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25
2021년 글로벌 파운드리 매출은 1075억달러, 2022년은 1287억달러 예상.
대만 회사들의 글로벌 파운드리 점유율은 2021년 64%, 2022년 66% 차지할 것.
하지만 대만 현지 생산 용량은 48%차지할 것.
Localization of Chip Manufacturing Rising. Taiwan to Control 48% of Global Foundry Capacity in 2022, Says TrendForce
증가하는 칩 생산의 국산화 추세 .
TrendForce에 따르면 대만은 2022년에 글로벌 파운드리 용량의 48%를 제어할 예정.
According to TrendForce, Taiwan is crucial to the global semiconductor supply chain, accounting for a 26% market share of semiconductor revenue in 2021, ranking second in the world. Its IC design and packaging & testing industries also account for a 27% and 20% global market share, ranking second and first in the world, respectively.
TrendForce에 따르면 대만은 2021년 반도체 매출에서 26%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여 세계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계 2위를 차지합니다. IC 설계와 패키징 및 테스트 산업도 세계 시장 점유율 27%와 20%를 차지하여
각각 세계 2위와 1위를 차지합니다.
Firmly in the pole position, Taiwan accounts for 64% of the foundry market. In addition to TSMC possessing the most advanced process technology at this stage, foundries including UMC, Vanguard, and PSMC also have their own process advantages.
확고한 위치에 있는 대만은 파운드리 시장의 64%를 차지합니다. 현 단계에서 가장 앞선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TSMC 외에 UMC, Vanguard, PSMC 등의 파운드리들도 나름의 공정 장점을 갖고 있다.
Under the looming shadow of chip shortages caused by the pandemic and geopolitical turmoil in the past two years, various governments have quickly awakened to the fact that localization of chip manufacturing is necessary to avoid being cut off from chip acquisition due to logistics difficulties or cross-border shipment bans.
Taiwanese companies have ridden this wave to become partners that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eager to invite to set up factories in various locales.
지난 2년 동안 대유행과 지정학적 혼란으로 인한 칩 부족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가운데, 여러 정부는 물류 어려움이나
국경 봉쇄로 인해 칩 획득에서 차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칩 제조의 현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재빨리 깨우쳤습니다. 대만 기업들은 전 세계 정부가 다양한 지역에 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초청하기를 열망하는 파트너가 되기 위해
이 물결을 타고 있습니다.
Currently, 8-inch and 12-inch foundries are dominated by 24 fabs in Taiwan, followed by Chin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ooking at new factories plans post 2021, Taiwan still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of new fabs, including six new plants in progress, followed in activity by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th plans for four and three new fabs, respectively.
현재 8인치와 12인치 파운드리는 대만의 24개 팹이 지배하고 있으며 중국, 한국, 미국이 그 뒤를 잇고 있다.
2021년 이후의 신규 공장 계획을 살펴보면, 대만은 진행 중인 6개의 신규 공장을 포함하여 여전히 가장 많은
신규 팹을 차지하며 중국과 미국이 그 뒤를 잇고 있으며 각각 4개 및 3개의 신규 팹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Due to the advantages and uniqueness of Taiwanese fabs in terms of advanced processes and certain special processes, they accepted invitations to set up plants in various countries, unlike non-Taiwanese foundries who largely still build fabs locally. Therefore, Taiwanese manufacturers have successively announced factory expansions at loc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hina, Japan, and Singapore in addition to Taiwan in consideration of local client needs and technical cooperation.
고급 공정 및 특정 특수 공정 측면에서 대만 팹의 장점과 독창성으로 인해, 대부분 여전히 현지에서 팹을 건설하는
대만외 파운드리 회사와 달리, 다양한 국가에 공장을 설립하라는 초대를 수락했습니다.
이에 대만 제조사들은 현지 고객의 니즈와 기술 협력을 고려해 대만 외에도 미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지로
공장 증설을 잇달아 발표했다.
The focus of Taiwan's key technologies and production expansion remains in Taiwan, accounting for 44% of global wafer production capacity by 2025
대만의 핵심 기술 및 생산 확장의 초점은 대만에 남아 있으며 2025년까지 전 세계 웨이퍼 생산 능력의 44%를
차지할 것입니다.
In 2022, Taiwan will account for approximately 48% of global 12-inch equivalent wafer foundry production capacity. Only looking at 12-inch wafer production capacity with more than 50% market share, the market share of advanced processes below 16nm (inclusive) will be as high as 61%.
2022년, 대만은 전 세계 12인치 상당 웨이퍼 파운드리 생산 능력의 약 48%를 차지할 것입니다.
시장 점유율이 50% 이상인 12인치 웨이퍼 생산 능력만 보면 16nm(포함) 이하 첨단 공정의 시장 점유율은
61%에 달할 것이다.
However, as Taiwanese manufacturers expand their production globally, TrendForce estimates that the market share held by Taiwan's local foundry capacity will drop slightly to 44% in 2025, of which the market share of 12-inch wafer capacity will fall to 47% and advanced manufacturing processes to approximately 58%.
그러나 대만 제조업체들이 전 세계적으로 생산을 확장함에 따라 TrendForce는 대만내 생산 파운드리 용량이
차지하는 시장 점유율이 2025년에는 44%로 약간 떨어질 것으로 추정하고, 이 중 12인치 웨이퍼 용량의
시장 점유율은 47%로 떨어지고 첨단 공정 점유율은 약 58%에 달할 것입니다.
However, Taiwanese foundries’ recent production expansion plans remain focused on Taiwan including TSMC's most advanced N3 and N2 nodes, while companies such as UMC, Vanguard, and PSMC retain several new factory projects in Hsinchu, Miaoli, and Tainan.
그러나 대만 파운드리의 최근 생산 확장 계획은 TSMC의 가장 진보된 3나노및 2나노 공정을 포함하여
대만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UMC, Vanguard 및 PSMC와 같은 회사는 Hsinchu, Miaoli 및 Tainan에
몇 가지 새로운 공장 프로젝트를 유지합니다.
TrendForce believes, since Taiwanese foundries have announced plans to build fabs in Chin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ingapore, and foundries in numerous countries are also actively expanding production, Taiwan's market share of foundry capacity will drop slightly in 2025.
TrendForce는 대만의 파운드리들이 중국, 미국, 일본, 싱가포르에 팹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고 여러 국가의
파운드리들도 적극적으로 생산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2025년에는 대만내의 파운드리 생산 용량 시장 점유율이
약간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However, semiconductor enclaves do not come together quickly. The integrity of a supply chain relies on the synergy among upstream (raw materials, equipment, and wafers), midstream (IP design services, IC design, manufacturing, and packaging and testing), and downstream (brands and distributors) sectors.
그러나 반도체 영토는 빠르게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공급망의 온전함은 업스트림(원재료, 장비, 웨이퍼),
미드스트림(IP 설계 서비스, IC 설계, 제조, 패키징 및 테스트), 다운스트림(브랜드 및 유통업체) 부문 간의
시너지 효과에 달려 있습니다.
Taiwan has advantages in talent, geographical convenience and industrial enclaves. Therefore, Taiwanese foundries still tend to focus on Taiwan for R&D and production expansion. Looking at the existing blueprint for production expansion, Taiwan will still control 44% of the world's foundry capacity by 2025 and as much as 58% of the world's capacity for advanced processes, continuing its dominance of the global semiconductor industry.
대만은 인재, 지리적 편의성 및 산업 지역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만의 파운드리는 여전히 R&D 및 생산 확장을 위해 대만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존 생산 증설 청사진을 보면 대만은 2025년까지 세계 파운드리 생산능력의 44%, 첨단공정 생산능력의 58%를 차지하며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지배력을 이어갈 전망이다.
'파운드리-TSMC-난야-UMC-DB하이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 파운드리 공장 가동률은 3분기에 하락할 듯(2022.06.21) (0) | 2022.06.22 |
---|---|
TSMC의 2022년 매출은 30% 증가할 것(2022.06.09) (0) | 2022.06.09 |
TSMC, 2022년2분기 사상 최대 실적 예상(2022.04.14) (0) | 2022.04.15 |
디램 제조사 난야의 '22년1분기 매출 142% 증가 (0) | 2022.04.12 |
TSMC 와 UMC는 2022년1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