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2.15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작년 11월이후 단기간에 60%~70% 상승한후 하락 조정중인 상태.
현재까지 4주간 조정받았으므로(보통 4주에서 6주간 조정) 어느 정도 조정이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1월말 PC D램 DDR4 8Gb 계약 가격은 3.0달러였는데 2월15일 현물 가격은 3.72달러이다.
계약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20%이상 저렴한 상태로 2월말 계약 가격의 상승을 예상할 수있다.
역사적으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주가는 디램 가격과 동행한다.
이 디램 가격이 상승하는데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는 한번도 없었다.
지금 주가 조정은 매수의 기회로 삼아야한다.
-------------------------------------------------------------------
다음은 현대차 증권의 반도체산업 보고서.(2021.02.05)
analysis.downpdf (hankyung.com)
부르는 것이 값이된다.
Server 32GB 가격 1월부터 매월 가격 상승 예상 / 4분기 가격은 USD 170대까지 상승 전망.
1월 Server DDR4 고정가격은 제품별로 MoM으로 4.6∼4.9% 상승하였고 32GB DDR4 가격은 USD 115를 기록하였음.
특히, 월 후반으로 갈수록 고정가격 상승 폭은 확대되었음. PC DRAM의 경우 8Gb 제품은 QoQ로 5.3% 상승한 USD 3.0을 기록하였고,8GB 제품은 QoQ로 4.0% 상승한 USD 25.8을 기 록하였음.
특히, PC DRAM의 경우 DRAMeXchange는 12월말에 QoQ로 Flat을 예상했는데 실제 수요가 예상보다 양호함에 따라
고정가격은 상승하였음. 현재 PC DDR4 8Gb 현물 가격은 USD 3.71로 고정 가격 대비 23.7% 높은 수준이라는 점에서
고정가격 상승 추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임.
한편, Mobile DRAM은 LP DDR5/DDR4 모두 QoQ로 Flat이었음. 중화권 업체들의 재고축적에도 불구하고 가격 상승 으로 연결되지는 않고 있음. 1분기 LP DDR5 제품은 8GB 제품 기준으로 LP DDR4 제품 대비 6.1% Premium을 받고 있음.
삼성전자 Mobile DRAM의 Blended ASP가 산업 평균 대비 높을 것으로 보임.
한편, NAND Wafer 고정가격은 TLC 제품들만 QoQ로 0.5% 수준에서 하락하였고, MLC와 QLC 제품은 가격 하락을 멈추었음 Server DDR4 32GB 가격은 2월과 3월에도 각각 MoM으로 2.6%, 2.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특히, 8 Channel을 지원하는 Ice Lake CPU가 출시되는 2분기 Server DRAM 가격은 QoQ로 18.6% 상승한 USD 140을 기록할 것으로 보임. 무엇보다도 DRAM회사들이 수요가 좋은 Mobile, Graphic, PC 중심으 로 Wafer 할당을 늘리면서 Server DRAM 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것을 우려한 Cloud회사들이 가격 협상 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음.
Infra 성격의 Server DRAM은 1차 Big Cycle에서 경험했던 징후가 여러 곳에 서 감지되고 있음.
Cloud 사업자들의 호실적은 결국 Data Center투자로 귀결 / 반도체 업종 비중 확대 의견 유지.
2020년에 비대면 수요에 힘입어 주요 서비스 업체들의 Cloud 매출액은 4분기에 모두 급증하였음.
AWS의 4분기 매출액은 YoY로 28.0% 상승하였으며, Microsoft의 Azure (Server 포함) 매출액은 YoY 로 25.8% 증가하였음. 여기에 Data Center의 과부하가 심한 Google의 4분기 매출액은 YoY로 46.6% 증가하였고, Alibaba의 Cloud 매출액도 YoY로 50.3% 증가하면서 4개사 중에서 가장 큰 폭으 로 매출액이 성장하였음.
하지만,AWS, Azure는 2020년에 Data Center 투자를 유지하였지만,Google, Alibaba는 Data Center 투자를 줄였음.
특히, Google은 최근 들어서 Youtube 등 주요 서비스의 QoS (Quality of Service) 상태가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1월부터 Server 발주를 확대하고 있으며, Alibaba도 Server 발주를 늘리고 있음. 무엇보다도 2020년에 COVID-19에 따른 광고수입 감소 우려로 Data Center 투자를 줄인 Alibaba, Google의 Cloud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해당 업체들의 올 해 Data Center 투자는 확대될 것으로 보임.
Server 수요 선행 지표인 Aspeed의 12월 매출액이 MoM 으로 23.1% 증가하는 것도 현재 Server 수주의 긍정적인 흐름을 암시함.
특히, 1) 재택근무 확대에 따 른 BYOD (Bring Your Own Device), DaaS (Desk Top as a Service) 수요 증가,
2) Hybrid 및 Multi Cloud 수요가 확대, 3) 통신사들의 Edge Computing 수요 증가를 감안할 때 Server DRAM 가격 상승 폭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도 열어 둘 필요가 있음.
메모리 반도체 가격의 가파른 상승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반도체 업종에 대해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함.
------------------------------------------------
2021.02.02 메리츠증권
analysis.downpdf (hankyung.com)
중국 DRAM 판가 (2 월 1 주차): 여전한 상승세
당사의 중국 DRAM 판가 조사에 따르면 금주에도 PC DRAM 채널 판가는 지속 상승 중.
DDR4 8GB PC DRAM 중국 채널 모듈 평균판가는 지난 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1.6% WoW (0.5달러) 상승한 31.5달러 기록. 고정거래가와 비교해 본다면, 최근 발표된 DRAMeXchange의 1월 고정가가 4.84% MoM 상승한 26.0달러에 도달했음에도 중국 시장 판가 프리미엄은 여전히 21.2% 수준 (그 림 1).
특히 2월 1주차 가격에서는 최저가의 급등 현상이 눈에 띔. 전주의 [최저-평균 -최고] 판가의 [28.5달러-31.0달러-34.5달러] 범위에서 금주에는 최저가가 5.3% 급등하며 [30.0달러-31.5달러-34.5달러]의 범위를 형성함. 현
물 시장내 최저가의 상승은 구매자들의 재고확충 심리를 촉진시키며, 추가적인 가격 인상을 유발할 전망.
1분기 고정거래가는 분기 중에는 변화하지 않는게 일반적이나, 중국과 같은 일부 시장에서의 극심한 가격 프리미엄을 감안시 월별 고정가는 2~3월에도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음.
중국내 전방 수요가 여전히 견조하다는 점과 중국 시장내 가상화폐 채굴 수요까지 더해지며, 향후 현물 시장의 국지적 가격 인상세는 적어도 상반기내 지속될 전망임 그림1.
DDR4 8GB PC DRAM 중국 현지 채널가와 DRAMeXchange 고정가 동향 자료: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하이닉스를 매수해야 하는 이유(2021.02.08) (0) | 2021.02.08 |
---|---|
SK하이닉스 목표가 17만원(2021.02.01)-하이투자증권 (0) | 2021.02.07 |
2020년4분기 글로벌 노트북 출하량은 6천만대 기록 (0) | 2021.02.02 |
2021년 노트북 저장장치에 SSD채택이 가속화 된다 (0) | 2021.02.02 |
SK하이닉스 목표가 17만원-KB증권(2021.02.01)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