雅言覺非目錄
卷之一
京口 一 長安洛陽 一 太守使君 一
監務 一 智邱 四 貳外郞 五
司馬 一 七
水驛 八
國子 七
狀元 九
杏檀 八
杉 一
檀 五
桂 七
山茶 五
槐山椒桃 三
葉局菴籍 六
杜仲杜橘 六
厚朴牧丹 五
山棗 三
沙參黃蓍 七
萇葶蓮芡 七
葛棘蓍菊 三
橘 三
棠梧 青蘘 二
茶 三 荊芥 二
蕘 六
蕺苡苓菊 五
胡蘆青蓍 一
苣葑 二 藜莧 二
檾 一
蘗茹芫 二
蒿一萊蔥 三
醢 一 齏 一
---------------
雅言覺非 卷之一
流俗相傳語音失實辯正識反正為雅言覺非遂起發疑
長安洛陽中原兩地之名東取之京口不疑
實音借用從始稱流傳之城長安有兩個一城京口洛陽之一安城
長安有兩個有一自此始稱流傳之城京口洛陽之中原始稱長安者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京口洛陽名也在虞舜之際始為洛陽自唐高宗取之名流至宋孝宗自創此地南史武徵時徒之京口竹林寺亦此地也若是則自京口江之凡
雅言覺非 卷之一 (아언각비 제1권)
유속상전어음실실변정식반정위아언각비수기발의
流俗相傳語音失實辯正識反正為雅言覺非遂起發疑
(유속(유행하는 속된 것)이 서로 전해지면서 발음이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옳게 알리는 것이 아언각비이며, 이로 인해 의문이 일어났다)
장안낙양중원양지지명동취지경구불의
長安洛陽中原兩地之名東取之京口不疑
(장안과 낙양 중원의 두 지명은 동쪽에서 경구를 취한 것이며, 의심할 필요가 없다)
실음차용종시칭유전지성장안유양개일성경구낙양지일안성
實音借用從始稱流傳之城長安有兩個一城京口洛陽之一安城
(실제 발음은 차용하여 처음부터 전해 내려온 성으로 불렸으며, 장안에는 두 개의 성이 있고, 하나는 경구, 낙양의 하나는 안성이다)
장안유양개유일자차시칭유전지성경구낙양지중원시칭장안자어낙하연명낙중학자개습연이무의
長安有兩個有一自此始稱流傳之城京口洛陽之中原始稱長安者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장안에는 두 개의 성이 있고, 하나는 여기서부터 전해 내려오는 성으로, 경구와 낙양의 중원에서 장안이라 불린 자는 낙하(낙양) 아래에서 연명(물가의 명소) 낙중(낙양의 학문) 학자들이 모두 배웠고, 의심할 바 없다)
장안어동진일장안어낙하연명낙중학자개습연이무의
長安於東晉日長安於洛下淵明洛中學者皆習焉而無疑
(동진(동진 시대)에 장안에서 낙하 아래 연명(물가의 명소) 낙중(낙양의 학문) 학자들이 모두 배웠고, 의심할 바 없다)
경구낙양명야재우순지제시위낙양자당고종취지명유지송효종자창차지남사무징시도지경구죽림사역차지야약시즉자경구강지범
京口洛陽名也在虞舜之際始為洛陽自唐高宗取之名流至宋孝宗自創此地南史武徵時徒之京口竹林寺亦此地也若是則自京口江之凡
(경구와 낙양의 명칭은 우순(고대 중국 전설의 황제) 시기에 낙양으로 시작되었고, 당 고종이 이 명칭을 취하여 송 효종에 이르기까지 명칭이 이어졌으며, 이곳을 창설하였고 남사(남쪽의 역사서)에 따르면 무징(무력의 증거) 시기에 경구로 이주하였으며, 죽림사도 이곳에 있었다. 만약 그렇다면 경구에서 강의 범위가 시작된다)
---
이 번역은 원문의 한자와 뜻을 최대한 고려하여 해석한 것입니다.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방강역고 (0) | 2024.06.25 |
---|---|
음모-한인택 (1) | 2024.06.07 |
이수광_7권 경서부(經書部)3, 문자부(文字部) (0) | 2024.05.25 |
이수광_13권 문장부(文章部) (0) | 2024.05.25 |
메밀 꽃 필 무렵-2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