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설

한국 관련책-미의회 도서관(2025.02.22)

2025.02.22

 

--------------------------------------------

 

 

만주(滿洲)라는 지명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나?

 

 

-----------------------------------------------------------------------------------------

 

 

 

 

04024369.pdf

 

 

 

이미지를 텍스트로 바꿔줘

 

PREFACE.

The author was made painfully aware, at an early stage of his residence among the Chinese, of his own all but total ignorance of this “peculiar people,” who are a world to and in themselves; and he knows that this ignorance is characteristic of his countrymen. Books written by travellers to China abound; but a visit to the Celestial Empire no more entitles a man to write on this people than the knowledge of simple arithmetic warrants a man to enter the arena of the most abstruse problems of mathematical astronomy. Travellers relate the odd, the grotesque; for this only is sufficiently notable to make it impossible to escape their passing notice. But the knowledge that the Chinese wear “tails,” are olive-eyed, eat birds’ nests, and consider bears’ paws the greatest delicacy, no more explains this people than beef-eating accounts for the history of the English; for it is not from the eccentricities of a people we can understand them, but by our knowledge of those principles which they esteem most highly, and which they are always ready to praise, though perhaps slow to practice;—for it is only a small minority in any country which is found honestly endeavouring to embody in their life, up to the measure of their ability, those principles of right conduct which are all but universally professed by that country. This knowledge we can acquire only from the national and everyday life of a people.

 

서문

저자는 중국인들과 함께 생활하는 초기 단계에서, 이 "특이한 민족"에 대해 거의 완전히 무지하다는 사실을 고통스럽게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그들만의 독자적인 세계를 이루고 있으며, 저자는 이러한 무지가 자신의 동포들에게도 공통적인 특성임을 알고 있습니다. 중국을 여행한 사람들이 쓴 책들은 많지만, 천조국(중국)을 방문했다고 해서 그 민족에 대해 글을 쓸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마치 단순한 산술을 아는 사람이 고등 수학이나 천문학의 가장 난해한 문제를 논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여행자들은 기이한 것들, 괴이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것들은 너무나 눈에 띄어 그냥 지나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중국인이 변발을 하고, 눈이 올리브색이며, 제비집을 먹고, 곰 발바닥을 최고의 진미로 여긴다는 사실을 안다고 해서 그 민족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마치 영국인이 소고기를 먹는다고 해서 영국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가 한 민족을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기행(奇行)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가장 높이 평가하고 칭찬하는 원칙들을 아는 데서 나옵니다. 물론, 이러한 원칙들을 실천하는 데에는 더딜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어느 나라에서나 이러한 원칙을 솔직하게 삶 속에서 구현하려 노력하는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각 나라가 거의 보편적으로 신봉하는 올바른 행동 원칙을, 그들이 얼마나 실천하려고 노력하는지에 따라 우리는 그 민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지식은 오직 그 나라의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방식과 삶 속에서만 얻을 수 있습니다.

 

 

 

 

PREFACE.

An excellent summary, from which to glean some knowledge of the Chinese, is the "Middle Kingdom" of Dr. Williams; but to one ignorant of the Chinese people, it is but a skeleton sketch, needing flesh and colour to make it a living picture. Dr. Legge’s noble work in his transl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provides a more thorough and satisfactory means of judging this people, for those who are willing to take the pains to draw inferences, to learn the cause from the effect, and from philosophical principles to search out the national life producing those principles. But this is again the work of but a few; for general readers must have all the thinking done for them.

The present work is an attempt to show what China is, by drawing, from Chinese national history, as life-like a representation as the author is able to present of the exact position in the human family which we must assign to the Chinese people. This representation should unfold all the various shades of character which go to make up the Chinese people,—the noble and the base, the mean and the honourable,—and should picture the unselfish patriot, as well as the man who acts only with the view of advancing his own private interests; for all these will be found in China as in Britain. As Philosophy or Literature and Government are, and have always been, indissolubly wedded together in China, we should also thus see Chinese philosophy exhibited in actual life, and be able to reveal the causes and explain the process of political revolutions in that country. But as it would require scores of volumes to detail Chinese universal history, the author believed his purpose would be most effectually accomplished by giving an account of the rise and progress of the reigning dynasty of China, from its earliest dawn to the zenith of its power. But in preparing materials for this history, it was found so inextricably blended with the history of...

 

서문

 

중국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는 훌륭한 개요서는 윌리엄스 박사의 "미들 킹덤(Middle Kingdom)" 이지만, 중국인에 대해 무지한 사람에게 그것은 살과 색이 필요한 해골 같은 개요에 불과하며, 이를 생동감 있는 그림으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레지 박사가 중국 고전을 번역한 뛰어난 저작은 이 민족을 판단하는 데 있어 더 철저하고 만족스러운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는 인과관계를 통해 원인을 배우고, 철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그 원칙을 만들어낸 국민 생활을 탐구하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유용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소수의 몫일 뿐이며, 일반 독자들은 누군가 대신 사고해 주기를 요구합니다.

 

본 저서는 중국이 어떤 나라인지를 보여주기 위한 시도로서, 중국의 국가 역사에서 그려낸 생생한 표현을 통해, 인류의 구성원으로서 우리가 중국인들에게 부여해야 할 정확한 위치를 제시하고자 합니다. 이 표현을 통해 중국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성격의 층을 밝혀야 하며—고귀한 자와 비열한 자, 비천한 자와 명예로운 자—뿐만 아니라, 이타적인 애국자와 오직 자신의 사리사욕만을 추구하는 인물까지도 그려야 합니다. 이러한 인물들은 중국뿐만 아니라 영국에서도 볼 수 있는 존재들입니다.

 

철학, 문학, 그리고 정부가 중국에서는 항상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왔기 때문에, 우리는 중국 철학이 실제 생활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볼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그 나라에서 발생한 정치적 혁명의 원인과 과정을 밝힐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의 보편적인 역사를 자세히 다루려면 수십 권의 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저자는 중국의 현 통치 왕조의 흥망성쇠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왕조의 최초 탄생에서 전성기에 이르기까지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역사의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너무나도 깊이 중국의 전반적인 역사와 얽혀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PREFACE.

Liaotung, where it originated, and this again so indissolubly connected with Corea, that it is deemed advisable to give the history of Corea and Liaotung in a separate and introductory form, and to make it as complete as can be done from the authorities at the disposal of the author. This plan was all the more readily adopted, because the recital of the Chinese ancient history, centering around Liaotung, will suffice to show as much of the past of China, as will prepare the reader for more easily comprehending its present, and approximately forecasting its future.

That future is yet to wield a mighty influence for good or for evil upon the whole world. The political throes of ancient China burst up the old Roman empire; and those who know the internal state of China, are aware that changes are going on which will make her power more actively felt by the world at large than ever before. The main condition for the manifestation of that power, is either Truth, which shall teach the Chinese mutual trust,—or a Napoleon, who shall compel united action. Christians are especially bound to interest themselves more in this China, so that when she does appear in her awakened Samson strength, it may be as a Christian power. China is still weak, but at the present moment she is assuming a bold attitude on the borders of Russia; and has compelled Russia to agree to cede over to her Eastern Turkestan, which the Russians had declared “inalienably” annexed.

In preparing this volume on Corea for the public, the author had to follow one of two courses—either to cast the principal material at his disposal into the smallest possible bulk, and to give a few essays on the past history of the countries illustrated, or to present those materials in fuller detail, to be more literally exact if less interestingly written; and he has chosen the latter.

 

서문

랴오둥(Liaotung)은 그 기원이 된 지역이며, 다시 조선(Corea)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조선과 랴오둥의 역사를 별도의 서문 형식으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그리고 저자가 이용할 수 있는 권위 있는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가능한 한 완전한 형태로 이를 정리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이 계획은 더욱 쉽게 채택될 수 있었는데, 이는 랴오둥을 중심으로 한 중국 고대 역사의 서술이 중국의 과거를 충분히 보여줄 뿐만 아니라, 독자가 현재를 더 쉽게 이해하고, 나아가 미래를 대략적으로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미래는 여전히 전 세계에 선한 영향이든, 악한 영향이든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고대 중국의 정치적 격변은 옛 로마 제국을 붕괴시켰습니다. 그리고 중국 내부의 상황을 잘 아는 사람들은 현재 진행 중인 변화들이 이전보다 훨씬 더 강력하게 세계에 중국의 힘을 느끼게 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힘이 현실화되기 위한 주요 조건은, 중국인들에게 상호 신뢰를 가르칠 진리(Truth) 가 될 것인지, 아니면 통합된 행동을 강제할 나폴레옹(Napoleon) 이 될 것인지에 달려 있습니다.

기독교인들은 특히 중국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중국이 깨어난 삼손(Samson)과 같은 힘을 보일 때 그것이 기독교 국가로서 나타날 수도 있도록 해야 합니다. 중국은 아직 약한 상태에 있지만, 현재 러시아 국경에서 강경한 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러시아가 자신들이 "영구적으로" 병합했다고 선언한 동(東) 투르키스탄을 중국에 할양하도록 강요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조선의 역사를 대중에게 소개하는 과정에서, 저자는 두 가지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습니다. 하나는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핵심 자료를 최소한으로 줄여 간략한 역사적 개요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자료를 보다 상세하게 제시하여 정확성을 높이되, 그만큼 덜 흥미롭게 서술하는 것이었습니다. 저자는 후자를 선택하였습니다.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수필-이상화  (0) 2024.06.30
아방강역고  (0) 2024.06.25
음모-한인택  (1) 2024.06.07
아언각비  (1) 2024.06.06
이수광_7권 경서부(經書部)3, 문자부(文字部)  (0) 2024.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