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Market share is led by SK Hynix, which accounted for 70% of global HBM sales between January and March 2025 by being the exclusive provider of the highly in-demand 12-Hi 3HBME technology.
시장 점유율은 SK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전 세계 HBM 매출의 70%를 차지했으며, 이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높은 12단 3HBM3E 기술을 독점 공급한 덕분이다.
----------------------------------------------------------------------------------------
다음은 증권사별 SK하이닉스에 대한 목표가다.
------------------------
LS증권-->목표가 250,000원.
1Q25P Review: 2H25 메모리 가격 상승 둔화 전망
1Q25P Review: 컨센서스 상회 1Q25 잠정 연결 실적은 매출액 17.6조원(-11%QoQ, +42%YoY), 영업이익 7.4조원 (-8%QoQ, +158%YoY, OPM 42.2%)으로 당사 추정치와 시장 컨센서스 매출액 17.3조원, 영업이익 6.6조원을 모두 크게 상회했다.
관세에 앞선 Pull-In 수요로 출하 량이 소폭 증가했으며 1Q25 HBM 매출액이 +6%QoQ 증가한 6.3조원으로 DRAM 내 매출 비중 45%를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NAND도 OPM 3.0%로 소폭 흑자를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에 일부 기여했다.
2H25 메모리 가격 상승 둔화 전망
2025년 연결 실적은 매출액 85.7조원(+29%YoY), 영업이익 36.3조원(+55%YoY, OPM 42.3%)으로 전망한다.
1Q25 메모리 공급업체들은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하고 있으며 관세 유예로 인해 2Q25 Pull-In 수요가 지속되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나갈 것 이다. 하지만 고객사들의 앞당긴 재고 비축과 부진한 Set 수요로 인해 관세 여부와 무 관하게 2H25 메모리 가격 상승 모멘텀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Set 수요 전망치의 하향 조정 및 NAND 공급 증가로 인해 메모리 가격은 2024년과 동일한 상고하저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50,000원 유지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250,000을 유지한다.
현 주가는 12M Fwd P/B 기준 1.2x 로 밴드 중하단에 위치해 있으며 HBM 이전 P/B 밴드 기준으로도 중단에 위치해있다.
추후 반도체 관련 관세 정책에 따라 추가적인 주가 하락의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현 주 가는 우려의 상당 부분이 반영되어 있다.
오히려 정책 불확실성 속 관세 유예 및 폐지 로 인한 Upside Risk가 더 큰 구간이라 판단한다.
하지만 Pull-In 효과로 인해 2H25 메모리 가격 상승 모멘텀 둔화가 예상되며 단기적인 Trading Buy 접근을 권고한다.
---------------------------------
한화투자증권
1Q25 잠정실적은 매출액 17.6조원(-11% QoQ), 영업이익 7.4조원( 8% QoQ)으로 최근 높아져있던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우수한 실 적 기록.
핵심 요인은 디램 수익성 개선에 기인.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HBM3E 출하 호조에 따라 출하량 감소가 -8% 수준으로 당초 예상대 비 제한적이었으며, 12단 판매 확대(약 25% 추정)에 따른 Mix 개선 효과로 범용 디램 가격 하락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Blended ASP도 전 분기 대비 Flat 수준을 유지한 점이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요소로 작 용.
1분기 전체 디램 매출 내 HBM 비중은 약 50% 수준까지 확대된 것으로 판단.
낸드는 디램 대비 다소 낮은 수요 강도와 단품 판매 확대에 따른 Mix 악화로 인해 출하량과 가격이 각각 -17%, -20% 수준 큰 폭 하 락했으나 흑자 기조는 유지 2Q25에도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전망 2Q25 영업이익은 8.8조원 전망.
경쟁사와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2Q25부터 HBM3E 12단 제품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출하 비중이 50% 이상으로 크게 확대될 것. 12단 제품의 경우 8단 대비 단위 용량 기준 1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제품 Mix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
최근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 이 제기되며 HBM3E 12단 출하 지연 우려가 일부 존재했으나, 이번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출하 계획에 변동 없음이 공식적으로 확 인된 점도 긍정적.
관세 불확실성이 단기적 변수이나 과도한 우려는 경계
관세 불확실성은 단기적 변수. 미국으로의 직접 수출 비중은 10~20% 내외로 제한적이지만 메모리의 중간재로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서버 및 IT 기기 수요 변화에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점이 부정적.
다만, 주요 고객들의 메모리 수요에 변화가 확인되지 않고, 오히려 조기 재고 비축 을 위한 Pull-in 수요까지 발생하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급격한 업황의 둔화를 우려하기엔 시기상조.
이미 동사 주가는 올해 실적 기준 P/B 1.3X 수준까지 하락하며 관세 우려를 상당 부분 반영한 만큼 과도한 우려는 경계할 필요.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유지.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의 PER/PBR 50%씩 적용한 혼합 적정 주가(2025.04.25) (1) | 2025.04.25 |
---|---|
인텔 주가, 실망스러운 2분기 전망에 하락(2025.04.25) (0) | 2025.04.25 |
엔비디아와 아마존이 AI 인프라 투자 둔화 주장에 반박(2025.04.28 (0) | 2025.04.25 |
SK하이닉스 2025년1분기 실적,영업익 7.44조원(2025.04.24) (1) | 2025.04.24 |
SK하이닉스, CXL 2.0 기반 DDR5 고객 인증 완료 ‘데이터센터 메모리 혁신 선도’(2025.04.23)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