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18
삼성전자, 프리미엄 모바일AP ‘엑시노스 2200’ 출시 – Samsung Newsroom Korea
삼성전자가 그래픽 기능을 대폭 강화한 프리미엄 모바일AP ‘엑시노스 2200’을 출시했다.
‘엑시노스 2200’에는 AMD와 공동 개발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엑스클립스(Xclipse)’가 탑재돼
콘솔 게임 수준의 고성능·고화질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장 박용인 사장은 “‘엑시노스 2200’은 최첨단 4나노 EUV 공정, 최신 모바일 기술, 차세대 GPU, NPU(Neural Processing Unit)가 적용된 제품으로 게임, 영상처리, AI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삼성전자는 모바일AP 뿐만 아니라 차별화된 전략 제품을 지속 출시하며 시스템 반도체 전반에 걸쳐 혁신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콘솔 게임 수준의 고성능, 고화질 그래픽 경험 제공
삼성전자와 AMD가 공동 개발한 GPU ‘엑스클립스’는 AMD의 최신 그래픽 아키텍처인 ‘RDNA 2’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게임 그래픽 성능을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모바일AP로는 최초로 하드웨어 기반의 ‘광선 추적(Ray Tracing)’ 기능을 탑재했다.
‘광선 추적’ 기능은 물체에 투과, 굴절, 반사되는 빛을 추적해 사물을 실감나게 표현하는 기술로
게임을 더욱 현실적으로 구현한다.
삼성전자는 영상의 음영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GPU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가변 레이트 쉐이딩(Variable Rate Shading)’ 기술도 탑재했다.
‘가변 레이트 쉐이딩’은 영상의 밝기, 움직임 등을 분석해, 고성능·고화질 장면에서 최적화된 렌더링을 제공한다.
또한, 전력 효율을 최적화하는 자체 솔루션인 ‘AMIGO(Advanced Multi-IP Governor)’를 탑재해
고화질·고사양 게임과 프로그램에서 배터리 소모에 대한 부담도 줄였다.
AMD 라데온 테크놀로지 그룹 수석 부사장 데이비드 왕(David Wang)은 “AMD는 ‘RDNA 2’ 그래픽 아키텍처를 통해 PC, 노트북, 게임 콘솔, 자동차에 이어 스마트폰에까지 최신 저전력 그래픽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며, “엑스클립스는 향후 엑시노스 프로세서에 탑재 예정인 다양한 AMD RDNA 그래픽 솔루션 시리즈의 첫 협업 사례로, 두 회사의 기술 협력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게임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최신 CPU 아키텍처 기반 한층 향상된 NPU 성능, 머신러닝 기능 제공
‘엑시노스 2200’은 Arm의 최신 CPU 아키텍처 ‘Armv9’을 기반으로 하며, NPU 성능과 머신러닝 기능이 향상됐다.
특히, NPU 연산 성능은 전작 대비 두 배 이상 향상돼, 스마트 기기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온-디바이스(On-Device) AI 기능도 강화됐다.
또한, ‘엑시노스 2200’은 고성능 ‘코어텍스(Cortex)-X2’ 1개, ‘코어텍스-A710’ 3개, 저전력 ‘코어텍스-A510’ 4개를 탑재하는 ‘트라이 클러스터(Tri-Cluster) 구조’의 옥타코어로 설계됐다.
‘엑시노스 2200’은 3GPP 릴리즈 16 규격의 5G 모뎀을 내장했다. 저주파대역(서브-6, Sub-6)과 초고주파대역(밀리미터파, mmWave)까지 전세계 5G 주요 주파수를 모두 지원한다.
Arm IP 프로덕트 그룹 대표 르네 하스(Rene Haas)는 “미래의 디지털 경험을 위해서는 새로운 차원의 성능, 보안, 효율성이 요구된다”며, “새로운 Armv9 CPU 코어를 탑재한 첫 프로세서 중 하나인 삼성 ‘엑시노스 2200’은 목적 기반 컴퓨팅과 특화된 프로세싱으로 구현되는 새로운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Arm의 토탈 컴퓨트(Total Compute) 전략, 메모리 태깅 익스텐션(Memory Tagging Extension)과 같은 주요 보안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엑시노스 2200’은 최대 2억 화소까지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ISP(Image Signal Processor)를 탑재했다.
‘엑시노스 2200’은 최대 7개의 이미지센서를 지원하고, 4개의 이미지센서에서 입력되는 영상과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엑시노스 2200’의 ISP는 NPU와 연동해 배경에 포함된 다양한 사물, 환경, 인물 등을 인식해
최적의 색과 명암 노출 조절을 통해 전문 사진가 수준의 사진 촬영을 지원한다.
------------------------------------------
[김경민의 적시타]말 많던 삼성AP '엑시노스 2200'는 왜 갑자기 출시됐나, 그 잡음들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4나노 발열 여전히 골치, 5나노는 안정적
밀어붙인 일정, 연구→설계→양산 다 불안
시장점유율은 하락세 계속, 1년새 반토막
[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신제품인 '엑시노스 2200' 발표를 취소한지 엿새 만에 깜짝 출시했다. 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반도체로, 엑시노스 2200은 다음달 선보일 갤럭시S22에 소량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두자릿수 AP 시장점유율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컸던 제품이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이날 엑시노스 2200 출시를 둘러싼 잡음도 상당하다. 연구, 설계, 양산으로 이어지는 삼성 반도체의 전반적인 생산 체계에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삼성전자는 그래픽 성능이 업그레이드된 프리미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200'을 출시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말 1월 12일에 엑시노스2200을 공개하겠다고 했다가 돌연 공지글을 삭제했는데 이날 깜짝 출시를 알린 것이다.
다만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2200가 어떤 제품에 탑재될 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업계에선 지금까지 엑시노스 신제품은 줄곧 한국과 유럽에서 판매되는 갤럭시 S시리즈에 탑재돼 왔는데 이번에는 예상보다 적은 수량이 쓰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수율(생산품 대비 양품비율) 등의 문제로 이번에는 국내 S22 제품에도 엑시노스 2200가 탑재되지 않고 퀄컴의 스냅드래곤이 쓰일 것 같다"며 "엑시노스에 대한 시장의 의심이 커지자 이를 의식해 출시 발표를 서두른 것 같다. S22에 엑시노스 2200 탑재분은 소량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 측은 "고객사 납품과 관련해서는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2200 양산과 관련, 목표한 4나노 공정에서 낮은 수율로 골머리를 앓았다. 엑시노스 2200의 클럭 속도는 개발 초기 목표한 1.69GHz에서 1.49GHz로, 다시 1.29GHz로 계속 낮아졌다. 현재도 4나노 발열 이슈는 잡히지 않았고, 5나노는 그나마 안정적 수율을 확보해 출시할 수 있었다는 전언이다. 내부에선 아예 설계를 다시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이럴 경우 공정 전체를 손봐야 해 일이 커진다. 이 과정에서 칩을 생산하는 시스템LSI 사업부와 같은 회사지만 동시에 고객사인 무선사업부(현 MX사업부)간 갈등도 커졌다. MX사업부는 현재 LSI사업부에 인력을 파견해 낮은 수율을 보완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론 중국 생산 지연으로 5.48% 하락(2022.01.21) (0) | 2022.01.21 |
---|---|
SK하이닉스 목표주가 16만원으로 +14% 상향 (0) | 2022.01.19 |
중국 반도체산업, 미국 제재에도 성장할 것(2022.01.14) (0) | 2022.01.15 |
2022년1분기 노트북 수요 강세(2022.01.14) (0) | 2022.01.15 |
마이크론,향후 2년간 실적이 증가할 것(2022.01.14)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