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4
6월23일 마감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종가는 각각 57,400원과 90,200원이다.
아래는 샴성전자와 SK하이닉스 금융 관련 지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사적 PBR 저점은 각각 1.2배(59,300원)와 1.0배(104,000원) 수준이다.
이 이하의 주가는 저평가 수준이라 할수있다.
두 회사의 역사적 PBR 고점은 모두 2.0배 이상이다.
1. 삼성전자
삼성전자의 PBR의 역사적 저점은 1.2배 수준인데 , 2022년 삼성전자의 예상 BPS는 49,399원이다.
삼성전자의 PBR 1.2배는 59,300원 수준이므로 현재 주가는 저평가 상태임이 분명하다.
또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매년 40조이상의
순이익이 가능하며, 주당순자산은 매년 4400원이상씩 증가할 것이다.
내년(2023년) 예상 BPS(주당순자산)는 54,000원정도일 것이고,
PBR 1.2배는 64,800정도가 된다.
삼성전자는 호황기에는 주가가 PBR 2.0배까지 상승한다.
2023년 예상 BPS 54,000원의 2.0배는 108,000원이다.
analysis.downpdf (hankyung.com)
2.SK하이닉스
하이닉스의 2022년 예상 BPS는 103,588원이다.
하이닉스의 역사상 PBR 저점은 1.0배 수준이므로 10만원이하의 주가는 저평가상태다.
하이닉스는 연간 10조정도의 순이익이 가능하므로 매년 11,000원이상의 BPS 증가가 가능하다.
하이닉스는 호황시에는 주가가 PBR 2.0배까지도 상승한다.
2023년 기준 예상 BPS는 115,000원이고 PBR 2.0배 주가는 230,00원이다.
analysis.downpdf (hankyung.com)
아래 그래프에서 실선은 1년간 PBR(왼쪽), 막대 그래프는 분기별 영업이익(오른쪽)을 나타낸 것.
PBR이 높을 때는 2.7배까지 주가가 상승했고, 대부분 PBR 2.0배까지는 상승한 것을 보여준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장기투자를 위한 저점매수 가능(2022.06.27) (0) | 2022.06.27 |
---|---|
글로벌 경기 악화는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에 불을 지폈다(2022.06.24) (0) | 2022.06.25 |
삼성전자, 업계 최소 픽셀 2억 화소 이미지센서 공개(2022.06.23) (0) | 2022.06.23 |
SK하이닉스, 나올 악재 다 나오고 있다 ‘목표가↓’-현대차證(2022.06.23) (0) | 2022.06.23 |
자동차 반도체 부족은 2023년 하반기까지 계속될 듯(2022.06.21)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