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수출입 동향

실리콘밸리 은행, FRC와 크레딧스위스

2023.03.18

분석: 연준은 3천억달러를 풀었다.

이는 2008년 금융 위기때보다 많은 돈이라고 한다.

연준은 금리는 올리고 반대로 돈은 풀었다(통화 정책은 엉망진창).

그만큼 금융 시장이 불안하다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연준을 믿지 못하고 오늘 주식 하락으로 나타났다.

 

하여튼 미국은 금리 인상이 어려운 상황(3월 금리 동결설)이고 이는 빅테크 기업에는 호재다.

 

상황:

지난 3월10일(금)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스타트업 기업을 전문으로 영업하는

자산규모 미국 16위 실리콘밸리 은행(SVB Financial Group (SIVB))이 파산했다.

SVB는 2021년 스타트업 기업 호황으로 예금이 80% 증가했고, 이 돈의 대부분을 

미 국채에 투자했으나  금리 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막대한 손실을 보았는데

예금 인출 사태로 17%정도의 손실을 보면서 채권 매도  계획을 발표.

 

이후 3월13일(월) 뉴욕에 위치한  시그니쳐 은행도  예금 인출 사태로 파산.

 

또한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자산 규모 13위 FRC(퍼스트 리퍼블리 뱅크)도 예금 인출 사태로

주가가 폭락.

이에 미 당국은  모건스탠리 등 11개 은행이 300억달러 정도 금액을 FRC에 예치하도록 조치.

이에 FRC 주가는 30%폭락하다가 9% 상승을로 마감.

 

연준은 중소은행이 보유한 미 국채를 액면가로 대출해주고, 파산한 SVB와 시그니쳐 은행의

브리지은행 설치등으로 3천억달러를 사용.

 

유럽은 부실한 크레딧스위스 은행(CS)을  살리기 위해 스위스 중앙은행이 자금 공급.

 

그래서 미국 주식 시장은 환호했으나 엄청난 거래량을 동반하며 하루 만에 다시 하락.

 

 

 

 

 

 

 

 

FRC도 32% 폭락.

 

 

은행주는 하락.

 

 

 금리 동결 예상으로 빅테크 기업은 상승.

 

 

 

 

----------------------------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Fed 피벗' 압박하는 시장! 파월, 항복이냐 반격이냐 - YouTube

 

 

--------------------------------------

[간밤 월드뉴스 총정리 3월18일] “美 11개 은행에 위험 전이”/ 전문가 80% “1년 내 침체”/ 22일 FOMC 집중 분석/ 푸틴에 체포영장/ 다음주 파월 변화·나이키 실적 - YouTube

 

 

---------------------------------------

코코본드

코코본드 - Daum 백과

유사시 주식으로 강제 전환되거나 상각된다는 조건이 붙은 회사채.

우발전환사채(Contingent Convertible Bond)의 줄임말로 조건부 자본증권이라고도 한다.

 

 

 

 

 

230321 뱅크런 대신 본드런? : 예상치 못한 나비효과 l CS AT1 사태 점검 l 리서치센터 모닝브리프 - YouTube

 

 

 

 

 

 

 

 

 

 

---------------------------------------

[LIVE] 미 재무부 "문제 없다" 라지만.. CS 신종자본증권 상각 문제로 투자자들 법적 대응 준비 중!? l (feat 정광우&유신익) 0322굿모닝인포맥스 -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