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17
요즈음 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이 많다.
아래 글들은 6년전 미래의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 관하여 작성된 글이다.
이 글을 보면 현재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필명 '모두부자'는 2015년-2017년 사이에 작성한 글에서 5-6년후인 현재의
상황을 거의 100% 수준으로 예측하는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아래 글은 2015년10월 작성된 글이다.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하이퍼인플레이션'가능성 - Daum 카페
Let’s go back to the basics of the economy. It takes a while when money gets printed before it really gets circulated in the system. In normal economic times, it takes like 24 to 36 months before a newly printed $100 bill is really brought into circulation, and you can see the trickle down effects of that.
경제기본으로 돌아가서보면 새로운 화폐를 찍어내면 본격적인 경제효과가 나타나는데는 24개월에서 36개월
정도 걸린다.
The problem in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is the fact that the velocity of money is much slower than it used to be. Due to the lower velocity of the money, it takes much longer before you feel the trickle down effects. So instead of the 24 to 36 months, it’ll take, I’ll say 60-72 months before we see any of the trickle down effects into the real economy.
하지만 현재 경제상황에서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보다 화폐유통속도가 느리기때문에 경제에 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이 더 걸리고있다. 즉 2-3년이 아니라 5-6년이 걸리는 것이다.
We’re closing in on the 6-7 year period right after the first round of quantitative easing started in the U.S. so I do expect to see some sort of inflation increase in the near future, and the problem is once the velocity of money goes up again, then you might, indeed, have some sort of snowball rolling off the slope of a hill, and it will be completely uncontrollable.
이제 미국의 1차양적완화(2008.11-2010.03, 1조7천억달러규모) 시행후 6-7년이 다가오고있다.
그래서 이제 어떤 종류의 인플레이션이 가까운 시일안에 발생할것이고 , 일단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그 속도는 언덕에서 굴러내려오는 눈덩이와 같아서 제어할수가 없을 것이다.
[모두부자의 분석]
미국이 돈풀기 시작한게 1차가 2010년3월까지, 2차가 2011년8월까지고 3차가 2014년 10월까지니까
빠르면 지금부터, 느리면 2020년까지의 기간안에 하이퍼가 발생할수도 있겠네요.
------------------------------
2017.07.28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하이퍼인프레이션 집값? - Daum 카페
[모두부자의 분석]
1913년 독일 룸 5~6개짜리 집값이 25,000마르크였는데
10년뒤 1923년 1조분의 1로 화폐개혁. 즉 1조 마르크를 1 골드마르크로 만든 후
똑같은 집의 가격은 25,000 골드마르크입니다.
즉 집값이 1조배로 상승한겁니다.
그래서 전세 살면 안되는 이유입니다.
----------------------------------------------------
2021.02.25 김단테--->매우 유익한 영상
서브프라임 경고했는데 안들었지? 한번 더 경고한다 (버리형 등판) - YouTube
7분경: 하이퍼인플레이션 시작전에 이미 9년간 인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 당시 마르크화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통화였다.(지금 미국과 같다)
-증권 시장의 활황으로 거래량이 폭증해서 증권회사가 주문을 처리하지 못해서 며칠씩 쉬기도 했다.
(현재도 증권 시장 활황)
-1914년부터 인플레이션 진행하다가 1923년 하이퍼 발생.(지난 몇년간 부동산 상승/ 2년간 물가 상승)
-1914년부터 1918년까지 통화유통 속도는 전년비 마이너스. 1919년 통화유통 속도 폭발적으로 증가.
-미국 M2통화량 급격히 증가
--------------
2017.04.21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DSR 시대 개막…주택시장 재편 예고 - Daum 카페
아래는 DSR시대의 개막으로 대출이 어려워진다는 기사에 대한 모두부자의 댓글
[모두부자의 분석]
"대출을 억제하면 서민들만 집사기 힘들어지고 건설업자도
주택짓기가 힘들어지면 공급량 감소로 3년뒤에는
전세가 상승으로 서민만 고생. 결국엔 공급 부족으로 집값도 상승."
------------------------
2016.12.24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미국 주식 트럼프 랠리, 대공황 직전과 비슷 - Daum 카페
아래는 2016년7월현재 미국 주식시장이 대공황 직전과 비슷하다는 기사에 대란
모두부자의 반박글.
[모두부자의 분석]
"미국 다우지스는 1920년 100에서 1929년 386까지 10년간 거의 4배 상승.
지금은 금융위기전 2007년 14000에서 현재 2016년 19,987까지 10년간 겨우 50%도 상승 못함.
비교 대상이 못됩니다"
"대공황때는 금본위제이고 지금은 달러를 마음대로 찍어내니 환경자체가 다른 것같네요.
1928년6월 200에서 14개월만에 90% 급등하여 380을 넘어섬.
아직 이 정도의 버블이 안 나온 상태".
------------------------
2016.12.15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기준금리 인상으로 빚어지는 주식과 부동산 여파 - Daum 카페
국책 모기지 보증 기관인 프레디 맥의 집계에 따르면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지난주 4.13%
까지 치솟으며 올해 최고를 기록했다.
아래는 기준금리 인상을 우려하는 글에대한 모두부자의 반박 글.
"예금금리 5~6%에서는 적정 PER가 10배이지만
1~2%대에서는 적정 PER가 30배가 적정하겠죠.
지금 주식 시장은 거품이 아닙니다"
-----------------------------
2015.09.21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미국이 계속 돈을 찍어낸다면.. - Daum 카페
[모두부자의 분석]
지금 여기의 분위기는 몇개월내에 금융위기가와서 달러가 폭락하고
금값이 폭등하는 분위기입니다.
앞으로 달러가 폭락하고 금값이 폭등하는것에는 동의합니다.
하지만 미국이 쉽게 달러가치를 포기하리라고는 생각치않습니다.
어떤식으론지 달러가치를 유지하기위한 방법을 사용할 것입니다.
즉 제가 생각하는 것은 달러가치는 유지되면서 (다른 통화에 대하여), 인플레이션을
발생시켜 부채를 줄이는 방법을 택할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돈가치 하락에 따른 부동산상승과 주식의 상승이 예견됩니다.
이 까페 대부분의 생각과 다른 견해지만 그렇게 생각합니다.
모든 통화의 가치하락으로인한 실물 자산의 상승입니다.
다만 통화가치가 하락하지만 부동산이 하락할 수있다는 분의 논리를 환영합니다.
단, 지금의 남미 국가의 환율에의한 부동산 하락 논리는 거부합니다.
앞으로의 부동산은 신흥국의 환율에 의한 부동산 하락과 선진 시장의
양적완화에 따른 부동산 상승을 구별합니다.
한국은 경제규모로 볼때 선진시장으로 분류합니다.
그래서 양적완화로인한 부동산 상승을 예상합니다.
------------------------
2017.07.19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 s&p 500 지수는 지난 100년간 지금이 두번째로 비싸다. - Daum 카페
Daum 카페
cafe.daum.net
단순하게 생각하면 지금 주가가 비싸다고 볼 수있으나.
원글에서 간과한게 있죠. 즉 금리입니다. 2000년5월 미국 금리는 6.5%,
2017년 현재 미국금리는 1.0%~1.25%입니다. 금리가 다른데 같은 잣대를 들이댈 필요가 없죠.
어닝일드(earning yield)라는게 있죠. 주당순이익을 현재 주가로 나눈겁니다. 1/PER 이죠.
어닝일드가 5%인데 채권수익률이 6%이라면 채권수익이 더 좋으니까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산다는 겁니다.
위 그래프에서 2000년 PER이 45배라면 어닝일드는 1/45, 즉2.22%입니다.
하지만 연준 금리가 6.5%이니 채권 금리는
6.5%이상일 것이고 채권이 주식보다 4.3%이상 수익이 더나니 당연히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산다.
당연히 주식은 폭락했음.
![](https://blog.kakaocdn.net/dn/bps1zm/btru2mzDhLy/kqokkCR6k3jZhpdlUkuQ5k/img.png)
----------------
2022.01.19
지난 10년간 M2 통화량 2배로 증가(2022.01.19) (tistory.com)
M2통화량은 지난 2011년 1745조원에서 2020년에는 3194조원으로 증가했고,
2021년11월말에는 3605조원으로 2011년대비 2배로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시중에 풀린 돈이 정부 수립후 2011년까지 60년 동안 풀린 돈만큼
풀렸는데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MMF(머니마켓펀드),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CD(양도성예금증서), RP(환매조건부채권),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아파트 값을 비롯해 모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
아직 유일하게 못오른 것이 대한민국 주식인데 주식도 당연히 오를 것이다.
회사가 보유한 토지,공장.특허권과 설비 모두 가치가 상승하였는데 이런 것들이
주가에 반영이 안되어 있는 상태다.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GDP와 국가 부채(2022.02.24) (0) | 2022.02.24 |
---|---|
2021년말 기준 순대외금융자산은 6379억달러 (0) | 2022.02.24 |
미국 10년물, 2년물 국채 (2022.02.05) (0) | 2022.02.05 |
2022년1월 수출입 동향 (1) | 2022.02.01 |
지난 10년간 M2 통화량 2배로 증가(2022.01.19)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