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수출입 동향

경기 확장때 주가는 몇년 동안 올랐나(2021.05.22)

2021.05.22

내용이 좋아서 공유합니다.

경기 확장 때 주가는 몇 년 동안 더 올라갔나? [유동원 유안타증권 본부장] - YouTube

 

요약: 38분경-->아직 버블이 아니다.

보통 미국 상승장은 18년-19년정도 간다.

지금 상승장은 2009년부터 시작되었으므로 현재 12년 진행형으로 아직 상승할 기간이 많이 남아 있다. 

그 근거로 몇가지 지표 보여줌.

 

1.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장이 무너지는 시점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5.4%(1929년), 6.2%(1968년), 6.0%(2000년)이였다.

  지금은 1.623%(2021.05.21)로 현저히 낮은 상태로 고점을 논할 단계가 아니다.

 

2.ROE(자기 자본 수익률)

현 ROE는 18.0%로 지난 상승장 무너지는 시점의 2.9%, 7.6%, 11.2%에 비해 현저히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현재 기업들의 ROE는 지난 상승장에서의 기업들에 비해 높은 상태로

이직은 고점을 논하기는 이르다.

 

3.시가총액/M2

 

4.예대율(대출액/예금액)

 

 

 

 

-----------------------------------------------------------------------------------------------------------------

2021.05.23

또 다시 마주한 중앙은행의 시간. 주식시장은 버블인가?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 YouTube

 

통화량과 주식 시가총액을 비교하면 지난 고점보다 주식 시가총액이 아직 적은편으로 버블이 아니다.

 

1.본원통화-->234조원(2021년3월말)

M1--> 1255조원

M2--> 3324조원

 

2.코스피 시가총액(2021.05.20) -->2215조원

코스닥 시가총액(2021.05.20) -->403조원  합계 2619조원 

 

3.한국의 코스피 시가총액(2215조원)을 통화량 M2(3324조원)로 나눈 비율은 66.6%로 지난 고점 91%에 비해

낮은편으로 아직 버블은 아니다.

 

----------------------------------------------------------

2021.05.22

[심층 인터뷰] 시장은 왜 연준의 정책 기조를 믿지 못할까? f.신한은행 오건영 부부장 - YouTube

FOMC의사록

몇몇 연준 위원은 만약 경제 발전이 연준의 목표치에 도달한다면, 향후 몇번의 회의에서 자산 매입의 속도를

조절하기위한 계획에대해 토론을 시작하는 것이 좋을것이라고 제안했다.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6월 수출입 동향  (0) 2021.07.01
2021년5월 수출입 동향  (0) 2021.06.01
2021년4월 수출입 동향  (0) 2021.05.01
2021년3월 수출입 동향  (0) 2021.04.01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1.74%(2021.03.19)  (0) 2021.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