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9.01
SSD 8월 수출 사상 최대
SSD 수출액 추이(백만 달러) : (‘19.8)380 → (10)606 → (’20.1)689 → (4)825 →(5월)957
-->(6)968-->(7)838-->(8월)1,015
◈ (총괄) 8 수출 396.6억 달러(△9.9%, 전년대비 조업일수 △1.5일 부족),
수입 355.4억 달러(△16.3%), 무역수지는 41.2억 달러 흑자
* 수출 증감률(%) : (’19.8)△14.0→(9)△11.9→(10)△15.0→(11)△14.5→(12)△5.3→(‘20.1)△6.6 → (2)+3.6 → (3)△1.7 → (4)△25.6 → (5)△23.8 → (6)△10.8 → (7)△7.1 → (8)△9.9
◈ 주요 특징
➊ 조업일수 부족(△1.5일)에도, 두 달 연속 한 자릿수대 감소율 기록
ㅇ 조업일수 효과 배제 일평균은 △3.8% 감소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최소 감소폭 기록 (플러스였던 ‘20.1월 제외 시, ’19년 이후 최고 실적)
* 일평균 감소율(%) : (‘20.1)4.2→(2)△12.5→(3)△7.8→(4)△18.8→(5~6)△18.4→(7)△7.1→(8)△3.8
➋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일평균 수출액 18억 달러대 진입
* 월별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20.4)16.5 → (5)16.2 → (6)16.7 → (7)17.1 → (8)18.0
➌ 15대 품목 중 4개가 플러스, 나머지 11개는 전년대비 감소했으나 8개 품목이 전월대비로는 개선(일평균 감소율 기준) * 증가 품목(%) : (반도체)+2.8, (가전)+14.9, (바이오헬스)+58.8, (컴퓨터)+106.6
ㅇ 반도체는 ’20년 누계(1∼8월) 기준, 플러스로 전환
➍ 中 美 EU 3대 시장으로의 수출은 모두 한 자릿수대로 감소했으나, 일평균 기준으로는 23개월만에 3개 시장 모두 플러스를 기록 구 분 중 국 미 국 EU 전체 수출 △3.0% △0.4% △2.5% 일평균 수출 +3.6% +6.4% +4.1%
➎ 주요국의 상반기 실적이 모두 부진한 가운데 우리 수출과 교역은 상대적으로 선전,
교역순위는 8년 만에 1단계 상승 (9위 → 8위)
【 10대 주요국의 상반기 수출 및 교역 증감률(%, WTO, 교역 증감률 順) 】
국가 홍 콩 중 국 한 국 네덜란드 일 본 독 일 미 국 이태리 영 국 프랑스
교역 △5.6 △6.3 △10.2 △10.9 △12.1 △14.1 △14.1 △18.2 △20.5 △21.1
수출 △4.0 △6.2 △11.3 △10.7 △14.0 △15.5 △16.5 △17.3 △19.6 △23.3
* 홍콩은 중국으로의 재수출 비중이 49.6%로서(중계무역), 중국과 수출 증감률 동조화 현상을 나타냄.
□ (반도체 : 2.8%)
①주요 IT 대기업의 재고 수준 상향으로 서버 수요 감소 및
②신규 CPU 출시 지연에 따른 구매 PC 모멘텀 약세에도
③최근 공급망이 안정되기 시작한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스마트폰 제조 국가로의 스마트폰 부품 수출 증가,
④코로나로 부진했던 스마트폰 출하량 회복 추세 ⇒ 2개월 연속 반도체 수출 증가
* D램 고정價($) : (‘19.8) 2.94→ (12) 2.81→(’20.1) 2.84→(‘20.3) 2.94→(5~6) 3.31→(7~8) 3.13
* 낸드 고정價($) : (‘19.8) 4.11 → (12) 4.42 → (’20.3~6) 4.68 → (7) 4.39 → (8) 4.35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8) 79.8(△30.7) → (‘20.8) 82.0(2.8)
□ (컴퓨터 : 106.6%) ①대형 서버 업체들의 재고 누적으로 인한 컴퓨터 수요는 속도 조절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이나, ②SSD의 수요가 엔터 테인먼트 및 게임 등 비대면 산업으로 확대 ⇒ 11개월 연속 증가
* 글로벌 SSD 성장률(‘20.5, IDC, %) :
(‘19) 36.1 → (’20e ) 10.9 → (‘21e ) 10.3
* SSD 수출액 추이(백만 달러) : (‘19.8)380 → (10)606 → (’20.1)689 → (4)825 →(5월)957
-->(6)968-->(7)838-->(8)1,015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 (’19.8) 6.3(△32.2) → (’20.8) 13.1(106.6)
'경제-수출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11월 반도체 수출입 동향 (0) | 2020.12.02 |
---|---|
OECD국가-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2019년) (0) | 2020.11.23 |
10월 수출입 동향(2020.11.01) (0) | 2020.11.01 |
중요-주식이 싼지 비싼지 판단 여부 (0) | 2020.10.30 |
2020년6월 수출입 동향-산자부(반도체+SSD수출액)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