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중국 반도체산업, 미국 제재에도 성장할 것(2022.01.14)

2022.01.14

China reports robust semiconductor industry growth despite US sanctions (digitimes.com)

 

Although some of its key semiconductor industry players were put on the Entity List by the US government since 2019, China managed to register double-digit growth in the revenues of all of its semiconductor sub-sectors in 2020, pushing up global market shares to challenge Taiwan and the US, according to several recent reports.

 

중국 주요 반도체 산업 플레이어 중 일부가 2019년부터 미국 정부에 의해 기업 목록에 포함되었지만

중국은 2020년에 모든 반도체 하위 부문의 매출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여

대만과 미국에 도전하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였습니다.

 

 

If the robust growth continues,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will grow rapidly in the next decade and by 2030 will become a world champion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eizing a 24% global market share, as previously predicted by the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SIA).

 

견실한 성장이 계속된다면, 중국의 반도체 산업은 향후 10년 동안 빠르게 성장할 것이며 2030년에는 반도체 산업 협회(SIA)가 이전에 예측한 대로 세계 시장 점유율 24%를 차지하는 반도체 제조의 세계 챔피언이 될 것입니다.

 

According to an SIA blog,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China grew 30.6% in 2020 to reach $39.8 billion in total sales, representing robust annual growth of 36%, 23%, 32%, and 23% for the fabless, IDM, foundry, and OSAT sectors, respectively.

 

SIA (반도체 협회)블로그에 따르면 중국의 반도체 산업은 2020년에 30.6% 성장하여 총 매출이 398억 달러에 달했으며,

팹리스, IDM(종합반도체), 파운드리 및 OSAT (반도체 후공정업체)부문의 연간 성장률은 각각 36%, 23%, 32%와 23%에 달했습니다.

(IDM은 삼성,하이닉스와 같이 설계와 생산을 모두하는 업체)

 

China registered 9% of the global semiconductor market share in 2020, surpassing that of Taiwan for the second year in a row. It is likely to overtake Japan and Europe soon, as the global market share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 the two major economies both stood at 10%.

 

중국은 2020년에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9%를 기록하며 2년 연속 대만을 넘어섰다.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 일본과 유럽 모두 10%에 불과해 머지않아

일본과 유럽을 추월할 가능성이 높다.

 

China's fabless semiconductor sub-segment ranked third after the US and Taiwan, taking 16% of the global market share, up from 10% in 2015, even though it was subject to tightened chip export control restrictions.

In terms of wafer capacity increase, China accounted for 26% of the worldwide total, according to IC Insights and SIA, while its top 3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ing (OSAT) companies collectively garnered more than 35% of the global market share.

 

중국의 팹리스 반도체  부문은 칩 수출 통제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시장 점유율이 2015년 10%에서

16%로 미국, 대만에 이어 3위를 차지했습니다.

IC Insights와 SIA에 따르면 웨이퍼 용량 증가 측면에서 중국은 전 세계 전체의 26%를 차지했으며

반면에 상위 3개 외주 반도체 조립 및 테스트(OSAT) 회사는 종합적으로 세계 시장 점유율의 35%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China has already announced US$26 billion in new planned funding for 28 additional fab construction projects in 2021, mostly focusing on mature processing nodes.

 

중국은 이미 2021년에 28개의 추가 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260억 달러의 새로운 자금 계획을 발표했으며

주로 성숙한 처리 노드에 중점을 둡니다.

 

Private sector investors, supported by government subsidies and favorable tax incentives, have poured money into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Some consumer electronics and home appliance OEMs, such as Xiaomi and Alibaba, are designing chips in-house and having them manufactured by local foundry makers such as SMIC or Hua Hong, an effort aligned to Beijing's call to seek IC sovereignty and self-sufficiency.

 

정부 보조금과 유리한 세제 혜택으로 민간 부문 투자자들이 중국 반도체 산업에 돈을 쏟아 부었습니다.

Xiaomi 및 Alibaba와 같은 일부 소비자 전자 제품 및 가전 제품 OEM은 자체 칩을 설계하고

SMIC 또는 Hua Hong과 같은 현지 파운드리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SIA said nearly 15,000 semiconductor startups were established in 2020 alone, in which many are IC design companies specializing in GPU, EDA, FPGA, AI computing and other high-end chip design. China now has more than 350,000 businesses operating in its semiconductor sector, 80% of which were registered within the last 5 years, and 30% registered within the past 12 months, according to Global Times, quoting data from Chinese online business information provider Tianyancha.

 

SIA에 따르면 2020년 한 해에만 거의 15,000개의 반도체 스타트업이 설립되었으며 이 중 다수는 GPU, EDA, FPGA, AI 컴퓨팅 및 기타 고급 칩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IC 디자인 회사입니다. Global Times에 따르면 중국 온라인 비즈니스 정보 제공업체 Tianyancha의 데이터를 인용하여 중국은 현재 반도체 부문에서 350,000개 이상의 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80%는 지난 5년 이내에 등록되었으며 30%는 지난 12개월 이내에 등록되었습니다.

 

In addition to copious funding provided by China's central government, provincial governments, and municipal governments, startups in China also got financial backing from local companies such as Huawei, which has also aggressively invested in 56 Chinese semiconductor supply chain companies via a "Hubble Technology Investment Fund" to foster its own semicon ecosystem, according to the Wall Street Journal.

 

중국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의 막대한 자금 지원 외에도 중국 스타트업은 화웨이 등 현지 기업의 자금 지원을 받았고, 화웨이도 '허블 기술 투자(Hubble Technology Investment)'를 통해 56개 중국 반도체 공급망 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자체 반도체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한 자금"이라고 전했다.

 

The US sanctions on SMIC and Huawei have slowed China's progress, but cutting China's access to advanced semiconductors would be self-sabotaging, according to "The Great Tech Rivalry: China vs. the US," a report released by the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under Harvard's Kennedy School in December 2021.

 

2021년 12월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국제 문제와 벨퍼 과학 센터(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and Technology)가 발표한 보고서 "위대한 기술 경쟁: 중국 대 미국"에 따르면,

SMIC와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중국의 발전을 늦추었지만 첨단 반도체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은 자기 방해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If China maintains its 30%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ver the next 3 years and assumes the growth rate of other countries stay the same, the Chinese semiconductor industry is likely to capture 17.4% of the global market share by 2024, generating US$116 billion in revenues, predicted SIA. If that becomes a reality, China will become the third-largest semiconductor powerhouse, only behind the US and South Korea in market share.

 

중국이 향후 3년간 30%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을 유지하고 다른 국가의 성장률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중국 반도체 산업은 2024년까지 세계 시장 점유율의 17.4%를 차지하여 미국 SIA는 1,160억 달러의 매출을 예상했습니다. 그것이 현실이 된다면 중국은 시장 점유율에서 미국과 한국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반도체 강국이 될 것이다.

 

In terms of semiconductor consumption, China has also registered a three-fold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by Harvard's Kennedy School, China's market share in semiconductor consumption grew from less than 20% in 2000 to 60% in 2019.

 

반도체 소비 측면에서도 중국은 지난 10년간 3배 증가했다. 하버드 케네디 스쿨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소비에서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2000년 20% 미만에서 2019년 60%로 증가했다.


China's rapid rise to challenge the dominance of the US is less threatening in areas such as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EDA) tools, where US companies enjoy oligopoly advantages.

 

미국의 지배력에 도전하는 중국의 빠른 부상은  미국이 과점하는 반도체 장비와

 전자 자동 설계 분야에서는 덜 위협적이다.

 

However, the Kennedy School report pointed out that the US has long-term vulnerabilities such as R&D budgets constrained by debt, a growing shortage of semiconductor talents, and increasing reliance on Chinese companies as major revenue sources.

 

그러나 케네디 스쿨 보고서는 미국이 부채로 인한 R&D 예산 제약, 반도체 인재 부족 증가, 주요 수입원으로 중국 기업에 대한 의존도 증가와 같은 장기적인 취약성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