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SK하이닉스 실적-증권사별(2025.01.24)

2025.01.24

대신증권

어려운 업황에서 돋보이는 경쟁력 신석환 seokhwan.shin@daishin.com

 

투자의견 BUY 매수, 유지 6개월 목표주가 265,000 상향

 

현재주가 (25.01.23) 219,500 반도체업종

 4Q24 매출액 19.7조원, 영업이익 8.1조원으로 최대 실적 갱신

 1Q25 IT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실적 감소 → 2Q25 실적 성장 재시작

 25년 영업이익 33.7조원 증가 추정, 고부가 메모리 경쟁력 재차 입증 전망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65,000원으로 상향(+10%)

 

목표주가는 25년 BPS에 Target P/E 2배를 적용하여 산출, 25년에도 SK하이닉스 는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HBM, DDR5, LPPDR5)에서의 경쟁력을 재차 입증할 것 으로 예상됨에 따라 멀티플 상향 조정함.

 

4Q24 매출액 19.7조원(QoQ +12%, YoY +75%), 영업이익 8.1조원(QoQ +15%, YoY +2,236%)를 기록, 당사 추정치와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을 발표함.

 

IT 수 요 둔화 및 중화권 메모리 반도체 공급 확대에 따른 레거시 반도체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4Q24 DRAM ASP는 +10% QoQ로 상승,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중심 공 급에 따른 효과 반면 NAND는 응용처별 수요 둔화에 대한 영향이 크게 작용하며, 4Q24 NAND B/G와 ASP는 각각 -5% QoQ, -5% QoQ로 나타남.

 

사업부별 영업이익은 DRAM 7.3조원(OPM 50%), NAND 0.6조원(OPM 13%)로 추정함 1Q25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일시적 둔화 → 2Q25부터 실적 성장 25년 HBM 중심의 AI 성장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1분기 계절적인 IT 수요 둔 화와 1H25까지 PC/스마트폰 OEM사들의 메모리 반도체 재고 조정이 진행될 것 임.

 

1Q25 DRAM B/G는 -13% QoQ, DRAM ASP -2% QoQ로 전망, 1Q25 NAND B/G는 -18% QoQ, NAND ASP -10% QoQ로 예상함.

 

다만 2Q25부터 SK하이닉스의 DRAM 사업부 실적은 완만한 성장세를 예상,

1) 3Q24 IT 성수기 효과, 2) DDR5/LPDDR5와 같은 고용량 메모리 탑재량 증가, 3) 12단 HBM3E 공급 확대에 기인함.

 

25년 매출액 86.3조원(YoY +31%), 영업이익 33.7조원(YoY +44%)로 증가 추정, 12단 HBM3E 공급 확대와 2H25 메모리 가격 반등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함. 현재 시점에서는 일반 IT 제품 수요 회복의 강도가 25년 NAND와 커머디티 DRAM의 실적 성장 및 주가의 추가 상승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 .

 

(단위: 십억원, %) 

 

 

------------------------------------------------------------------

KB증권

SK하이닉스 (000660) Buy

실적 차별화 기대

산업/기업김동원2025.01.24

 

목표주가 280,000원으로 상향


KB증권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280,000원으로 +16.6% 상향하고 Buy를 유지한다.

목표주가 상향은 ① 2025년 2분기부터 고수익의 HBM3E 12단 출하가 본격화되며 올해 DRAM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HBM에서 창출할 것으로 추정되고, ② 범용 메모리의 경우 감산 및 선단 공정 전환으로 인한 웨이퍼 투입 감소에 따른 공급 축소 효과와 온디바이스 AI (모바일, PC) 수요 증가 등으로 2분기 이후 공급과잉 완화가 전망되어 하반기부터 범용 메모리 가격도 안정 추세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025년, 2026년 순이익을 각각 25.1조원, 33.8조원으로 상향 수정하였다.


■1분기 추정 영업이익 6.1조원, +112% YoY


4분기 실적은 매출 19.8조원 (+12% QoQ, +75% YoY), 영업이익 8.08조원 (+15% QoQ, OPM 40.9%)을 기록해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4분기 부문별 영업이익은 DRAM 7.4조원 (B/G +5%, ASP +10%, +19% QoQ, OPM 51.8%), NAND 0.7조원 (B/G -5%, ASP -6%, -21% QoQ, OPM 13.4%)으로 예상된다.

 

한편 1분기 실적은 매출 17.7조원 (-10% QoQ, +43% YoY), 영업이익 6.1조원 (-24% QoQ, +112%YoY, OPM 34.6%)으로 전망된다. 1분기 부문별 영업이익은 DRAM 6.07조원 (B/G -12%, ASP +2%, -18% QoQ, OPM 45.4%), NAND 638억원 (B/G -17%, ASP -8%, -90% QoQ, OPM 1.6%)으로 추정된다.

 

■2025년 추정 영업이익 31.7조원, +35% YoY


2025년 실적은 매출 81조원 (+23% YoY), 영업이익 31.7조원 (+35% YoY, OPM 39%)으로 2024년 최대 실적 (영업이익 23.5조원)을 재차 경신할 전망이다. 한편 2025년 NAND 영업이익은 2025년 비트 출하 감소 (-4% YoY)와 가격 하락 (-5% YoY) 등에 따른 6,780억원으로 전년대비 -74%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하반기로 갈수록 공급 축소 효과와 온디바이스 AI 수요 증가 등으로 전반적인 수급 개선 추세가 나타날 전망이다.

 

특히 2025년 SK하이닉스는 HBM3E 12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반으로 올해 DRAM 영업이익 (31조원, +48% YoY)은 역대 최대치를 달성할 것으로 보여 NAND를 포함한 범용 메모리 부문의 이익 감소를 상쇄해 실적 차별화가 기대된다.

 

-------------------------------------------

2025.01.24

목표주가 280,000원

JP모건 “SK하이닉스, HBM 리더십 확보… 투자의견·목표가 상향 조정”

 

JP모건 “SK하이닉스, HBM 리더십 확보… 투자의견·목표가 상향 조정”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메모리(HBM) 리더십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맥쿼리는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넘어서 메모리 반도체 1위 기업으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