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16
미국 시간 6월15일(수요일) 미 연준은 1994년이래 28년만에 최대폭인 0.75% 금리 인상으로
미 기준 금리는 0.75-1.0%에서 1.50%-1.75%로 상승했다.
또 미 연준의장은 7월에도 0.5% 또는 0.75%폭의 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그래서 올해말 미 기준금리는 3.4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이 결국에는 인플레이션을 잡을 것이라는 시장의 신뢰 회복으로 미국 3대지수는 상승했다.
Powell: Fed 'not trying to induce a recession' with interest rate hikes (yahoo.com)
Federal Reserve Chairman Jerome Powell said Wednesday that the central bank hopes to avoid a recession
after ratcheting up its pace of interest rate hikes.
(ratchet[rǽʧit]~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수요일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여 경기 침체를 피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We’re not trying to induce a recession now, let’s be clear about that,” Powell told reporters after the policy-setting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raised short term rates by 0.75%.
파월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가 단기 금리를 0.75% 인상한 후
기자들에게 "우리는 지금 경기 침체를 유도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 점을 분명히 하자"고 말했다.
Wednesday's move marked the Fed's largest in a single meeting since 1994.
Short-term borrowing costs are now in a target range between 1.50% and 1.75%.
수요일의 인상은 1994년 이후 단일 회의에서 연준의 최대 규모 인상이었습니다.
단기 차입 비용은 현재 1.50%에서 1.75% 사이의 목표 범위에 있습니다.
Powell said the Fed’s goal is to depress the rapid pace of inflation closer to its 2% target,
all while preserving a “strong” labor market. Forecasts released by the Fed showed confidence in the central bank’s ability to hit both marks, although economists say the task will be tough.
파월은 연준의 목표는 '강력한' 노동 시장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의 속도를 목표치인 2%에 근접하게
억제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연준이 발표한 예측은 중앙은행이 두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연준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보여주었지만,
경제학자들은 그 과제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합니다.
Projections from the Fed published Wednesday showed the median official expects interest rates will rise to 3.4% by year-end, well above the 2.5% level that many Fed officials have described as “restrictive” for economic activity.
“[G]oing faster and deeper into restrictive territory implies a greater risk of a hard landing,” ING Economics wrote Wednesday afternoon.
A “hard landing” outcome would be the opposite of forecasts from the Fed, and may look like a sharp spike in unemployment as the rapid pace of rate hikes halts economic activity.
"경착륙" 결과는 연준의 예측과는 반대되는 것이며, 급격한 금리 인상 속도가 경제 활동을 저해함에 따라
실업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There’s a pathway here. It is not going to be easy,” Powell said Wednesday.
He added that inflation remains the priority, noting that “clearly, people do not like inflation.”
“여기에 길이 있습니다.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파월 의장은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최우선 과제라고 덧붙이며 “분명히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The median policymaker projected the U.S. economy would experience a still-elevated 5.2% rate of inflation
at the end of 2022, but expects that to slow down to 2.6% in 2023. Through the end of 2023, the median projection shows the unemployment rate rising a few tenths of a percentage point — to 3.9%.
중앙값 정책 입안자는 미국 경제가 2022년 말에 여전히 5.2%의 인플레이션율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2023년에는 2.6%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3년 말까지 실업률 중앙값 예측은 3.9%까지 낮은 10%대 실업률 상승을 보여줍니다.
For comparison, the most recent read on the Fed’s preferred measure of inflation —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 — showed prices rising by 6.3% on a year-over-year basis in April.
The May jobs report showed the unemployment rate at a relatively low 3.6%.
The Fed’s forecasts reflect the central bank’s faith in the effectiveness of a more aggressive rate hike path.
After an abrupt pivot to a larger rate hike this week — which tabled previously-communicated plans for a 0.50% move — the Fed now projects further rate increases through the rest of this year.
연준의 예측은 보다 공격적인 금리 인상의 효과에 대한 중앙은행의 믿음을 반영합니다. 이전에 0.50%
인상에 대한 계획을 발표한 이번 주 더 큰 금리 인상으로 갑자기 전환한 후 연준은 이제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합니다.
50? 75? 100?
The Fed's outsized move Wednesday raised some alarm over whether the central bank is now at greater risk of raising rates at a pace that would tip the economy into recession. And this move prompted questions about whether a 0.75% interest rate increase clears a path for even larger moves in the months ahead.
수요일 연준의 큰폭의 금리 인상은 중앙은행이 경제를 침체에 빠뜨릴 속도로 금리를 인상할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는지에
대한 경고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리고 이 움직임은 0.75% 금리 인상이 앞으로 몇 달 동안 더 큰 인상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촉발했습니다.
But Powell suggested the Fed does not currently intend on further accelerating the pace of its rate hikes — at least for its next scheduled policy-setting meeting set for July 26-27.
그러나 파월 의장은 연준이 최소한 7월 26~27일로 예정된 다음 정책 결정 회의에서는 금리 인상 속도를 더 이상 가속화할 계획이 없다고 시사했습니다.
“The next meeting could well be about a decision between 50 and 75 [basis points],” Powell said Wednesday, essentially downplaying any speculation over a 100 basis point move.
파월 의장은 수요일에 "다음 회의는 50~75[베이시스 포인트] 사이의 결정에 관한 것일 수 있다"면서
100 베이시스 포인트 인상에 대한 시장의 추측을 무시했습니다.
However, Powell reminded markets that the central bank retains flexibility on its rate moves — which he said justified the Fed’s sudden decision to abandon plans for a 0.50% move this week.
“Our policy is adaptive and it will continue to do so,” Powell said.
그러나 Powell은 중앙 은행이 금리 인상에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시장에 상기시켰습니다.
그는 이것이 이번 주 0.50% 변동 계획을 포기하기로 한 연준의 갑작스러운 결정을 정당화한다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우리의 정책은 시장에 적응하는 것이며, 계속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2022.06.15(수요일,미국 시간)
1.아래는 나스닥 일봉 그래프.
6월14일 0.18% 상승한후, 6월15일 거래량 증가한 2.50% 상승으로 매수 신호 발생.
2. 아래는 미국 각종 지수와 기술주들의 상승을 보연준다.
-----------------------------------------------
2022.06.16
[월가에서 본 오늘 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에 반응한 시장! 기술적 반등 vs. 경기 연착륙? - YouTube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팜유와 철광석 가격 하락(2022.06.22) (0) | 2022.06.27 |
---|---|
"빚투 잘못했다가 손실 눈덩이"…폭락장에 반대매매 계좌 10배 폭증 (0) | 2022.06.26 |
코스피 PBR 1.0배는 지수 2532 (0) | 2022.06.13 |
코스피(유가증권 시장) 시총(2022.06.10) (0) | 2022.06.12 |
기준 금리와 나스닥(2022.06.12) (0) | 2022.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