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2020년3분기에는 서버 시장이 조정 받을 것

2020.0625

 

Published Jun.22 2020,15:21 PM (GMT+8)

 

 

3Q20 Server Orders to Face Adjustments in Light of Relatively High Server Barebones Inventory, Says TrendForce

2020년3분기에는 핵심부품들의 재고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기때문에 서버 주문이 조정을 받을것으로

시장 조사기관인 트렌드포스는 예측했다.

 

According to the latest investigations by the DRAMeXchange research division of TrendForce, the increase in server orders in 2Q20 took place due to the gradual easing of supply chain disrupti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ODM server orders increased by about 20% QoQ in 2Q20, although work resumption at some overseas server assembly lines yet remains lower than expected, in turn constraining the overall server unit shipment performance. TrendForce estimates the QoQ increase in server shipments in 2Q20 to be about 9%.

 

트렌드포스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 완화에 따라 2분기 서버 주문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ODM 서버 주문량은 2분기 QoQ가 약 20% 증가했지만 일부 해외 서버 조립 라인의 작업 재개는 여전히 예상보다 저조해 전체 서버 단위 출하 실적을 제약하고 있다. TrendForce는 2분기 서버 출하량의 QoQ 증가율을 약 9%로 추정한다.

 

TrendForce Senior Analyst Mark Liu indicates that North American and Chinese cloud service providers are still the dominant drivers in the server market. Server demand in 1H20 has primarily benefitted from applications in the pandemic-driven stay-at-home economy, such as teleconferencing and media streaming. However, as the inventory of ODM server barebones accumulates in 3Q20, CSPs are projected to abate their server orders; server unit shipments are thus expected to either hold flat in 3Q20 or undergo a slight QoQ dip. Looking at 2020 in its entirety, the data center server demand from CSPs is projected to lead to a YoY growth of around 5% in global server shipments.

 

트렌드포스 수석 분석가 마크 류는 북미와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여전히 서버 시장에서

지배적인 수요자라고 지적한다.

1H20의 서버 수요는 주로 원격 회의와 미디어 스트리밍과 같이 유행병으로 인한 재택경제에서 혜택을 받았다.
그러나, ODM 서버 핵심부품의 재고가 3분기에 누적됨에 따라, CSP(클라우드서비스 공급엄체)는 서버 주문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버 장치 출하량은 3분기에 전분기와 비슷하거나 약간의 하락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0년 전체를 보면, CSP의 데이터 센터 서버 수요는 전 세계 서버 출하량에서 약 5%의 YoY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Google (GCP) 구글

GCP has conservatized its ODM server orders to mitigate risks related to supply chain disruptions caused by the pandemic in 2Q20. As such, GCP’s demand has slowed down considerably during 2Q20. Following a quarter of adjustments, issues regarding labor and materials at server assembly lines, in addition to supply chain disruptions, have mostly been resolved. Server unit shipments to GCP are therefore likely to ramp up in 3Q20. GCP’s yearly server demand in 2020 will be driven by software optimization and the overall trend for servers to be manufactured to client-specific specs. Server orders from GCP are likely to grow by almost 20% YoY in 2020.

 

GCP(구글 클라우드)는 2분기 대유행으로 인한 공급망 붕괴와 관련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ODM 서버 주문을 정비했다.

이처럼 2분기 중 GCP의 수요는 상당히 둔화됐다.

공급망 장애 외에도 서버 조립 라인의 노동력과 자재에 관한 문제가 대부분 해결되었다.

그러므로 GCP로의 서버 장치 출하량은 3분기에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 GCP의 2020년 연간 서버 수요는

소프트웨어 최적화 및 클라이언트별 사양에 따라 제조되는 서버의 전반적인 추세에 의해 주도될 것이다.

GCP(구글 클라우드)로부터의 서버 주문은 2020년에 YoY 20% 가까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Microsoft (Azure Cloud)

Due to pandemic-induced delays in server component deliveries as well as pressure from the unfinished recovery of labor and logistics, server shipments to Microsoft grew by about 10-15% QoQ in 2Q20, slightly below expectations.

 

Even so, Microsoft’s yearly ODM server demand is expected to show a significant YoY growth in 2020, driven by demand from applications such as infrastructure build-out and digital transformation initiatives,

which include, more specifically, its existing Office software business and enterprise cloud solutions.

 

Increased teleconference software demand, driven by the pandemic, is also accelerating the transformation of Microsoft’s business model, in turn escalating its purchasing demand for servers.

 

대유행으로 인한 서버 부품 납품 지연과 노동·물류의 미완성 회복에 따른 압박으로 2분기 마이크로소프트로의

서버 출하량은 예상치를 약간 밑도는 전분기대비 약 10~15% 증가하였다.

 

그렇더라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연간 ODM 서버 수요는 기존 Office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및 기업용 클라우드

솔루션을 포함하는 인프라 구축 및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수요에 의해

2020년에 상당한 YoY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대유행으로 인한 원격회의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도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즈니스 모델의 변혁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그 결과 서버에 대한 구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Facebook

In spite of the pandemic’s impact on the progress of Facebook’s data center construction, its server supply chain issues are expected to be substantially addressed in 3Q20, with a reduction of server barebones inventory accumulated in 1H20.

 

Server shipments to Facebook are projected to decline by a slight 2-3% QoQ in 3Q20, but the company’s overall operations will remain robust. Facebook has been focusing its infrastructure planning in Asia-Pacific from the end of last year to 1H20. Apart from renovating its North American data centers with new servers, Facebook is also ramping up its data center and e-commerce expansion in Asia.

 

In 2H20, the schedule of server shipments to Facebook’s data centers in Europe will depend on the overall environment. Facebook is expected to increase its server orders by up to 10% YoY this year.

 

페이스북의 데이터센터 구축에 대한 대유행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서버 공급망 문제는 1H20에 누적된

서버 핵심부품 재고의 감소와 함께 3분기에 실질적으로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페이스북으로의 서버 출하량은 3분기 QoQ가 2-3%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회사의 전반적인 운영은 견실할 것이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말부터 1H20까지 아태지역 인프라 계획을 집중 추진해 왔다. 새로운 서버로 북미 데이터센터를 개조하는 것 외에도, 페이스북은 또한 데이터센터와 아시아에서의 전자상거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2H20에서는 유럽에 있는 페이스북의 데이터 센터로의 서버 출하 일정이 전반적인 환경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페이스북은 올해 서버 주문을 전년대비 최대 10% YoY까지 늘릴 전망이다.

 

Amazon (AWS)

AWS has a more diverse supply chain compared with other CSPs and depends on system integrators to assemble the whole servers that it uses.

 

Quarterly shipments from ODMs to AWS are estimated to grow by 15% QoQ for 2Q20.

The global activities of AWS indicate that its new self-build data centers in Asia-Pacific and its colocation demand are spurring server shipments. As companies in Asia-Pacific are accelerating the course of their enterprise digital transformation, the demand generated by their cloud migrations will be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the digital infrastructure build-out in the region.

 

AWS는 다른 CSP(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업체)에 비해 더욱 다양한 공급망을 갖추고 있으며, 사용하는 전체 서버를

조립하기 위해 시스템 통합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ODM에서 AWS로의 분기별 출하량은 2분기에 QoQ가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AWS의 글로벌 활동은 아태 지역의 새로운 자체 구축 데이터 센터와 코로케이션 수요가 서버 출하를 촉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태지역 기업들이 기업 디지털 전환의 진로를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요는 이 지역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이끄는 주요 원동력이 될 것이다.

 

 

BAT (ByteDance/Alibaba/Tencent)

Because China was first to experie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Chinese market saw a rapid and massive expansion of upside demand related to the adoption of telecommuting and the growth of the stay-at-home economy, thus causing the server demand from Tencent to surge by 30% YoY in 1Q20, which subsequently slowed down in 2Q20, since some of Tencent’s demand had already been pulled forward.


중국은 COVID-19의 발발을 가장 먼저 경험했기 때문에, 중국 시장은 재택근무 도입과 전업주거경제 성장과 관련된 상승수요가 빠르고 대규모로 확대되어, 1분기에는 텐센트의 서버수요가 1분기에는 30% YoY까지 급증하였고,
텐센트의 수요는 이미 앞당겨진 상태였기 때문에
텐센트 수요는 2분기에는 증가세가 둔화되었다.

 

Tencent is likely to restart its server procurement in 2H20 in order to adjust the run rate of its servers following the resumption of normal businesses across China.

 

Alibaba’s cloud and e-commerce businesses, as well as replacement of older servers, boosted the company’s server demand, which increased by about 10-20% YoY, in 2Q20. But Alibaba’s server demand in 2H20 is expected to decelerate to some extent.

 

Regarding ByteDance’s infrastructure strategy, ByteDance is working with GDS (Global Data Solutions Limited) for the build-out of data centers in China. It h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overseas service points. Nearly one-third of its servers are now located in North America to ensure the smooth expansion of TikTok’s activities in that region.

 

텐센트는 중국 전역의 정상사업 재개에 따른 서버 가동률 조정을 위해 서버 조달이 2H20에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알리바바의 클라우드와 전자상거래 사업은 물론 구형 서버 교체로 2분기 YoY가 약 10~20% 증가한 서버 수요를 끌어올렸다. 그러나 알리바바의 2H20 서버 수요는 어느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ByteDance의 인프라 전략과 관련하여, ByteDance는 중국의 데이터 센터 구축을 위해 GDS(Global Data Solutions Limited)와 협력하고 있다. 해외 서비스 포인트도 대폭 늘렸다.

틱톡의 원활한 확장을 위해 현재 거의 3분의 1의 서버가 북미에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