU) reported "record" NAND solid-state drive sales in its most recent quarter. Malik also pointed out that Micron said NAND sales in its upcoming quarter would see faster growth tha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with NAND growing around 30% in 2022, which could benefit Lam Research.
애널리스트 말릭은 마이크론의 최근 분기 실적에서 SSD 매출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고,
다음 분기에도 낸드 매출이 연율 30% 증가로 디램 매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마이크론이
언급했다는 것을 주목했다.
낸드의 빠른 성장으로 장비업체 램리서치가 혜택을 볼것이다.
-------------------------------------------------------------------
1.반도체 수출액(단위:백만달러)
2020년: 7,164(1월)-->7,400(2월)--> 8,757(3월)-->7,176(4월)-->8,068(5월)-->8,303(6월)--> 7,877(7월)-->8,200(8월)
---> 9,504(9월)--> 8,678(10월)--> 8,597(11월)-->9,462(12월)2020년 합계: 99,178(전년대비 +5.6% 증가)
2021년반도체 수출액(백만달러): 8,717(1월)-->8,37 4 (2월)-->9,506 (3월)--> 9,342(4월)
-->10,043(5월)-->11,159(6월)(누적 57,134)-->10,997(7월)-->11,727(8월)-->12,181(9월, +28.2%)
--->11,174(10월,+28.8%)--->12,037(11월,+40.1%)--->12,783(12월,+35.1%) 합계:127,984(2021년,29.0%)
2022년 반도체 수출액(백만달러, 전년 동월대비 증감): 10,817(1월,+24.2%)-->10,382(2월, +24%)-->13,118(3월, +38%)
2.SSD 수출액(단위:백만달러)
2020년: 689(1월)-->828(2월)--> 849(3월)-->825(4월)-->957(5월)-->968(6월)--> 838(7월)-->1,015(8월)
---> 941(9월)--> 677(10월)--> 683(11월)-->791(12월) 2020년 합계:10,122백만달러(전년대비 +101.5% 증가)
2021년: 701(1월)--> 776(2월)--> 912(3월)-->751(4월)--> 968(5월)-->1,109(6월)-->1,119(7월)-->1,354(8월)
-->1,524(9월, +61.9%)-->1,082 (10월,+59.9%)-->1,385(11월, +102.7 )--->1,217(12월, +53.9 )
합계:12,898(전년비 +28.2증가)
2022년: 1,203 (1월, 71.7% )--> 1,317 (2월, 69.6 % )-->1,420(3월, 55.6%)
-----------------------------------------------
보도/해명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motie.go.kr)
◈ (총괄) 3월 수출 634.8억달러(+18.2%), 수입 636.2억달러(+27.9%),
무역수지는 △1.4억달러 적자를 기록
◈ 3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
➊ 수출액은 무역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인 634.8억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월 수출실적 달성
* 역대 월 수출액(억달러) : 1위('22.3)635, 2위(‘21.12)607, 3위('21.11)603, 4위('21.9)559, 5위('21.10)557
ㅇ 일평균 수출액도 지속 성장하여 기존 최고실적(‘22.2월26.96억달러)을 경신 → '월간 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 모두 1위를 기록
* 일평균 수출액 추이(억달러) : ('21.3월)22.4→(12월)24.8→('22.1월)25.2→(2월)27.0→(3월)27.6
➋ 주요 품목・지역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이며 수출은 17개월 연속 플러스, 13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는 견고한 성장 모멘텀 지속
ㅇ (품목) 반도체(131.2억달러)・석유화학(54.2억달러) 수출은 사상 최고치
- 무선통신・디스플레이 등 IT품목 및 석유제품・철강 등 전통 주력산업
호조세가 수출을 주도하는 한편, 바이오 등 新산업도 가파른 증가세
* 수출 증감률(%) : (무선통신)44.5, (디스플레이)48.4, (석유品)90.1, (철강)26.8, (바이오)24.2
ㅇ (지역) 中·美·아세안 등 3대 시장 수출은 모두 月 최고실적을 경신했으며, 중동·중남미 등 新시장도 두 자릿수 증가의 상승세 유지
* 수출 증감률(%) : (중국)16.6, (미국)19.9, (아세안) 44.4, (중동)17.4, (중남미)25.6
➌ 에너지 가격 급등, 중간재 수입 증가로 역대 최고 수입액 기록
* 3월 에너지 가격 증가율(전년동월대비) : (원유) +72%, (LNG) +200%, (석탄) +441%
* 종전 월간 수입액 최고 실적은 ‘21.12월의 611.6억달러
ㅇ 원유・가스・석탄 에너지 수입액은 전년 동월비(77.2억달러) 84.7억달러
증가한 161.9억달러로, 월간 최대치를 기록하며 수입 증가세 주도
* 3월 원유・가스・석탄 수입액은 전월(‘22년 2월, 124.8억달러) 대비 37.1억달러 증가
ㅇ 에너지 수입 급등 등으로 수지는 소폭 적자가 나타났으나, 기록적인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주요국 대비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유지
밑에 2022년 1월과 2월 MCP 2개 데이터중 어느게 맞는 걸까?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0대 기업, 작년 매출 3000조 시대 열었다…영업이익 250조 '역대 최대' (0) | 2022.04.03 |
---|---|
미국채 장단기 금리 역전(2022.04.01) (0) | 2022.04.02 |
2006년이후 처음으로 미국채 5년물과 30년물 금리 역전(2022.03.28) (0) | 2022.03.28 |
미국 3년만에 금리인상(2022.03.16) (0) | 2022.03.23 |
주식 시장은 다시 상승으로(2022.03.17) (0) | 2022.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