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19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대만의 TSMC가 지속적인 칩 수요 강세에 힘입어 2분기에도 호조
[2분기 실적] 매출액 132.9억 달러(+2.7% QoQ, +19.8% YoY) / 순이익과 조정EPS +11.2 YoY / GPM 50%, NPM 36.1% 가이던스 부합
영업이익 52.0억 달러(-3.2% QoQ, +11.1% YoY) / OPM 39.1%
7나노미터 이하의 미세공정 비중 49% / 7나노미터 제품 출 하량은 31%, 5나노는 18%
스마트폰용 제품 42%로 가장 큰 비중 차지 / 고성능컴퓨터 (HPC)는 39%, 사물인터넷 8%, 차량용 4% 차지
[3분기 가이던스] 매출액 146 ~ 149억 달러 / GPM 49.5 ~ 51.5%, OPM 38.5 ~ 40.5% 로 컨센서스 하회
TSMC 측에서는 5nm 이하 선단 공정 투자에 대한 부담으로 마진이 둔화된다는 점을 이미 지난 분기부터 언급 해옴.
TSMC의 계획대로 5nm 이하의 선단 공정 양산이 시작되고, 만약 일본에서도 28nm 이상의 mature node 증설이 전개된다면 TSMC의 마진이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임
다만, 지배적 위상과 점유율이 굳건하므로, 보수적 마진 가이던스 때문에 주가가 하락한다면 오히려 중장기 투자자에 게는 적절한 매수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
TSMC는 연간 매출 증가율 가이던스를 전년대비 20% 상회하는 것으로 상향 조정
파운드리 시장 성장률(17~20%)을 웃도는 수치
가이던스 상향 조정이 주가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2020년에도 하반기로 갈수록 가이던스가 긍정적으로 바뀌 었으므로 이번에도 상향 조정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었기 때 문
오히려 드라마틱한 서프라이즈가 없었다는 점 때문에 투자 자들은 일단 관망세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
다만, 통상적으로 분기 실적 발표 이후에 차익 실현이 이어지다 별다른 악재가 없으면 주가가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이어왔기에 중장기 상승 트렌드는 유효함
'파운드리-TSMC-난야-UMC-DB하이텍'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 의 5년후 위치 (0) | 2021.07.21 |
---|---|
TSMC 6월분기 실적 예상치 부합(2021.07.15) (0) | 2021.07.20 |
TSMC는 2021년 3분기 매출 11% 증가할 것 (0) | 2021.07.16 |
TSMC 6월 매출 증가(2021.07.10) (0) | 2021.07.10 |
난야 2분기 매출 25%증가할 것(2021.06.22)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