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삼성전자 2021년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

2022.01.27

2021Q4_conference_kor.pdf (teletogether.com)

투자자 정보 │ Samsung 대한민국

SAMSUNG (teletogether.com)

 

2021년 연간 매출 279.6조원, 영업익 51.63조원, 순이익 39.9조원으로

매출은 전년대비 18% 증가한 사상 최대 매출 달성. 이전 최대 매출은 2018년 243.5조원이였다.

주당순이익은 5777원이고 ,배당은 1주당 361원이다.

 

 

 

 

 

IM

【 4분기 】

□ MX : 시장, 연말 성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비 성장 당사, 부품 공급 부족 불구, 폴더블/S시리즈 등 프리미엄 판매 확대, 견조한 PC/태블릿/웨어러블 제품군 판매로 전분기비 매출 소폭 증가 단, 폴더블 대세화 위한 투자 및 연말 마케팅비 증가로 수익성 영향

□ NW: 국내/해외 사업 모두 성장하며 전분기비 실적 개선

 

【 1분기 】

□ MX : 시장, 비수기 진입으로 전분기比 스마트폰/태블릿 수요 감소 전망 당사, S21FE 등 신모델 출시에 따른 플래그십 판매 확대 및 ASP 상승, Mass 5G 라인업 강화 및 판매 활성화로 매출 확대 전망 태블릿/웨어러블 등 Device Ecosystem 판매 확대 추진 등 불안정한 부품 공급 상황 하에서도 견조한 이익율 달성 전망 □ NW: 유럽 등 글로벌 신규 수주 추가 확보 추진

 

【 ‘22년 】

□ MX : 시장,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리스크 상존하나, 스마트폰 시장 성장 지속, 웨어러블 시장은 고성장 지속 전망 당사, 플래그십은 소비자 중심 혁신/ 차별화 경험 강화에 집중하고 Mass 5G 라인업 강화 등을 통해 M/S확대 추진, 제품 믹스 개선/운영 효율화 등 수익성 개선 노력 특히, Device Ecosystem 제품의 고객가치 제고를 통한 판매 확대 MX 제품은 물론 VD, 가전 등 전사 기기간 연결 경험 향상

□ NW: 국내 5G망 증설 대응, 해외사업 확대 적극 추진 5G 핵심 칩 포함 기술 경쟁력 지속 강화를 통한 미래 준비.

 

CE

 

【 4분기 】

□ TV : 시장, 연말 성수기 진입하며 전분기 대비 증가했으나 펜트업 수요가 강했던 전년 동기 대비는 감소 당사, 성수기 수요 선제적 공략 통해 프리미엄 중심 판매 확대 원가 상승 등으로 전년/전분기 대비 이익은 소폭 감소

□ DA : BESPOKE와 신가전 중심 판매 믹스 개선 및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전분기 대비 이익 개선

 

【 1분기 】

□ TV : 시장, 계절적 비수기로 선진 시장 중심 수요 감소 전망 당사, 스포츠이벤트 등 국가별 판촉기회 활용한 프리미엄 수요 선점, The Freestyle 출시 등 Lifestyle 제품군 강화 통한 판매 확대

□ DA : 북미/구주 중심 Bespoke 라인업 확대 통해 프리미엄 시장 공략 및 온라인 판매 강화하고, 비용 효율화 추진

 

【 ‘22년 】

□ TV : 시장, 공급/물류 등 이슈와 코로나19로 인한 시장 불확실성下 프리미엄/초대형 중심 수요는 지속 성장 전망 당사, 차세대 Neo QLED/Micro LED 등 프리미엄 혁신 제품으로 리더십 공고화, Lifestyle 판매 확대 및 액세서리/서비스 생태계 확장 통한 소비자 니즈 공략으로 지속 성장 추진

□ DA : Bespoke 라인업 확산으로 글로벌 판매 본격 확대하고 신가전 제품 지속 출시하며 성장 가속화 추진 운영 효율 향상 및 안정적인 공급 역량 확보로 대외환경 risk 선제적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