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2
“내후년 영업익 90兆” SK하이닉스 ‘원맨쇼’ 하반기도 계속될 듯…非엔비디아 채널 구축도 [김민지의 칩만사!]
“내후년 영업익 90兆” SK하이닉스 ‘원맨쇼’ 하반기도 계속될 듯…非엔비디아 채널 구축도 [
<김민지의 ‘칩(Chip)만사(萬事)’!> 마냥 어려울 것 같은 반도체에도 누구나 공감할 ‘세상만사’가 있습니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 주요 국가들의 전쟁터가 된 반도체 시장. 그 안의 말랑말랑
v.daum.net
맥쿼리증권은 SK하이닉스의 올해 영업이익을 44조원,2026년 68조원,2027년 90조원으로 예상하면서
목표 주가 36만원을 제시했다.
내년 양산 예정인 7세대인 HBM4E부터는 본격적으로 맞춤형 D램으로 제작되는 만큼,
SK하이닉스의 성장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쏠립니다.
--------------------------
2025.06.22
[빅테크칼럼] “SK하이닉스, 2년 뒤 영업이익 90조 전망”…맥쿼리 ‘파격 전망’ 배경과 현실성
[빅테크칼럼] “SK하이닉스, 2년 뒤 영업이익 90조 전망”…맥쿼리 ‘파격 전망’ 배경과 현실성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맥쿼리가 2027년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을 90조7000억원으로 전망하며, 국내외 반도체 업계와 증권가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2024년 영업이
www.newsspace.kr
------------------------------
SK Hynix: Securing Leadership in HBM- Macquarie Research
Executive Summary
- Investment Opinion: Outperform (Buy)
- Target Price: KRW 360,000 (Up 16% from previous)
- Current Stock Price (as of 6/19): KRW 246,000
- 12-Month Expected Return: 47%
- 2025E PER: 5.0x, P/B: 1.7x
- 투자의견: 아웃퍼폼(매수)
- 목표주가: 36만 원 (이전 대비 16% 상향)
- 현재주가 (2025년 6월 19일 기준): 24만 6천 원
- 12개월 기대수익률: 47%
- 2025년 예상 PER: 5.0배 / PBR: 1.7배
Investment Points Summary
1. Securing HBM Leadership
- HBM revenue proportion within DRAM expected to increase from 45% to 74% by 2027.
- Effectively a leading monopoly in HBM, a high-value-added segment within DRAM.
- Major Customers: Nvidia (65%), Broadcom (20%), AWS (15%).
HBM 시장에서의 리더십 확보
- DRAM 내 HBM 매출 비중이 2024년 45%에서 2027년에는 74%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사실상 독점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음.
- 주요 고객사 구성은 Nvidia(65%), Broadcom(20%), AWS(15%) 등 AI 인프라 선도 기업 중심.
2. HBM Market Structure and Tight Supply
- Three major structural constraints:
Front-end wafer capacity shortage (die increase limited by geometry shrink alone).
- Yield degradation due to increasing die size (TSV count increases from HBM4 to HBM5).
- Increased production complexity due to rising heat generation.
- HBM is a bottleneck for AI computing, leading to stronger demand than general DRAM.
HBM 시장 구조와 공급 부족
- 다음 세 가지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공급이 제한됨:
- 전공정 웨이퍼 처리 능력 부족 (미세공정 축소만으로는 다이 수 증가에 한계)
- 다이 크기 증가로 인한 수율 저하 (HBM4 → HBM5로 갈수록 TSV 수 증가)
- 발열량 증가에 따른 생산 복잡성 확대
- HBM은 AI 컴퓨팅에서 병목 구간이기 때문에, 일반 DRAM보다 훨씬 더 강한 수요를 형성하고 있음.
3. HBM Profitability: Margin Pressure vs. Economies of Scale
- HBM4 may see some margin decline due to outsourcing the base die to TSMC.
- However, HBM revenue is expected to reach KRW 56 trillion in 2025 (+330% YoY), with operating profit of KRW 40 trillion.
- This would account for half of total DRAM revenue and 60% of total operating profit. [2]
HBM 수익성 – 마진 압력과 규모의 경제
- HBM4에서는 일부 베이스 다이를 TSMC에 외주를 맡기면서 수익성 하락이 발생할 수 있음.
- 그러나 HBM 매출은 2025년에 56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330% 증가.
- 해당 매출에서 발생하는 영업이익만 4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체 DRAM 매출의 절반, 전체 영업이익의 60%를 차지하는 수준.
Memory ASP and Bit Growth Rate
- DRAM ASP: $3.5 in 2024 → $7.6 in 2027.
- HBM ASP: $12.7 → $18.2.
- DRAM Bit Growth Rate: Maintained at 17% annually.
- HBM Bit Growth Rate: Rapid increase at 60-100% annually.
Strategic Implications 전략적 시사점
- Entering DRAM Up-cycle:
Increased server and mobile DRAM content. Examples:
iPhone 17 → 12GB, Galaxy S26 → 16GB.
- DDR4 discontinuation → DDR5 transition leads to server DRAM module increases to 64GB/96GB.
- Limited entry of Chinese competitor (CXMT) into high-end DRAM → Maintaining technological gap.
- DRAM 업사이클 진입: 서버 및 모바일 DRAM 수요(장착량) 증가
예: 아이폰 17 → 12GB / 갤럭시 S26 → 16GB - DDR4 단종, DDR5로 전환: 서버 DRAM 모듈 64GB/96GB 확대
- 중국 경쟁사 CXMT의 고급형 DRAM 시장 진입은 제한적: 기술 격차 유지 가능
Risk Factors 위험 요소
- M15X / Yongin fab construction delays. - Difficulty in technology upgrades for Wuxi Fab due to lack of EUV. - Potential entry of CXMT into HBM/DDR5. - Risk of HBM4 yield degradation and production disruptions.
- 청주 M15X·용인 팹 건설 지연 가능성
- 중국 우시(Wuxi) 공장에서 EUV 미도입으로 기술 업그레이드 한계
- CXMT가 HBM·DDR5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
- HBM4 수율 저하 및 생산 차질 가능성
Investor Perspective Summary 투자자 관점 요약
- 2025-26 cumulative profit of KRW 87 trillion > total capital of KRW 74 trillion → ROE excess return period.
- Increased likelihood of share buybacks: Excess cash generation expected after 2026.
- Current P/B of 2.4x is not overvalued; expected to drop to 1.2x by 2026.
- 2025~2026년 누적 이익은 87조 원으로, SK하이닉스 총 자본(74조 원)을 상회 → ROE 초과수익 구간 진입
- 2026년 이후 초과현금 발생 예상 → 자사주 매입 가능성 확대
- 현재 PBR 2.4배는 고평가가 아니며, 2026년에는 1.2배까지 하락 예상
Factors for Upward Revision vs. Consensus
- Stronger KRW (1,426 → 1,381 KRW/USD), upward revision of DRAM prices.
- 2026 operating profit estimate revised up by +6%.
- HBM ASP lowered somewhat conservatively (-5% YoY), but bit growth rate maintained.
- 원화 강세 반영 (환율 1,426 → 1,381원/달러)
- DRAM 가격 상향 조정
-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 6% 상향
- HBM 단가는 보수적으로 다소 낮춰잡았으나(-5% YoY), 비트 성장률은 유지됨
---------------------
2025.06.20
US may target Samsung, Hynix, TSMC operations in China, sources say | MarketScreener
US may target Samsung, Hynix, TSMC operations in China, sources say
(Reuters)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is considering revoking authorizations granted in recent years to global chipmakers Samsung, SK Hynix and TSMC,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them to receive U.S. goods and technology at their plants in China, acco
www.marketscreener.com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증권과 삼성증권, SK하이닉스 목표가 34만원으로 상향(2025.06.25) (1) | 2025.06.25 |
---|---|
SK하이닉스의 적정 PBR은?(2025.06.22) (0) | 2025.06.22 |
메모리 반도체는 AI 워크로드의 핵심 요소다(2025.06.20) (0) | 2025.06.21 |
마벨 테크놀로지, AI용 커스텀 칩 시장의 기회 규모를 2028년까지 550억 달러로 제시(2025.06.18) (2) | 2025.06.19 |
지금 당장 매수해야 할 '고민할 필요 없는' 인공지능(AI) 관련 주식 2종 (1)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