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운드리-TSMC-난야-UMC-DB하이텍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물부족에 시달리다(2021.02.25)

지난 번 일본 후쿠시마현 앞바다 지진으로 세계 최대 MLCC 생산 업체인 일본의 무라타 공업의 3공장중 하나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가뜩이나 부족한 MLCC 가격이 상승할 것같다.삼성전기에 호재.

 

이번 물부족 사태로 대만에 위치한 파운드리 공장인 TSMC와 UMC, 디램 공장인 마이크론 공장도 영향을 받을 듯.

삼성전자, SK하이닉스,삼성전기에는 호재로 작용.

 

2021.02.25

Highlights of the day: Taiwan foundries face water shortages (digitimes.com)

대만 파운드리 업체들 물부족에 직면.

 

Unusually low rainfalls in Taiwan over the past year have resulted in water shortages,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parts of the country. Some companies at the Southern Taiwan Science Park, including TSMC, have started buying truckloads of water to make up for the shortfall from reservoirs, apart from stepping up conservation measures.

 

지난해 이례적인 강수량 부족으로 겨울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대만 남부에 위치한 TSMC등은 저장고의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 트럭으로 물을 사서 나르기 시작했다.

 

TSMC is set to move 4nm process to volume production in 2022, which may prompt Qualcomm to place foundry orders for its next generation mobile chips.

TSMC는 퀄컴의 차세대 모바일 칩을 유치하기 위해 2022년에 4나노 공정으로 양산할 예정이다.

 

Stronger-than-expected demand from 5G and automotive chip segments is sending MLCC pricing up.

예상보다 강한 5G와 자동차 분야의 수요로 MLCC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Taiwan chipmakers moving to counter water shortages: Chipmakers including TSMC and UMC have started buying water by the truckload for their foundries in Southern Taiwan Science Park (STSP), as reservoirs in southern Taiwan face dwindling water levels following months of scant rainfall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Qualcomm may switch to TSMC 4nm node in 2022: Qualcomm will continue to fabricate its next-generation 5G mobile chip, tentatively dubbed Snapdragon 895, at Samsung Electronics built using an upgraded 5nm process, but may switch to TSMC in 2022 using its 4nm proces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High-capacitance MLCC prices set to rise: MLCC vendors including Samsung Electro-Mechanics (Semco) and TDK are likely to raise their quotes for high-capacitance MLCCs in response to stronger-than-expected demand for 5G handset and automotive applications, according to channel distribution sources.

 

MLCC 생산업체인 삼성전기와 TDK등은 예상보다 강한 5G와 자동차 분야의 수요로

고용량 MLCC의 가격을 인상할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