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1
SSD관련 유튜브 영상
www.youtube.com/watch?v=dknLCGqHHpA
분석:2020년6월 반도체 수출은 2019년6월 83.06억달러에서 0.03억달러(0.03%) 감소한 83.03억달러이나
SSD 수출은 같은 기간 3.72억달러에서 9.68억달러로 5.96억달러(160% 증가) 증가.
즉 반도체와 SSD를 합친 수출액(대부분 메모리 수출액)은 2019년6월 86.78억달러에서
2020년6월 92.71억달러로 증가했다.
즉 6월의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메모리 수출액은 작년 6월 수출액보다 증가했을것으로 추정할 수있다.
-----------------------------------------------------------------
2020년6월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 (컴퓨터 : +91.5%)
①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및 서버용량이 증대하였으며, 이로 인한 SSD 수출의 지속 증가,
②全 세계적으로 온라인 교육의 확대,
③재택근무 활성화에 따른 노트북 수출 호조 ⇒ 컴퓨터 수출 9개월 연속 증가
* 中 텐센트, 향후 5년간 5천억위안 규모의 미래 데이터 인프라 투자계획 발표(‘20.5)
*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를 멕시코, 이태리 등에 추가 구축(54개→61개) 발표(‘20.6)
* SSD 수출액 추이(백만 달러) : (‘19.5)364 →(19.6월)372 →(8)380 →(12)649 →(’20.2)828 →(6)968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6) 6.4(△43.6) → (’20.6) 12.3(91.5)
□ (반도체 : △0.03%)
2020년6월 반도체 수출은 2019년6월 83.06억달러에서 0.03% 감소한 83.03억달러.
①데이터센터 운용업체들의 설비투자와 수요강세의 둔화,
②OEM社가 보유한 D램의 재고 소진 지연,
③스마트폰 업황 부진 등으로 반도체 수출 감소
* D램 고정價($) : ('19.2)5.13→(7~9)2.94→(‘20.1)2.84→(4)3.29→(5~6)3.31
* 낸드 고정價($) : (’19.1)4.52 →(5~6)3.93 → (‘20.1~2)4.56 →(3~6)4.68
* ‘20.2Q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증감률(IDC) :
전년 동기대비 △12% 감소 전망
* 디램익스체인지 : OEM 업체들의 D램 재고 보유량이 적정수준을 초과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6) 83.1(△25.6) → (‘20.6) 83.0(△0.03)
③신규 유망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SSD 수출액
2020년 689(1월) 828(2월) 849(3월) 825(4월) 957(5월) 968(6월) (누적: 51.16억달러)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133.8) (171.7) (176.8) (254.4) (163.1) (160.4)
MCP 수출액
1,300 1,513 2,019 1,443 2,119 1,904
(4.3) (27.4) (6.3) (△9.3) (44.9) (△4.4)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11월 반도체 수출입 동향 (0) | 2020.12.02 |
---|---|
OECD국가-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2019년) (0) | 2020.11.23 |
10월 수출입 동향(2020.11.01) (0) | 2020.11.01 |
중요-주식이 싼지 비싼지 판단 여부 (0) | 2020.10.30 |
2020년8월 수출입 자료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