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SK하이닉스, 올 3분기 삼성전자와 D램 점유율 격차 5%p 아래로/ HBM 시장 2027년 400억달러(2023.11.26)

2023.11.26

SK하이닉스의 2023년 3분기 글롭절 D램 점유율은 35%로삼성전자의 39.4%와는 격차가

5%p 아래로 좁혀졌다 마이크론의 점유율은 21.5%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 올 3분기 삼성전자와 D램 점유율 격차 5%p 아래로 (daum.net)

 

SK하이닉스, 올 3분기 삼성전자와 D램 점유율 격차 5%p 아래로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증가와 맞물린 고대역폭 메모리(HBM) 성장세 등에 힘입어 D램 시장 점유율 1위인 삼성전자와 격차를 5%포인트 아래까지 좁혔다.

v.daum.net

 

 

 

 

---------------------------------

"AI 경쟁에 HBM 반도체 주문 두 배 늘어…시장 매년 82% 커질 것" (naver.com)

모건스탠리는 지난 2023년 7월 내놓은 HBM 시장 보고서에서 내년 시장 규모를 41억 달러(약 5조 5000억 원)로 예측했다가 최근 이를 2배 이상 높였다. 이들이 다시 제시한 2024년 HBM 규모는 약 96억 달러(약 12조 8000억 원) 수준이다.
국내 증권업계에선 AI 수요 폭발로 HBM 시장이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RG) 75%를 기록하고 400억 달러(약 53조 5000억 원) 이상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봤다.

 

하이닉스 부사장은 HBM시장은 매년 82%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