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운드리-TSMC-난야-UMC-DB하이텍

대만 남부 TSMC 반도체 생산시설 7시간 동안 정전(2021.04.14)

2021.04.14

4월14일 하락하던 삼성전자 주가는 오후들어 TSMC 7시간 정전 소식에 상승으로

전환후 보합으로 마감.

 

다음은 지디넷코리아의 기사

대만 남부 TSMC 반도체 생산시설 7시간 동안 정전 - ZDNet korea

 

현지 언론 "타이난 과학단지 내 공사중 전력선 절단..오후 7시경 복구"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가공(파운드리) 업체인 대만 TSMC 반도체 생산시설에서 14일(이하 대만 현지시각) 단전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보(聯合報) 등 대만 주요 언론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4일 오전 11시 6분부터 오후 6시 23분까지 대만 남부 타이난 과학단지(台南科學園區)에 위치한 TSMC 생산시설의 전력 공급이 중단됐다.

 

사고가 일어난 팹14B P7 시설은 2015년 완공되었으며 12인치(300mm) 웨이퍼를 이용해 12/16nm(나노미터) 공정에서 각종 반도체를 생산한다..

--------------------------------------

2021.04.19 하나금융 보고서

 

TSMC 1Q21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

2007년 10월 24일 (수) (hanaw.com)

 

 1분기 매출 $12.9bn (+17% Y/Y). 견조한 HPC향 수요와 스마트폰 수요가 매출 견인

 2분기 매출 가이던스는 $12.9-13.2bn (전일 정전 이슈 반 영), 2021년 매출 가이던스는 2020년 동기 대비 20% 성장 (1분기에 제시한 15% 성장에서 상향 조정)

 

 반도체 공급 부족 지속으로 2021년 시설투자 규모를 기존 $25-28bn에서 $30bn으로 상향 조정. 1분기 시설투자 금 액은 $8.7bn

 

 3년 간 $100bn 시설투자 계획 유지, 이 중 80% 이상이 7nm 이하 선단공정에 배정할 예정

 

 2021년 5nm 선단공정의 매출기여도는 20% 예상.

 2021년 하반기 4nm 공정 생산 시작 및 2022년 대량 양산 계획 / 2022년 하반기 3nm 생산 시작 예정.

TSMC의 가동률은 100%에 근접, 현재 생산능력 기준 향후 18개월까지 모두 수주 완료 (fully booked for the next 18 months)

반도체 공급 부족은 2022년까지 지속, 2023년부터 완화 예상.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은 일시적, 빠른 시일 내 완화될 것으로 예상 미국의 리쇼어링에도 불구하고 R&D 및 생산은 대부분 대만 에서 이루어질 예정

파운드리 가격 인상에 대해 언급 (We are looking to firm up our wafer pricing to a reasonable level)

 

TSMC의 실적 컨콜 함의는

[1] 파운드리 업종의 가동률은 적어도 2022년 상반기까지 100%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고.

 

[2] TSMC가 설비투자 예산의 많은 부분을 7nm 이하 전공 에 집중하므로 TSMC의 후공정 파트너사들은 과거에 TSMC가 후공정 설비투자에 적극적이던 때와 달리 안심하고 후공정 설비투자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으며.

 

[3] TSMC 의 2번째 주력 분야였던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매출 비중이 35%까지 올라온 것은 전방 산업 의 프로세서 내재화 수요와 가상 화폐 채굴 수요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