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30
2025년 실적은 매출 81조원 (+23% YoY), 영업이익 31.1조원 (+35% YoY, OPM 38.4%)-KB증권
■ 목표주가 240,000원, Buy 유지
KB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 240,000원,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 이는 스마트 폰, PC 수요 둔화에 따른 범용 메모리 재고 증가에도 AI 및 서버용 메모리 (HBM, DDR5, eSSD) 매출 확대로 반도체 하락 사이클에도 불구하고 내년 실적 성장세 지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① 2025년 SK하이닉스는 HBM3E 출하 증가로 DRAM에서 차지하는 HBM 매출 비중이 분기별 42~44%에 달하며, DRAM 이익의 50% 이상을 HBM에서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② 내년 NAND 부문은 매출의 60%를 상회한 eSSD 매출 증가와 공급 축소 전략 등에 따른 원가구조 개선으로 공급 과잉 국면에서도 과거처럼 급격한 수익성 악화 가능성은 제한적일 전망이다.
■4분기 추정 영업이익 7.6조원, +8% QoQ
4분기 실적은 매출 19.4조원 (+11% QoQ, +72% YoY), 영업이익 7.6조원 (+8% QoQ, OPM 39.2%)으로 전망되어 컨센서스 영업이익 (8.0조원)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4분기 부문별 영업이익은 DRAM 7.0조원 (+12% QoQ, OPM 50.9%), NAND 0.6조원 (-24% QoQ, OPM 12.3%)으로 추정되어 양호한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
이는 HBM3E 출하 확대 효과로 DRAM에서 차지하는 HBM 매출 비중이 3분기 30%에서 4분기 40%를 상회하는 동시에 저 수익의 범용 메모리 출하 축소를 통해 4분기 DRAM 가격 상승 폭 (+8% QoQ)이 경쟁사 대비 +2배 높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2025년 추정 영업이익 31조원, +35% YoY
2025년 실적은 매출 81조원 (+23% YoY), 영업이익 31.1조원 (+35% YoY, OPM 38.4%)으로 역대 최대인 2024년 실적 (영업이익 23.0조원)을 재차 경신할 전망이다.
이는 글로벌 HBM3E 출하 비중이 2024년 46%에서 2025년 89%까지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블랙웰 수요 기반 확대와 더불어 HBM3E 12단 시장에서도 선두 업체의 지위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다만 가격 경쟁과 공급 과잉에 직면한 NAND 부문은 생산량 조절을 통한 공급 축소 전략과 eSSD 중심의 수익성 위주 전략으로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익 달성이 예상된다.
향후 SK하이닉스 주가의 상승 반전 계기로는 ① HBM3E 12단 공급 물량 확대 및 HBM4 조기 공급을 통한 추가적인 실적 개선, ② 내년 상반기 이후 NAND 시장의 수급 개선과 가격 상승 전환 등이 전망된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Link와 PCIe 5.0의 차이점 (0) | 2024.12.31 |
---|---|
엔터프라이즈 SSD 시장, 3분기 성장률 28.6% 기록하며 강력한 성장세(2024.12.11) (1) | 2024.12.30 |
머스크의 xAI(2024.12.29) (1) | 2024.12.29 |
마이크론과 SK하이닉스 차이점(2024.12.29) (5) | 2024.12.29 |
리게티 컴퓨팅(양자 컴퓨터 관련 주식)의 1년간 1달러대에서 17달러대로 급등(2024.12.29)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