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고수,포구수,유수의 인접/ 패수=추수

2021.07.28

중요: 지리풍속기(地理風俗記)에서 말하기를 ‘양락(陽樂)은 옛 연(燕)의 땅인데 요서군에서 다스렸다.

진 시황 22년에 설치하였다.

위씨토지기에서 말하기를 ‘해양성(海陽城) 서남쪽에 양락성(陽樂城)이 있다’.

-------------------------

瀆독~도랑

闗관~關의 俗字, 빗장 관

----------------------------------------------

고수,포구수 유수는 비슷한 지역을 흐른다.

 

1.고수는 어이진 서북쪽 90리 단화령에서 나온다.

  포구수는 어이진 북쪽 새 가운데서 나온다.

  유수는 어이진 동남쪽을 나온다.

 

2, 고수는 어양군 어양현 서쪽을 지난다.

   포구수는 어양군 어양현 동쪽을 지난다.

  즉 고수와 포구수는 어양현의 서쪽과 동쪽을 지난다.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3.고수는 남쪽으로 흐르다가 안락현 옛성의 동쪽을 지난다.

  안락현 동쪽 산에서 나온 고석수가 서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 간다.

 

(유수(濡水)는 또한 고석수(髙石水)와 합하여진다.
고석수(水)는 동쪽 안락현(安樂縣) 동쪽 산에서 나와서 서쪽으로 흘러 삼회성(三㑹城) 남쪽을 지난 후에 서쪽으로 흘러 오도천(五渡川)으로 들어가서 아래로 흘러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유수(濡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노룡새(盧龍塞)를 지난다.)

 

4.포구수가  로현을 지나면서 고량수가 흘러든다.

  고량수는 물머리를 병주에서 받는다.

又南過潞縣西
(포구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어양군(漁陽郡) 로현(潞縣) 서쪽을 지난다.

 

5.양락수(陽樂水)

1)고수(沽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작곡수(鵲谷水)와 합류한다.
(작곡수는) 2개의 발원지가 있는데 남쪽에 있는 것은 양락수(陽樂水)이다.
(양락수는) 상곡군 차거현(且居縣)을 나오는데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양락수)는 차거현의 동쪽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양락수)는 남쪽으로 흘러 대핵산(大翮山)과 소핵산(小翮山) 북쪽을 지나고, 상곡군 여기현(女祁縣) 옛 성의 남쪽을 지난다.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리고 왕망의 기현(祁縣)이라 하였다. 세간에서는 횡수(横水)라 하며 또한 양전하(陽田河)라고도 한다. (양락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옛 역참 하나를 지나고 또한 동쪽으로 흐르다가 왼쪽에서 후로수(候鹵水)와 합류한다.
후로수(水)는 서북쪽의 산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후로성(候鹵城) 북쪽을 지나는데, 성은 거용현(居庸縣) 서북쪽 200리에 있는데 옛 이름은 후로(候鹵)라고들 한다. 태화(太和) 년간에 (후로성의) 이름을 어이진(禦夷鎮)으로 바꿨다.

(후로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양락수로 들어간다.
양락수(陽樂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변방의 낭산(狼山) 남쪽을 지난다. 낭산의 돌은 흰색으로 특상(特上)인데 홀로 우뚝 서있으며 여러 산 중에서 표가 나게 튀어 나와 있다. (양락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온천(温泉)의 동쪽을 지난다. 온천은 산곡(山曲) 가운데에 있다. (양락수는) 또한 적성(赤城) 서쪽을 지나 굽이 돌아 적성(其) 남쪽을 지난 후 동남쪽으로 적성하(赤城河)로 들어간다. 적성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오른쪽에서 고봉수(髙峯水)가 합하여 지는데 고봉수(水)는 고봉수(髙峯戍) 동남쪽에서 나오는데 성은 산 위에 있다.

고봉수(其水)는 서남쪽으로 흘러 또한 굽이 돌아 동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2) 유수에 있는 기록

양락수(水)는 동북쪽 양락현(陽樂縣) 계(溪)를 나온다. 지리풍속기(地理風俗記)에서 말하기를 ‘양락(陽樂)은 옛 연(燕)의 땅인데 요서군에서 다스렸다. 진 시황 22년에 설치하였다.’고 하였다.

 

위씨토지기에서 말하기를 ‘해양성(海陽城) 서남쪽에 양락성(陽樂城)이 있다’고 하였다. 양락수(其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흘러 저수(沮水)로 들어가는데 그곳을(之) 양구(陽口)라고 한다. 저수(沮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소저수(小沮水)가 저수(之)로 들어간다. 소저수(水)는 냉계(冷溪)에서 발하는데 세간에서는 냉지(冷池)라 한다. (소저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온천수(温泉水) 구(口)와 만나는데, 온천수(水)는 동북쪽 온계(温溪)에서 나와서 온계(溪)로부터 서남쪽으로 흘러 소저수(小沮水)로 들어간다. 소저수(小沮水)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대저수(大沮水)와 합하여져서 노수(盧水)가 된다.


상흠설로자(桑欽説盧子)의 책에 말하기를 ‘진(晉)이 이미 비(肥)를 멸하고 그 족속들을 노수(盧水)로 옮겼다’고 한다.

노수(盧水)는 2개의 물줄기(渠)가 있는데 소저(小沮)와 대저(大沮)이며 합하여져서 (노수가 된 후) 현수(玄水)로 들어간다. 노수는 또한 남쪽으로 온수(温水)와 합하여지는데 온수(水)는 비여성(肥如城) 북쪽에서 나와서 서쪽으로 흐르다가 현수(玄水)로 들어간다.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노수(盧水)는 남쪽으로 흘러 현수(玄水)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현수(玄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흘러 고죽성(孤竹城) 북쪽을 지나서 서쪽으로 흘러 유수(濡水)로 들어간다.

옛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현수(玄水)는 동쪽으로 흘러 유수로 들어간다고 하였는데 모두 동쪽으로부터 들어가는 것이다(盖自東而注也).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영지현(令支縣)에 고죽성이 있고 옛 고죽국이라’고 하였다.

사기에서 말하기를 ‘고죽의 군(君) 2 아들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인데 이곳은 나라를 양보하고 수양(首陽)에서 굶어 죽었다’고 하였다. 한(漢) 영제(靈帝) 때에 요서태수(遼西太守) 염번(亷翻)이 꿈속에서 사람이 자기에게 말하기를 ‘나는 고죽(孤竹) 군(君)의 아들 백이(伯夷)의 아우라 하였다. 遼海漂吾棺槨, 聞君仁善, 願見藏覆. 明日視之, 水上有浮棺, 吏嗤笑者, 皆無疾而死. 于是改葬之. 진서(晉書) 지도지(地道志)에서 말하기를 요서(遼西) 사람이 요수(遼水)에 관(棺)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그것을 파괴하려고 했다. 말하기를 나는 고죽국의 임금인데 네가 어떻게 나를 깨뜨릴수 있는가? 그래서 사당을 지어줬는데 사당은 산위에 있고 성은 산의 옆 비여현 남쪽 20리 강물들이 모이는 곳이다.

 

6.濡水東南流, 逕樂安亭南, 東與新河故瀆合. 瀆自雍奴縣承鮑丘水, 東出, 謂之鹽闗口.

유수(濡水)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낙안정(樂安亭) 남쪽을 지나고, 동쪽에서 신하(新河) 옛 독(瀆)과 합쳐진다.
독(瀆)은 옹노현(雍奴縣)으로부터 포구수(鮑丘水)를 잇고, 동쪽으로 나가는데 이를 염관구(鹽闗口)라고 한다. 

---------------------------------------------------------

[옴니버스 한국사] 제17장. 고조선 패수는 중원에 있었다./Unveil the location of Joseon Paesu. - YouTube

 

 

---------------------------------------

後漢書/卷110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wikisource.org)

常山國[编辑]

  常山國,高帝置。建武十三年省眞定國,以其縣屬。十三城,戸九萬七千五百,口六十三萬一千一百八十四。

  元氏,〈晉地道記有石塞、三公塞。〉

  高邑,故鄗,光武更名。刺史治。〈漢官曰去雒陽一千里。〉有千秋亭、五成陌,〈縣南七里。〉光武即位於上此矣。

  都鄉,侯國。有鐵。

  南行唐,有石臼谷。

  房子,贊皇山,〈在縣西南六十里。〉濟水所出。〈晉地道記有礫塞、中谷塞。

  平棘,有塞。

  欒城,〈〔在平棘〕縣西北四十里。〉

  九門,〈史記趙武靈王出九門,如野臺以望齊、中山之境。碣石山,戰國策云在縣界。

  靈壽,衛水出。

  蒲吾,〈史記番吾君。杜預曰晉之蒲邑也。古今注曰:「永平十年,作常山呼沱河蒲吾渠,通漕船也。」〉

  井陘,

  眞定,

  上艾,故屬太原。

 

-------------------------------------

魏書/卷106上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wikisource.org)

懷州[编辑]

懷州〈天安二年置,太和十八年罷,天平初復。〉

 

領郡二  縣八戶二萬一千七百四十  口九萬八千三百一十五

 

河內郡〈漢高帝置。〉領縣四戶九千九百五  口四萬二千六百一野王〈二漢、晉屬,州、郡治。有太行山、華岳神。〉  沁水〈二漢、晉屬,治沁城。[73]有沁水、濟水。〉  河陽〈二漢、晉屬,後罷,孝昌中復。〉  軹〈後漢、晉屬,治軹城。有軹關。〉

 

武德郡〈天平初分河內置。〉領縣四戶一萬一千八百三十五  口五萬五千七百一十四平臯〈二漢、晉屬河內。有平臯陂、平臯城、安昌城。〉  溫〈二漢、晉屬河內。有溫。[74]浿水。〉[75]  懷〈二漢、晉屬河內。有長陵城、懷城。〉  州〈二漢、晉屬河內。有雍城、中都城、金城。

 

75. 浿水 楊校:「《左傳》〈襄十六年〉杜注:『湨水出河內軹縣。』

《水經濟水注》〈卷七〉有『湨水』。義橋石像碑『沇、湨雙吐。』字從『狊』,不從『貝』,此『浿』為『湨』之誤。」溫校亦引杜注,謂當作「湨」。

 

-------------------------------------------------------------

패수 관련 글

패수(浿水)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사방여기요-산서5 택주,심주,요주  (0) 2021.08.15
고려의 문자 생활  (0) 2021.08.01
중원에서 출토된 고구려 유물  (0) 2021.07.23
한서지리지-유주 상곡군 어양군  (0) 2021.07.22
후한 광무제(재위 AD25~57)  (0) 2021.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