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01
1.반도체 수출액(단위:백만달러)
2020년: 7,164(1월)-->7,400(2월)--> 8,757(3월)-->7,176(4월)-->8,068(5월)-->8,303(6월)--> 7,877(7월)-->8,200(8월)
---> 9,504(9월)--> 8,678(10월)--> 8,597(11월)-->9,462(12월)2020년 합계: 99,178(전년대비 +5.6% 증가)
2021년반도체 수출액(백만달러): 8,717(1월)-->8,374 (2월)-->9,506 (3월)--> 9,342(4월)
-->10,043(5월)-->11,159(6월)(누적 57,134)-->10,997(7월)-->11,727(8월)-->12,181(9월, +28.2%)
--->11,174(10월,+28.8%)--->12,037(11월,+40.1%)--->12,783(12월,+35.1%) 합계:127,984(2021년,29.0%)
2022년 반도체 수출액(백만달러, 전년 동월대비 증감): 10,817(1월,+24.2%)
---------------------------------------------------------
보도/해명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motie.go.kr)
◈ (총괄) 1월 수출 553.2억 달러(+15.2%), 수입 602.1억 달러(+35.5%), 무역수지는 △48.9억 달러 적자.
* 수출 증감률(%) : (’21.1)+11.4 → (2)+9.3 → (3)+16.3 → (4)+41.2 → (5)+45.6 → (6)+39.7 → (7)+29.6 → (8)+34.7 → (9)+16.9 → (10)+24.2 → (11)+31.9 → (12)+18.3 → (‘22.1)+15.2
◈ 1월 수출입의 주요 특징
➊ 수출은 오미크론 확산, 원자재價 상승, 작년 1월의 높은 기저효과*에도 불구, 두 자릿수의 견조한 수출 증가세를
이어감 (15개월 연속 증가)
* 1월 수출 실적(억 달러) : (‘20.1월)431(△6.6%) → (’21.1월)480(+11.4%) → (‘22.1월)553(+15.2%)
ㅇ 月 수출규모는 1월 최초 5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1월 중 최고치
* 1월 수출 상위 3개년 실적(억달러) : (1위) 553(‘22.1월) →(2위) 492(‘18.1월) → (3위) 480(‘21.1월)
➋ 주요 품목과 지역에서도 전반적인 수출 호조세가 지속
ㅇ (품목)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이 두 자릿수 증가하고 석유제품, 철강도 큰 폭으로 증가하며 1월 수출 증가를 견인.
* 품목별 수출 증가율(%) : (반도체) +24.2, (일반기계) +14.1, (油化) +40.0, (석유品) +88.4, (철강) +50.1
ㅇ (지역) 미국・아세안은 역대 1월 중 1위(중국・EU는 1월 중 2위), 인도·CIS 등 신흥시장도 두 자릿수 증가하며 9대 지역 모두 10개월 연속 증가
* 지역별 수출 증가율(%) : (중국) +13.1, (미국) +1.6 (EU) +13.3, (아세안) +28.9, (인도) +15.3, (CIS) +27.7
➌ 1월 수입도 에너지 가격 급등*과 동절기의 높은 에너지 수요 등 계절적 요인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여,
1월 무역수지 적자 시현.
* 원유・가스・석탄 등 3개 에너지원의 수입 규모는 작년 1월 대비 +90.6억 달러 증가 (’21.1월, 68.9억 달러 → ’22.1월, 159.5억 달러) : 1월 적자폭(△48.9억 달러)을 초과
※ 우리와 산업구조가 유사한 일본과 에너지 수입비중이 높은 프랑스도 최근 큰 폭의 적자 발생 (일본 12월 △5,824억 엔, 프랑스 11월 △97.3억 유로)
ㅇ 또한, 수출호조에 동반한 수입수요 확대로 반도체(+26.0%) 등 중간재 수입과 공급망 안정을 위한 재고확보 노력*에 따른 수입도 증가 *
품목별 수입 증감률(%, 25일 기준) : (황산코발트) +59, (산화텅스텐) +135, (수산화리튬) +129 등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퍼인플레이션 가능성(2022.02.17) (0) | 2022.02.17 |
---|---|
미국 10년물, 2년물 국채 (2022.02.05) (0) | 2022.02.05 |
지난 10년간 M2 통화량 2배로 증가(2022.01.19) (0) | 2022.01.19 |
2021년12월 수출입 동향 (0) | 2022.01.01 |
미 연준의 테이퍼링(2021.12.17)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