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Micron Technology Inc (MU) Q3 2025 Earnings Call Highlights: Record Revenue and Strategic ...
Micron Technology Inc (MU) Q3 2025 Earnings Call Highlights: Record Revenue and Strategic ...
Total Revenue: $9.3 billion, up 15% sequentially and 37% year over year.
DRAM Revenue: $7.1 billion, up 51% year over year, representing 76% of total revenue.
NAND Revenue: $2.2 billion, up 4% year over year, representing 23% of total revenue.
총매출: 93억 달러, 전분기 대비 15% 증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
DRAM 매출: 7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 전체 매출의 76% 차지
NAND 매출: 22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 전체 매출의 23% 차지
Gross Margin: 39%, up 110 basis points sequentially.
매출 총이익률(Gross Margin): 39%,전분기 대비 110bp(1.1%p) 상승.
Operating Income: $2.5 billion, with an operating margin of 26.8%.
Net Income: Non-GAAP diluted EPS of $1.91, up over 200% year over year.
영업이익: 25억 달러, 영업이익률: 26.8%
순이익: 주당순이익(EPS, Non-GAAP 기준) $1.91,전년 대비 200% 이상 증가
Operating Cash Flow: Over $4.6 billion.
Free Cash Flow: Over $1.9 billion.
Inventory: $8.7 billion or 139 days, down $280 million sequentially.
Cash and Investments: $12.2 billion at quarter end. Debt: $15.5 billion, with a weighted average debt maturity of 2032.
Fiscal Q4 Revenue Guidance: $10.7 billion, plus or minus $300 million.
Fiscal Q4 Gross Margin Guidance: 42%, plus or minus 100 basis points.
Fiscal Q4 EPS Guidance: $2.50 per share, plus or minus $0.15.
긍정적인 포인트
- 사상 최대 분기 매출 달성
- 매출, 총이익률(Gross Margin), 주당순이익(EPS)이 모두 회사 가이던스 상단을 초과.
-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급증
-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 기록.
- 데이터센터 SSD 시장 점유율 기록 경신
-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점유율 확보,
- 시장 점유율 기준 2위 브랜드로 도약.
- 1-감마(1γ) DRAM 기술 노드 진전
- 수율(yield) 상승 속도가 과거 1-베타(1β) 노드를 능가하는 역대급 수준.
- 장기 투자 계획 발표
- 미국 내 총 2,00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 (향후 20년간)
- 제조: 1,500억 달러/ R&D: 500억 달러
- 미국 내 총 2,00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 (향후 20년간)
부정적인 포인트
- 메모리 가격 하락
- DRAM: 한 자릿수 초반대 하락
- NAND: 한 자릿수 후반대 하락
- 운영비용 증가
- 전분기 대비 8,700만 달러 증가,
- 주된 원인은 R&D 투자 확대 및 인건비 상승
- 일부 고객의 관세 회피 목적 선주문(pull-in)
- 특정 고객의 선주문이 수요의 일시적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
- NAND 생산 구조 변화
- 기술 전환으로 인해 2025 회계연도 말까지 웨이퍼 생산능력 10% 감소 예정
5.There are ongoing challenges with customer qualifications for HBM3E and HBM4, which may affect future supply and demand dynamics.
HBM3E 및 HBM4 고객 인증 과정의 지연
주요 고객의 인증 획득이 지연되며 향후 공급 및 수요에 불확실성 존재
- 기술 전환으로 인해 2025 회계연도 말까지 웨이퍼 생산능력 10% 감소 예정
Q&A 하이라이트
Q:
가속기(Accelerator) 시장의 성장에 따라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이는데, GPU나 커스텀 ASIC에 탑재되는 HBM의 규모에는 한계가 있을까요?
A (Sanjay Mehrotra, CEO):
HBM 수요는 앞으로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HBM 관련 시장 규모(HBM TAM)는
- 2024년 약 180억 달러에서
- 2025년 약 35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HBM4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이 성장을 주도할 것입니다.
- Micron은 HBM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강력한 생산 실행력과 용량 확대(capacity ramp-up) 역량을 갖추고 있어, 이 시장에서의 주도적 입지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Q: 총이익률(Gross Margin)이 예상보다 높았던 주요 요인은 무엇이며, 이러한 수준이 앞으로의 분기에서도 기준선이 될 수 있을까요?
A (Mark Murphy, CFO):
예상보다 좋은 가격 책정과 특히 DRAM에서의 우호적인 제품 믹스가 총이익률 개선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1분기(회계연도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던스를 제공하진 않았지만,
시장 환경은 여전히 우호적이며,
Micron은 앞으로도 고부가가치 DRAM 및 NAND 제품에 집중함으로써
총이익률을 추가로 높일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Q: HBM 시장 점유율과, 비트(bit) 증가 및 평균판매단가(ASP)가 성장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A: Micron의 CEO 산제이 메흐로트라(Sanjay Mehrotra)는, 회사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HBM 시장 점유율 목표를 달성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수율 상승과 생산능력 확대에서의 강력한 실행력이 주효했기 때문입니다. HBM 시장의 성장은 비트 수(bit) 증가뿐 아니라, HBM4와 같은 차세대 제품으로의 전환에 따른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Q: What are your long-term CapEx plans, and is 35% of revenue a reasonable guideline for fiscal '26?
Q: 장기적인 설비투자(CapEx) 계획은 어떻게 되며, 2026 회계연도 기준으로 매출의 35% 수준이 적절한 가이드라인일까요?
A: Mark Murphy highlighted that Micron is well-positioned for a generational tech transition, requiring greenfield capacity build-out. While CapEx was slightly lower in the quarter, it is expected to increase in Q4, with a focus on maintaining technology leadership and returning capital to shareholders.
A: Micron의 CFO 마크 머피(Mark Murphy)는 회사가 현재 세대 전환급 기술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규 부지(greenfield)를 기반으로 한 생산능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분기의 설비투자는 다소 낮았지만, 4분기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Micron이 앞으로도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는 동시에, 주주들에게 자본을 환원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2026 회계연도 기준으로 매출의 35% 수준을 CapEx 가이드라인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Q: HBM4의 고객사 인증(qualification)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Micron이 전력 효율 측면의 기술 우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요?
A: Micron의 CEO 산제이 메흐로트라(Sanjay Mehrotra)는 현재 HBM4 샘플을 여러 고객사에 제공한 상태이며, 고객사의 인증 절차가 앞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Micron이 AI 애플리케이션에 중요한 전력 효율(Power Performance) 부문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계속 유지할 계획이며, 2026년부터 본격화될 고객 수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냈습니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 HBM 경쟁 우위 장기화,목표가 38만원-신한증권(2025.06.30) (0) | 2025.06.30 |
---|---|
HBM 매출-2025년1분기/엔비디아와 AMD 매출 비교 (0) | 2025.06.29 |
마이크론, 회계년도 3분기 분기 최대 실적 발표,다음 분기 매출 전망도 예상치 상회(2025.06.26) (1) | 2025.06.26 |
KB증권과 삼성증권, SK하이닉스 목표가 34만원으로 상향(2025.06.25) (1) | 2025.06.25 |
SK하이닉스의 적정 PBR은?(2025.06.22) (0)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