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SK하이닉스 (000660)-키움증권(2022.04.25)

2022.04.25

기업분석 | 기업/산업분석 | 리서치 | 투자정보 | 키움증권 (kiwoom.com)

 

1Q22 영업이익 3.2조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상회 예상. 2Q22 영업이익 역시 4.2조원 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할 전망.

 

DRAM의 출하량 강세(+12%QoQ)와 양호한 가격(flat QoQ), NAND의 출하량 급증(+29%QoQ)과

가격 급등(+7%QoQ)이 예상되기 때문.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 등으로 인해 급락하며,

당사가 판단하는 단기 rock bottom에 다시 근접. 업종 top pick으로 매수 추천함.

 

1Q22 영업이익 3.2조원, 시장 컨센서스 상회 예상

 

SK하이닉스의 1Q22 실적이 매출액 11.9조원(-4%QoQ)과 영업이익 3.2조원 (-24%QoQ)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3.05조원)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DRAM의 경우 분기 후반부터 목격된 서버의 수요 회복으로 인해서 예상보다 양호한 출하량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고, NAND는 Kioxia/WD의 생산 차질에 대한 반사 수혜로 예상보다 강한 출하 증가율과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사업 부문별 실적은 DRAM이 매출액 7.8 조원(-11%QoQ)와 영업이익 3.3조원(-18%QoQ), NAND가 매출액 3.7조원 (+22%QoQ)와 영업적자 0.2조원(영업적자 전환)을 각각 기록할 전망이다.

 

2Q22 영업이익 4.2조원, 시장 컨센서스 상회 전망

 

2Q22 실적 역시 매출액 14.3조원(+20%QoQ)과 영업이익 4.2조원(+32% QoQ)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3.9조원)를 상회할 전망이다.

 

DRAM의 가격은 고객들의 보유 재고 감소 영향으로 인해 전 분기 수준을 유지하고,

출하량은 서버 수요 강세로 인해 +12%QoQ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NAND는 솔리다임 연결 편입 효과와 수요 성수기 효과가 반영되며 +29%QoQ의 출하 량 급등이 나타나고,

가격은 최근의 업황 변동이 반영되며 +7%QoQ 급등할 전망이다. 특히 NAND 부문의 경우 1Q22 영업적자 1,955억원에서 2Q22 영업이익 6,246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 모을 것으로 판단한다.

 

목표주가 160,000원, 업종 top pick 유지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 등으로 인해 급락하며, 당사가 판단하고 있는 단기 rock bottom(2022년 P/B 1.0배)에 다시 근접했다.

 

최근 DRAM 공급 업체들은 고객들의 추가 주문량에 대한 공급을 미루면서 2Q22 이후의 고정가격 상승에 대한 의지를 높이고 있으며, NAND는 Kioxia 의 공급 차질 영향으로 인해 큰 폭의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PC의 수요 약세를 모두 상쇄시킬 정도로 서버의 수요 강세가 나타나고 있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2Q22중·후반을 기점으로 buyers' market에 서 sellers' market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SK하이닉스를 반도체 업종 top pick으로 매수 추천한다.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는 항상 SK하이닉스에 대한

좋은 매수 기회가 됐었던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