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2
왼쪽 숫자는 미국 기준 금리(푸른색)와 전년대비 인플레이션율, 오른쪽 숫자는 나스닥 지수(붉은색).
중간 중간 회색 막대로 처리된 부분은 경기 침체 기간으로 2000년초 닷컴 버블, 2008년 리먼 사태로인한
금융위기등이 벌생해던 기간이다.
1. 67년동안 기준 금리(푸른색)와 나스닥지수(붉은색).
Federal Funds Effective Rate (DFF) | FRED | St. Louis Fed (stlouisfed.org)
아래는 51년간 기준금리와 나스닥지수.
2.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푸른색)와 나스닥
여기서 소비자 물가 지수는 음식과 에너지를 포함한 지수다.
3.기준금리와 소비자 물가 지수
푸른색이 기준금리로 왼쪽에 표시된다.
소비자 물기지수는 빨간색으로 오른쪽에 표시된다.
Source: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Release: Consumer Price Index
Units: Index 1982-1984=100,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Monthly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All Items (CPIAUCSL) is a price index of a basket of goods and services paid by urban consumers. Percent changes in the price index measure the inflation rate between any two time periods.
모든 도시 소비자를 위한 소비자 물가 지수: 모든 품목(CPIAUCSL)은 도시 소비자가 지불하는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의 물가 지수입니다. 물가 지수의 변화율은 두 기간 사이의 인플레이션율을 측정합니다.
The most common inflation metric is the percent change from one year ago.
It can also represent the buying habits of urban consumers.
This particular index includes roughly 88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accounting for wage earners, clerical workers, technical workers, self-employed, short-term workers, unemployed, retirees, and those not in the labor force.
가장 일반적인 인플레이션 지표는 1년 전의 백분율 변화입니다.
또한 도시 소비자의 구매 습관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이 특정 지수에는 임금 노동자, 사무직 노동자, 기술 노동자, 자영업자, 단기 노동자, 실업자,
퇴직자 및 노동력이 없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전체 인구의 약 88%가 포함됩니다.
The CPIs are based on prices for food, clothing, shelter, and fuels; transportation fares; service fees (e.g., water and sewer service); and sales taxes. Prices are collected monthly from about 4,000 housing units and approximately 26,000 retail establishments across 87 urban areas.
CPI는 음식, 의복, 주거지 및 연료 가격을 기반으로 합니다. 교통비; 서비스 요금(예: 상하수도 서비스) 그리고 판매세.
가격은 87개 도시 지역에 있는 약 4,000개의 주택과 약 26,000개의 소매 시설에서 매월 수집됩니다.
To calculate the index, price changes are averaged with weights representing their importance in the spending of the particular group. The index measures price changes (as a percent chang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date. In addition to the original unadjusted index distributed,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also releases a seasonally adjusted index. The unadjusted series reflects all factors that may influence a change in prices. However, it can be very useful to look at the seasonally adjusted CPI, which removes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such as weather, school year, production cycles, and holidays.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 가격 변동은 특정 그룹의 지출에서 중요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로 평균화됩니다. 지
수는 미리 결정된 기준일로부터의 가격 변동(퍼센트 변동)을 측정합니다. 원래의 조정되지 않은 지수가 배포된 것 외에도 노동 통계국은 계절에 따라 조정된 지수도 발표합니다. 조정되지 않은 시리즈는 가격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날씨, 학년도, 생산 주기 및 휴일과 같은 계절적 변화의 영향을 제거하는 계절적 조정 CPI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The CPI can be used to recognize periods of inflation and deflation.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CPI within a short time frame might indicate a period of inflation,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CPI within a short time frame might indicate a period of deflation.
CPI는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 기간을 인식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기간에 CPI가 크게 증가하면
인플레이션 기간을 나타낼 수 있고, 단기간에 CPI가 크게 감소하면 디플레이션 기간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However, because the CPI includes volatile food and oil prices, it might not be a reliable measure of inflationary and deflationary periods.
For a more accurate detection, the core CPI (CPILFESL) is often used. When using the CPI, please note that it is not applicable to all consumers and should not be used to determine relative living costs. Additionally, the CPI is a statistical measure vulnerable to sampling error since it is based on a sample of prices and not the complete average.
그러나 CPI에는 변동성이 큰 식품 및 유가가 포함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 기간의
신뢰할 수 있는 척도가 아닐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감지를 위해 코어 CPI(CPILFESL)가 자주 사용됩니다.
CPI를 사용할 때 모든 소비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인 생활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CPI는 전체 평균이 아닌 샘플 가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샘플링 오류에 취약한 통계적 측정값입니다.
For more information on the consumer price indexes, see:
Bureau of Economic Analysis. "CPI Detailed Report." 2013.
Handbook of Methods
Understanding the CPI: Frequently Asked Questions
Suggested Citation: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All Items in U.S. City Average [CPIAUCSL], retrieved from FRED,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https://fred.stlouisfed.org/series/CPIAUCSL, June 11, 2022.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PBR 1.0배는 지수 2532 (0) | 2022.06.13 |
---|---|
코스피(유가증권 시장) 시총(2022.06.10) (0) | 2022.06.12 |
중요-미 3대지수 40년만의 인플레이션으로 폭락(2022.06.11) (0) | 2022.06.11 |
2022년5월 수출입 동향 (0) | 2022.06.01 |
미국 시장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상승(2022.05.28)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