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요약: 전 세계 해운사들이 보유한 선박중에서 중국에서 제작한 선박 비중이 50%가 넘을 경우,
이 해운사의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백만달러(약14억원)의 서비스 요금 부과할 것이다.
또는 24개월내에 인도 받을 신규 선박중에 중국에서 제작된 선박 비중이 50%가 넘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백만달러의 서비스 요금이 부과될 것이다.
전 세계 해운사들은 중국 선박 비중을 줄이기 위해 중국외 국가에 발주를 내야 하는 상황으로 최대 수혜국은
한국 조선사들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
2025.02.23
中 견제 나선 美···중국 선사·제조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
中 견제 나선 美···중국 선사·제조선박에 수수료 부과 추진
[서울경제] 미국이 중국 선사 등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미국이 글로벌 조선·해운 시장에서 중국 영향력이 확대되는 데 대한 견제 조치다. 미국
v.daum.net
------------------------------------------------------------------
USTR Seeks Public Comment on Proposed Actions in Section 301 Investigation of China’s Targeting of the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for Dominance
USTR, 중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 지배 전략에 대한 301조 조사에서 제안된 조치에 대한 공공 의견 요청
February 21, 2025
Washington, DC – The 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USTR) is inviting comments from the public on proposed Section 301 actions aimed to obtain the elimination of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targeting the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for dominance. In this Section 301 investigation, USTR has found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to be unreasonable and to burden or restrict US commerce.
2025년 2월 21일
워싱턴 D.C. –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 지배 전략과 관련된 조치(301조 조치)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이번 301조 조사에서 USTR은 중국의 행위, 정책 및 관행이 부당하며 미국의 상업 활동을 부담하거나 제한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To obtain the elimination of China’s acts, policies, and practices, and in light of China’s market power over global supply, pricing, and access in the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USTR proposes to impose certain fees and restrictions on international maritime transport services related to Chinese ship operators and Chinese-built ships, as well as to promote the transport of U.S. goods on U.S. vessels. USTR invites comments from any interested person on the proposed actions.
이에 따라 중국의 이러한 행위, 정책 및 관행을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중국이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에서 글로벌 공급망, 가격,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USTR은 중국 선박 운영자 및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된 선박과 관련된 국제 해운 서비스에 특정 요금 및 제한을 부과하는 조치를 제안합니다. 또한, 미국산 제품의 미국 선박을 통한 운송을 촉진하는 방안도 포함됩니다.
USTR will hold a public hearing about the proposed actions on March 24, 2025, in the main hearing room at the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USTR은 이 제안된 조치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모든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USTR은 2025년 3월 24일 국제무역위원회(ITC) 본회의장에서 공개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The deadline to submit a request to appear at the hearing is March 10, 2025.
The deadline for submission of comments is March 24, 2025.
청문회 참석 요청 제출 마감일: 2025년 3월 10일
의견 제출 마감일: 2025년 3월 24일
To view the Federal Register Notice, click here.
Comments in response to this notice can be submitted or accessed here.
연방 관보 공지문(Federal Register Notice) 보기
Background
Section 301 of the Trade Act of 1974, as amended (Trade Act), is designed to address unfair foreign practices affecting U.S. commerce. The Section 301 provisions of the Trade Act provide a domestic procedure through which interested persons may petition the U.S. Trade Representative to investigate a foreign government act, policy, or practice and take appropriate action. Section 301(b) may be used to respond to unreasonable or discriminatory foreign government acts, policies, and practices that burden or restrict U.S. commerce.
배경
1974년 무역법(Trade Act of 1974)의 **301조(수정된 버전)**는 미국 상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불공정한 외국의 관행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조항입니다.
무역법의 301조 조항은 국내 절차를 통해 이해관계자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외국 정부의 행위, 정책 또는 관행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청원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또한, 301조(b) 조항은 미국 상업 활동에 부담을 주거나 제한하는 비합리적이거나 차별적인 외국 정부의 행위, 정책 및 관행에 대응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조항입니다.
On March 12, 2024, five national labor unions filed a petition request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acts, policies, and practices of China targeting the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for dominance. The five petitioner unions are:
- the United Steel, Paper and Forestry, Rubber, Manufacturing, Energy, Allied Industrial and Service Workers International Union, AFL-CIO CLC (“USW”);
-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chinists and Aerospace Workers (“IAM”);
- the International Brotherhood of Boilermakers, Iron Ship Builders, Blacksmiths, Forgers and Helpers, AFL-CIO/CLC (“IBB”);
- the International Brotherhood of Electrical Workers (“IBEW”); and
- the Maritime Trades Department, AFL-CIO (“MTD”).
2024년 3월 12일, 다섯 개의 전국 노동조합이 중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 지배 전략과 관련된 행위, 정책 및 관행에 대한 조사를 요청하는 청원을 제출하였습니다.
이 청원을 제출한 다섯 개의 노동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철강노조(USW): United Steel, Paper and Forestry, Rubber, Manufacturing, Energy, Allied Industrial and Service Workers International Union, AFL-CIO CLC
- 국제기계항공우주노조(IAM):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chinists and Aerospace Workers
- 국제보일러제작노조(IBB): International Brotherhood of Boilermakers, Iron Ship Builders, Blacksmiths, Forgers and Helpers, AFL-CIO/CLC
- 국제전기노조(IBEW): International Brotherhood of Electrical Workers
- 해양무역부(AFL-CIO MTD): Maritime Trades Department, AFL-CIO
The petition was filed pursuant to Section 302(a)(1) of the Trade Act, requesting action pursuant to Section 301(b).
이 청원은 무역법(Trade Act) 302조(a)(1) 항에 따라 제출되었으며, 301조(b) 항에 따른 조치를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ursuant to Section 302(a)(2) of the Trade Act, the U.S. Trade Representative reviewed the allegations in the petition and determined to initiate an investigation regarding the issues raised in the petition. On April 17, 2024, the U.S. Trade Representative requested consultations with the government of China.
무역법 302조(a)(2) 항에 따라,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청원에 제기된 주장을 검토한 후, 해당 사안에 대한 조사를 개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 4월 17일, 미국 무역대표부는 중국 정부와의 협의를 요청하였습니다.
In light of th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investigation and taking into account public comments, as well as the advice of the interagency Section 301 Committee and advisory committees, the U.S. Trade Representative determined that China’s targeting of the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for dominance is actionable under Sections 301(b) and 304(a) of the Trade Act.
조사 과정에서 확보한 정보와 대중 의견, 301조 관련 정부 간 위원회 및 자문위원회의 조언을 고려한 결과, 미국 무역대표부는 중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 지배 전략이 무역법 301조(b) 및 304조(a) 항에 따라 조치 가능한 사안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The U.S. Trade Representative found that China’s targeting for dominance is unreasonable and burdens or restricts U.S. commerce.
미국 무역대표부는 중국의 지배 전략이 비합리적이며, 미국의 상업 활동에 부담을 주거나 제한한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Specifically, USTR found China’s targeting for dominance unreasonable because it displaces foreign firms, deprives market-oriented businesses and their workers of commercial opportunities, and lessens competition and creates dependencies on China, increasing risk and reducing supply chain resilience. China’s targeting for dominance is also unreasonable because of Beijing’s extraordinary control over its economic actors and these sectors.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 지배 전략이 비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외국 기업을 시장에서 밀어내고,
- 시장 중심의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상업적 기회를 빼앗으며,
- 경쟁을 약화시키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증가시켜 공급망 회복력을 저하시킨다는 점 때문입니다.
China’s targeting for dominance is also unreasonable because of Beijing’s extraordinary control over its economic actors and these sectors.
또한, 중국 정부가 자국 경제 주체와 해당 산업을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통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국의 시장 지배 전략은 비합리적이라고 평가되었습니다.
USTR found that China’s targeting for dominance burdens or restricts U.S. commerce by undercutting business opportunities for and investments in the U.S. maritime, logistics, and shipbuilding sectors; restricting competition and choice; creating economic security risks from dependence and vulnerabilities in sectors critical to the functioning of the U.S. economy; and undermining supply chain resilience.
A copy of the petition and other public documents associated with this investigation are available here. USTR’s public report on the investigation is available here, and the U.S. Trade Representative’s determination is available here.
USTR는 중국의 시장 지배 전략이 미국 상업 활동에 부담을 주거나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의 해운, 물류 및 조선 산업에서 사업 기회와 투자 기회를 빼앗음
- 경쟁과 선택의 기회를 제한함
- 미국 경제의 핵심 산업에서 중국 의존도를 높여 경제 안보 리스크를 초래함
- 공급망 회복력을 저해함
이번 조사와 관련된 청원의 사본 및 기타 공개 문서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TR의 조사 공개 보고서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의 최종 결정문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ervice Fee on Maritime Transport Operators with Prospective Orders for Chinese Vessels:
중국 조선소에 대한 선박 주문이 있는 해운사에 대한 서비스 요금:
An additional fee based on the percentage of vessels ordered from Chinese shipyards: (a) For operators with 50 percent or greater of their vessel orders in Chinese shipyards or vessels expected to be delivered by Chinese shipyards over the next 24 months, the operator will be charged up to $1,000,000 per vessel entrance to a U.S. port;
중국 조선소에서 주문한 선박 비율에 따라 추가 요금이 부과됩니다:
(a) 중국 조선소에서 주문한 선박이 50% 이상이거나, 향후 24개월 내에 중국 조선소에서 인도될 예정인 선박이 50% 이상인 운영자의 경우, 미국 항구에 선박이 입항할 때마다 최대 $1,000,000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For operators with greater than 25 percent and less than 50 percent of their vessel orders in Chinese shipyards or expected to be delivered by Chinese shipyards over the next 24 months, the operator will be charged up to $750,000 per vessel entrance to a U.S. port;
중국 조선소에서 주문한 선박이 25% 초과 50% 미만이거나, 향후 24개월 내에 중국 조선소에서 인도될 예정인 선박이 해당 비율인 운영자의 경우, 미국 항구에 선박이 입항할 때마다 최대 $750,000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For operators with greater than 0 percent and less than 25 percent of their vessel orders in Chinese shipyards or expected to be delivered by Chinese shipyards over the next 24 months, the operator will be charged up to $500,000 per vessel entrance to a U.S. port.
중국 조선소에서 주문한 선박이 0% 초과 25% 미만이거나, 향후 24개월 내에 중국 조선소에서 인도될 예정인 선박이 해당 비율인 운영자의 경우, 미국 항구에 선박이 입항할 때마다 최대 $500,000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b) A fee of up to $1,000,000 per vessel entrance to a U.S. port will be charged to a vessel operator if 25 percent or more of the total number of vessels ordered by that operator, or expected to be delivered to that operator, are ordered or expected to be delivered by Chinese shipyards over the next 24 months.
(b) 또한, 한 운영자가 주문한 전체 선박의 25% 이상이 중국 조선소에서 주문되었거나, 향후 24개월 내에 중국 조선소에서 인도될 예정인 경우, 해당 운영자는 미국 항구에 선박이 입항할 때마다 최대 $1,000,000의 요금을 부담해야 합니다.
'조선-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주 실적(2025.02.07) (1) | 2025.02.07 |
---|---|
미국 의회,‘미국을 위한 선박 법(SHIPS for America Act)’발의 (0) | 2024.12.22 |
2025년 선박 발주량 예상/미국 Lng터미날 건설 승인 예상(2024.12.15) (3) | 2024.12.15 |
신조선가는 상승 유지 중/백로그는 3년이상(2024.12.14) (1) | 2024.12.14 |
한국항공우주 1.25조원 수주(2024.12.11) (1) | 2024.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