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04 키움증권 리포트
요약: 아래 키움증권 보고서를 요약하면 코로나 이전의 고객들의 적정 재고는 4-5주 정도인데,
코로나 사태로 공급망을 우려한 고객들이 적정재고보다 많은 7-8주 정도의 재고를 축적.
그런데 2022년2분기말을 기점으로 디램업황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어서,
경기 침체를 우려한 고객들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적정재고를 낮추려고하는 것.
-----------------------------------------------------------------------
기업분석 | 기업/산업분석 | 리서치 | 투자정보 | 키움증권 (kiwoom.com)
연초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DRAM 업황이 2Q22말을 기점으로 급격히 악화되고 있음.
코로나19 이후 높아져 있던 고객들의 안전 재고 수준이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과거 수준까지 낮아지는 것이 가장 큰 원인.
가수요의 감소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상화될 이슈일 것.
또한 필요한 유통 재고의 감소량이 3~4주 수준의 물량일 것 으로 보여, 4Q22부터는 정상 재고 속에서
2023년 구매 및 판매량 계획을 세우기 시작할 전망.
T12M 0.9배인 현 주가는 이미 많은 것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함.
코로나19 이후 높아져 있던 고객사의 재고 정상화 과정.
연초 이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던 DRAM 업황이 2Q22말부터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
'예상보다 약한 중국의 경기 회복'과 '경기 침체에 대한 뉴스 flow' 등이 고객들의 구매 센티멘트를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PC와 스마 트폰의 판매량이 예상치를 하회하고는 있지만, 이미 낮아져있던 기대치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기 때문에 현재의 업황 악화를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 다.
이보다는 코로나19 이후 높아져 있던 고객들의 안전 재고 수준(전 4~5주 → 후 7~8주)이 지속된 경기 침체 경고로 인해
예전 수준까지 낮아지려는 것 이 단기적인 업황 둔화의 주된 원인일 것이다.
실질 수요보다는 높아져있던 가수요의 감소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상화될 이슈라고 판단한다.
그리 높지만은 않은 DRAM의 유통 재고.
현재 고객사 재고는 PC·서버·스마트폰 평균 7~9주, 공급사 재고는 업체별로 4~6주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의 정상 수준이 고객과 공급 업체 모두 4~5주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현 수준에서 감내해야 할 유통 재고의 감소 폭은 총 3~4주 수준일 것이다.
3Q22 DRAM 산업의 출하 증가률(+10%QoQ 추정)에서 해당 유통 재고의 감소분만큼 차감되고,
SK하이 닉스의 실적 전망치도 이에 맞춰 하향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후 시장은 정상화된 재고 수준 하에서
2023년 구매 및 판매 계획을 세우기 시작할 것이고, 현황 보다는 전망의 악화 속에서 발생한 혼란인 만큼
경기 회복의 신 호가 조금이라도 목격된다면 DRAM의 공급 감소 효과가 힘을 발휘할 것이다.
현 수준 이하로 주가 급락이 나타났던 적은 금융위기 뿐.
SK하이닉스의 주가는 T12M P/B 0.9배로 급락했다.
2004년 이후 현 주가 수 준까지 하락했던 때는 2016년(메모리 업황 악화, 영업적자 전환 우려, 중국의 메모리 시장 진출에 따른 경쟁 강도 급등 우려)과 2019년(DRAM 고객 재고 13~15주로 급등, DRAM 가격 급락 및 영업적자 전환 우려) 단 두 번 뿐이었 으며, 모두 단기간 내 반등세를 보였다.
급격한 수요 위축이 DRAM의 가격 급락(-40%QoQ)과 SK하이닉스 수익성 급락(OPm 3Q07 +10% → 4Q08 - 53%)을
일으켰던 2008년 금융위기 당시 SK하이닉스의 주가는 T12M P/B 0.6배까지 낮아졌던 경험이 있다.
경기 침체를 가정하더라도 SK하이닉스가 영업적자 전환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현 수준에서 바닥을 확인해갈 것 으로 판단한다. 반도체 업종 top pick을 유지한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2022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2022.07.07) (0) | 2022.07.07 |
---|---|
대만 서버 생산자들은 3분기 출하량이 2분기대비 2자리수 성장할 것으로 전망(2022.07.07) (0) | 2022.07.07 |
웨이퍼 가격 급등…IT 제품도 '가격 인상' 공포(2022.07.03) (0) | 2022.07.03 |
향후 2년간 인텔 서버 CPU를 장착하지 않은 서버 출하량이 증가할 것(2022.07.01) (0) | 2022.07.02 |
마이크론이 반도체 장비주 박살내다(2022.07.02) (0) | 202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