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구글, HBM3E 공급업체 변경 고려 중

2025.04.25

Exclusive: Google considers HBM3E supplier change

Google considers HBM3E supplier change.

구글, HBM3E 공급업체 변경 고려 중

 

Samsung Electronics has recently intensified its deployment in advanced high bandwidth memory (HBM) processes. However, supply chain sources reveal that Samsung's HBM3E certification progress is once again facing obstacles. Google, which had planned...

 

삼성전자가 최근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의 첨단 공정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으나,

공급망 소식통에 따르면 삼성의 HBM3E 인증 절차가 또다시 난관에 부딪힌 것으로 나타났다.

 

HBM3E 도입을 계획했던 구글은,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공급업체 변경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由于三星HBM3E未能通过英伟达认证,谷歌将美光产品作为替补供应,其于日前已通知三星更换供应商。(台湾电子时报)

 

삼성전자의 HBM3E가 엔비디아 인증을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에, 구글은 마이크론 제품을 대체 공급 제품으로 선정했으며, 최근 삼성전자에 공급업체 변경을 통보했다. (대만 전자시보)

 

상황 요약

  • 삼성전자 HBM3E엔비디아(NVIDIA) 인증(qualification)을 통과하지 못했다.
  • 이에 따라 구글(Google)마이크론(Micron) 의 제품을 대체 공급업체로 선정했다.
  • 구글은 이미 삼성전자 측에 공급업체 변경을 공식 통보한 상황이다.
  • 출처는 대만 전자시보(台湾电子时报).

이 상황의 핵심 포인트

1. 삼성전자 HBM3E의 품질 및 인증 문제

  • 엔비디아는 AI 서버용 GPU(예: H100, H200, Blackwell)에서 사용할 HBM3E에 대해 엄격한 성능 및 신뢰성 테스트를 진행한다.
  • 삼성은 12단 HBM3E를 개발했지만, 발열(thermal) 문제, 수율(yield) 불안정, 전력 소모(power consumption) 이슈 등으로 인증 통과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2. 구글의 긴급 대체 조치

  • 구글은 TPU(Trillium)와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에 필요한 HBM 수급 안정성을 위해 빠르게 마이크론으로 전환했다.
  • 마이크론은 HBM3E 인증을 성공적으로 통과했고, 엔비디아 Blackwell GPU에 들어가는 8-Hi HBM3E 공급사 중 하나로 확정된 상태다.

3. 삼성전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 대형 고객(구글) 이탈 → 단기 매출 타격 우려.
  • HBM4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부담 증가.
  • 향후 엔비디아, 메타, 아마존 등 다른 빅테크 고객사와의 신뢰도에 영향 가능성.

4.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에 대한 긍정적 효과

  • 마이크론: 구글 공급 확대 → 수익성과 시장 신뢰도 강화.
  • SK하이닉스: 경쟁사(삼성) 견제 성공 + 프리미엄 고객 유지 → 시장 지배력 공고화.

 

시장 구조에 미치는 예상 영향

    항목                                                 변화 내용         
구글 AI 칩 공급망 삼성 → 마이크론 대체
삼성전자 HBM3E 물량 조정 불가피, HBM4로 전환 가속
마이크론 대형 고객 확보, 2025~2026년 매출 증가 가능성
SK하이닉스 기술 리더십 강화, HBM 시장 점유율 추가 확대 가능성
엔비디아 HBM 공급망 다변화 성공 (SK하이닉스 + 마이크론 체제)

 

결론

  • 단기적으로 삼성전자는 HBM 분야에서 구글 공급을 잃음으로써 시장 신뢰와 매출 면에서 타격을 입게 됨.
  • 중장기적으로 삼성전자는 HBM4(특히 1c DRAM 기반) 조기 양산 성공 여부가 회복의 열쇠가 될 것.
  •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는 상대적으로 수혜를 입으며 AI 메모리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임.
  • 전체 HBM 시장은 더욱 치열한 기술 경쟁수율 확보 경쟁으로 빠르게 전개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