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한서지리지-유주 상곡군 어양군

2021.07.22

우북평군 右北平郡(한서지리지-유주)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한서지리지

上谷郡, 秦置, 莽曰朔調, 屬幽州. 戸三萬六千八, 口十一萬七千七百六十二. 縣十五.

沮陽, 泉上,   潘, 軍都,  居庸,  雊瞀,  夷輿,  寧,

昌平, 廣寧, 涿鹿,且居,     茹,  女祁,  下落.

 

沮陽, 莽曰沮陰.

泉上, 莽曰塞泉. 潘, 莽曰樹武.

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沽. 상곡군 군도현, 온여수(습여수의 오기 가능성)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 남쪽에 이르러 고하로 들어간다.

 

居庸有關. 雊瞀, 夷輿, 莽曰朔調亭. 寧, 西部都尉治莽曰博康.

昌平, 莽曰長昌.

廣寧, 莽曰廣康.

涿鹿, 莽曰抪陸. 且居, 樂陽水出東南入海. 莽曰久居. 茹, 莽曰榖武. 女祁, 東部都尉治. 莽曰祁. 下落, 莽曰下忠.

 

漁陽郡, 秦置. 莽曰通路. 屬幽州. 戸六萬八千八百二, 口二十六萬四千一百一十六. 縣十二.

漁陽, 狐奴, 路, 雍奴, 泉州, 平谷,

安樂, 厗奚, 獷平, 要陽, 白檀, 滑鹽.

 

漁陽郡, 漁陽, 沽水出塞外, 東南至泉州, 入海. 行七百五十里. 有鐵官. 莽曰得漁.

어양군 어양현, 고수가 새외에서 나와 동남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에 도달하여 바다(큰강)로 들어간다.

750리를 흐른다.

 

狐奴, 莽曰舉符. 路, 莽曰通路亭. 雍奴, 泉州, 有鹽官. 莽曰泉調.

平谷, 安樂, 厗奚, 莽曰敦徳. 獷平, 莽曰平獷. 要陽, 都尉治. 莽曰要術. 白檀, 洫水出北蠻夷. 滑鹽, 莽曰匡徳.

한서지리지의 유주(幽州) 등 우리역사 관련지명 번역 (tistory.com)

 

우북평군(右北平郡)

右北平郡, 秦置. 莽曰北順. 屬幽州. 戸六萬六千六百八十九, 口三十二萬七百八十. 縣十六. 平剛, 無終, 故無終子國.

浭水西至雍奴入海, 過郡二, 行六百五十里.[1] 石成, 廷陵, 莽曰鋪武. 俊靡, 灅水南至無終東入庚. 莽曰俊麻.[2] 薋, 都尉治. 莽曰襃睦.[3] 徐無, 莽曰北順亭. 字, 榆水出東. 土垠,[4]

 

白狼, 莽曰伏狄.[5] 夕陽, 有鐵官. 莽曰夕陰.

昌城, 莽曰淑武.

驪成, 大揭石山在縣西南. 莽曰揭石.[6] 廣成, 莽曰平虜.

聚陽, 莽曰篤睦. 平明, 莽曰平陽.

우북평군(右北平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은 북순(北順)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6689이고 인구수는 32,0780명이다. 속한 현은 16개이다.

 

平剛,

無終, 故無終子國.

浭水西至雍奴入海, 過郡二, 行六百五十里.  무종현은 옛 무종자국이다.

경수가 서쪽으로 흘러  옹노현에 이르러 바다(큰강)로 들어 간다. 2개 군을 지나고 650리를 흐른다.

 

[1] 石成, 廷陵, 莽曰鋪武. 俊靡, 灅水南至無終東入庚. 莽曰俊麻.[2] 薋, 都尉治. 莽曰襃睦.[3] 徐無, 莽曰北順亭.

 字, 榆水出東. 우북평군 자현에 유수가 동쪽에서 나온다.

土垠,[4] 白狼, 莽曰伏狄.[5] 夕陽, 有鐵官. 莽曰夕陰.

昌城, 莽曰淑武. 驪成, 大揭石山在縣西南. 莽曰揭石.[6] 廣成, 莽曰平虜. 聚陽, 莽曰篤睦.

平明, 莽曰平陽. 평명현, 왕망은 평양으로 했다.

 

 師古曰有白狼山故以名縣.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백랑산(白狼山)이 있으므로 현의 이름을 얻은 것이라고 했다.

 

 

 

 

-------------------------

 

上谷郡,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沽. 
상곡군 군도현, 온여수(습여수의 오기 가능성)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 남쪽에 이르러 고하로 들어간다.

漁陽郡, 漁陽, 沽水出塞外, 東南至泉州, 入海. 行七百五十里. 
어양군 어양현, 고수가 새외에서 나와 동남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에 도달하여 바다(큰강)로 들어간다.
750리를 흐른다.

 

右北平郡, 無終, 故無終子國.

浭水西至雍奴入海, 過郡二, 行六百五十里.  우북평군 무종현은 옛 무종자국이다.

경수가 서쪽으로 흘러  옹노현에 이르러 바다(큰강)로 들어 간다. 2개 군을 지나고 650리를 흐른다.

 

질문: 온여수(습여수)가 어양군 로현 남쪽에 이르러 고하로 들어간다고 했는데,

지금 로현은 북경 근처에 있는 로현과 산서성에 있는 로현이 있다.

 

북경 근처에 있는 로현은 온여수(습여수)가 750리를 흐르기 때문에 현재 중국 지도로는 설명이 안된다..

 

------------------------

수경주

沽水又西南, 逕赤城東. 趙建武年, 并州刺史王霸, 為燕所敗, 退保此城.
고수는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적성(赤城)의 동쪽을 지난다.

후조(趙) 건무(建武) 년간에 병주자사(并州刺史) 왕패(王霸)가 전연(燕)에 패하여 물러나 이 성(적성)에서 지켰었다.

후조 건무(335~348년)

전연(337~370년)

 

----------------------------------

後漢書/卷113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wikisource.org)

후한성에 기록된 유주 상곡군,어양군,우북평군, 요동군위치.

상곡군은 낙양 동북 3200리,  어양군은 낙양  동북 2천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습여수(온여수)라는 강이 상곡군에서 나와 어양군 로현 남쪽에서 로하로 흘러든다고 했다.

온여수(습여수)라는 강은 750리를 흐른다고 하였다.

(上谷郡,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沽. 
상곡군 군도현, 온여수(습여수의 오기 가능성)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 남쪽에 이르러 고하로 들어간다.)

濕餘水 습여수 -->出上谷居庸關東,습여수는 상곡군 거용관 동쪽에서 나온다.

 

 

上谷郡秦置。雒阳东北三千二百里。八城,户万三百五十二,口五万一千二百四。

 

渔阳郡秦置。雒阳东北二千里。九城,户六万八千四百五十六,口四十三万五千七百四十。

 

右北平郡秦置。雒阳东北二千三百里。四城,户九千一百七十,口五万三千四百七十五。

 

辽西郡秦置。雒阳东北三千三百里。五城,户万四千一百五十,口八万一千七百一十四。

 

辽东郡秦置。雒阳东北三千六百里。十一城,户六万四千一百五十八,口八万一千七百一十四。

  〖襄平〗

 

 

고수,포구수 유수는 비슷한 지역을 흐른다.

 

1.고수는 어이진 서북쪽 90리 단화령에서 나온다.

  포구수는 어이진 북쪽 새 가운데서 나온다.

  유수는 어이진 동남쪽을 나온다.

 

2, 고수는 어양군 어양현 서쪽을 지난다.

   포구수는 어양군 어양현 동쪽을 지난다.

  즉 고수와 포구수는 어양현의 서쪽과 동쪽을 지난다.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3.고수는 남쪽으로 흐르다가 안락현 옛성의 동쪽을 지난다.

  안락현 동쪽 산에서 나온 고석수가 서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 간다.

 

(유수(濡水)는 또한 고석수(髙石水)와 합하여진다.
고석수(水)는 동쪽 안락현(安樂縣) 동쪽 산에서 나와서 서쪽으로 흘러 삼회성(三㑹城) 남쪽을 지난 후에 서쪽으로 흘러 오도천(五渡川)으로 들어가서 아래로 흘러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유수(濡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노룡새(盧龍塞)를 지난다.)

 

4.포구수가  로현을 지나면서 고량수가 흘러든다.

  고량수는 물머리를 병주에서 받는다.

又南過潞縣西
(포구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어양군(漁陽郡) 로현(潞縣) 서쪽을 지난다.

 

5.양락수(陽樂水)

1)고수(沽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작곡수(鵲谷水)와 합류한다.
(작곡수는) 2개의 발원지가 있는데 남쪽에 있는 것은 양락수(陽樂水)이다.
(양락수는) 상곡군 차거현(且居縣)을 나오는데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양락수)는 차거현의 동쪽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양락수)는 남쪽으로 흘러 대핵산(大翮山)과 소핵산(小翮山) 북쪽을 지나고, 상곡군 여기현(女祁縣) 옛 성의 남쪽을 지난다.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리고 왕망의 기현(祁縣)이라 하였다. 세간에서는 횡수(横水)라 하며 또한 양전하(陽田河)라고도 한다. (양락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옛 역참 하나를 지나고 또한 동쪽으로 흐르다가 왼쪽에서 후로수(候鹵水)와 합류한다.
후로수(水)는 서북쪽의 산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후로성(候鹵城) 북쪽을 지나는데, 성은 거용현(居庸縣) 서북쪽 200리에 있는데 옛 이름은 후로(候鹵)라고들 한다. 태화(太和) 년간에 (후로성의) 이름을 어이진(禦夷鎮)으로 바꿨다.

(후로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양락수로 들어간다.
양락수(陽樂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변방의 낭산(狼山) 남쪽을 지난다. 낭산의 돌은 흰색으로 특상(特上)인데 홀로 우뚝 서있으며 여러 산 중에서 표가 나게 튀어 나와 있다. (양락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온천(温泉)의 동쪽을 지난다. 온천은 산곡(山曲) 가운데에 있다. (양락수는) 또한 적성(赤城) 서쪽을 지나 굽이 돌아 적성(其) 남쪽을 지난 후 동남쪽으로 적성하(赤城河)로 들어간다. 적성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오른쪽에서 고봉수(髙峯水)가 합하여 지는데 고봉수(水)는 고봉수(髙峯戍) 동남쪽에서 나오는데 성은 산 위에 있다.

고봉수(其水)는 서남쪽으로 흘러 또한 굽이 돌아 동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2) 유수에 있는 기록

양락수(水)는 동북쪽 양락현(陽樂縣) 계(溪)를 나온다. 지리풍속기(地理風俗記)에서 말하기를 ‘양락(陽樂)은 옛 연(燕)의 땅인데 요서군에서 다스렸다. 진 시황 22년에 설치하였다.’고 하였다.

 

위씨토지기에서 말하기를 ‘해양성(海陽城) 서남쪽에 양락성(陽樂城)이 있다’고 하였다. 양락수(其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흘러 저수(沮水)로 들어가는데 그곳을(之) 양구(陽口)라고 한다. 저수(沮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소저수(小沮水)가 저수(之)로 들어간다. 소저수(水)는 냉계(冷溪)에서 발하는데 세간에서는 냉지(冷池)라 한다. (소저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온천수(温泉水) 구(口)와 만나는데, 온천수(水)는 동북쪽 온계(温溪)에서 나와서 온계(溪)로부터 서남쪽으로 흘러 소저수(小沮水)로 들어간다. 소저수(小沮水)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대저수(大沮水)와 합하여져서 노수(盧水)가 된다.


상흠설로자(桑欽説盧子)의 책에 말하기를 ‘진(晉)이 이미 비(肥)를 멸하고 그 족속들을 노수(盧水)로 옮겼다’고 한다.

노수(盧水)는 2개의 물줄기(渠)가 있는데 소저(小沮)와 대저(大沮)이며 합하여져서 (노수가 된 후) 현수(玄水)로 들어간다. 노수는 또한 남쪽으로 온수(温水)와 합하여지는데 온수(水)는 비여성(肥如城) 북쪽에서 나와서 서쪽으로 흐르다가 현수(玄水)로 들어간다.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노수(盧水)는 남쪽으로 흘러 현수(玄水)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현수(玄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흘러 고죽성(孤竹城) 북쪽을 지나서 서쪽으로 흘러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옛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현수(玄水)는 동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간다고 하였는데 모두 동쪽으로부터 들어가는 것이다(盖自東而注也).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영지현(令支縣)에 고죽성이 있고 옛 고죽국이라’고 하였다.

사기에서 말하기를 ‘고죽의 군(君) 2 아들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인데 이곳은 나라를 양보하고 수양(首陽)에서 굶어 죽었다’고 하였다. 한(漢) 영제(靈帝) 때에 요서태수(遼西太守) 염번(亷翻)이 꿈속에서 사람이 자기에게 말하기를 ‘나는 고죽(孤竹) 군(君)의 아들 백이(伯夷)의 아우라 하였다. 遼海漂吾棺槨, 聞君仁善, 願見藏覆. 明日視之, 水上有浮棺, 吏嗤笑者, 皆無疾而死. 于是改葬之. 진서(晉書) 지도지(地道志)에서 말하기를 요서(遼西) 사람이 요수(遼水)에 관(棺)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을 파괴하려고 했다. 말하기를 나는 고죽국의 임금인데 네가 어떻게 나를 깨뜨릴수 있는가? 그래서 사당을 지어줬는데 사당은 산위에 있고 성은 산의 옆 비여현 남쪽 20리 강물들이 모이는 곳이다.

 

6.濡水東南流, 逕樂安亭南, 東與新河故瀆合. 瀆自雍奴縣承鮑丘水, 東出, 謂之鹽闗口.

유수(濡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낙안정(樂安亭) 남쪽을 지나고, 동쪽에서 신하(新河) 옛 독(瀆)과 합쳐진다.
독(瀆)은 옹노현(雍奴縣)으로부터 포구수(鮑丘水)를 잇고, 동쪽으로 나가는데 이를 염관구(鹽闗口)라고 한다. 

 

---------------------------

 

幽州[编辑]

幽州〈治薊城。〉

領郡三  縣十八戶三萬九千五百八十  口一十四萬五百三十六燕郡〈故燕,漢高帝為燕國,昭帝改為廣陽郡,宣帝更為國,後漢光武併上谷,和帝永元六年復為廣陽郡,[62]晉改為國,後改。〉領縣五戶五千七百四十八  口二萬二千五百五十九薊〈二漢屬廣陽,晉屬。有燕昭王陵、燕惠王陵、狼山神、戾陵陂。〉  

 

廣陽〈二漢屬廣陽,晉屬。有廣陽城。〉  良鄉〈二漢屬涿,晉屬范陽,後屬。治良鄉城。有大房山神。〉  

 

軍都〈前漢屬上谷,後漢屬廣陽,晉屬。有觀石山、軍都關、昌平城。〉  

 

安城〈前漢屬勃海,後漢屬廣陽,晉屬。有安次城、萇道城。〉范陽郡〈漢高帝置涿郡,後漢章帝改。〉[63]領縣七戶二萬六千八百四十八  口八萬八千七百七涿〈二漢屬涿,晉屬。有涿城、當平城、鸞城。〉  

 

固安〈二漢屬涿,晉屬。有固安城、永陽城、[64]金臺、三公臺、易臺。〉  

 

范陽〈二漢屬涿,晉屬。有長安城、范陽城、梁門陂。〉  

萇鄉〈晉屬。有萇鄉城。〉  

方城〈前漢屬廣陽,後漢屬涿,晉屬。有臨鄉城、方城、韓侯城。〉  

容城〈前、後漢屬涿,晉屬,[65]後罷。太和中復。〉  

遒〈二漢屬涿,晉屬。有遼城、南北二遒城。〉

 

漁陽郡〈秦始皇置。真君七年併北平郡屬焉。〉領縣六戶六千九百八十四  口二萬九千六百七十

 

雍奴〈二漢屬,晉屬燕國,後屬。真君七年併泉州屬。有泉州城、雍奴城。〉  

 

〈二漢屬,晉屬燕國,後屬。真君七年併安樂、

 

平谷屬焉。有樂山神。〉  

 

無終〈二漢、晉屬右北平,後屬。有無終城、狼山。〉  

 

漁陽〈二漢屬。晉罷,後復。有漁陽城、□樂城、[66]桃花山。〉  

土垠〈二漢、晉屬右北平,後屬。有北平城。〉  

徐無〈二漢、晉屬右北平,後屬。有徐無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