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7
2022년 DRAM과 NAND의 가격 전망치를 반영하여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를 상향하고,
목표주가도 16만원으로 상향.
1Q22 영업이익은 2.9조원으로 당사의 기존 추정치에 부합하고, 2Q22는 영업이익 4.0조원으로 턴어라운드할 전망.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 등으로 인해 급락하며, 당사가 판단하는 단기 rock bottom에 다시 근접. 업종 top pick으로 매수 추천함.
1Q22 영업이익 2.9조원, 당사 기대치 부합 예상
1Q22 매출액 11.3조원(-9%QoQ), 영업이익 2.9조원(-31%QoQ)으로, 당사의 기존 추정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DRAM은 전방 수요 비수기 영향 으로 출하량과 가격이 모두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NAND는 연결 편입된 솔리다임(SOLIDIGM)과 관련된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며 일시적인 영업적자 전환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사업 부문별 실적은 DRAM이 매출액 7.4조원(-15%QoQ)와 영업이익 2.9조원(-26%QoQ), NAND가 매출액 3.4조 원(+13%QoQ)와 영업적자 0.1조원(영업적자 전환)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2Q22 영업이익 4.0조원, 분기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2Q22 실적은 매출액 14.0조원(+24%QoQ)와 영업이익 4.0조원(+39%QoQ) 으로, 턴어라운드 할 전망이다. DRAM은 원가(Cost/bit) 하락률이 가격 (ASP/bit) 하락률을 상회하면서 수익성 개선을 이루고, 출하량 역시 클라우드 고객들의 수요가 집중되면서 +15%QoQ 급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NAND는 솔리다임 연결 편입 효과와 수요 성수기 효과가 반영되며 +35%QoQ의 출하 량 급등이 나타나고, 가격 역시 최근의 업황 변동이 반영되며 +11%QoQ 급 등할 전망이다. 따라서 일회성 비용으로 인해 수익성이 급감했던 NAND 부문 은 2Q22에 들어서며 영업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표주가 160,000원으로 상향. 업종 top pick 매수 추천
2022년 DRAM과 NAND의 가격 전망치 변경을 반영하여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를 상향하고, 목표주가도 16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SK하이닉스의 주가는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 등으로 인해 급락하며, 당사가 판단하고 있는 단기 rock bottom에 다시 근접했다.
최근 DRAM 공급 업체들은 고객들의 추가 주문량에 대한 공급을 미루면서 2Q22 고정가격 상승에 대한 의지를 높 이고 있으며, NAND는 Kioxia의 공급 차질 영향이 작용하며 큰 폭의 가격 상 승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2Q22부터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buyers' market에서 sellers' market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기존 의견을 유지하며,
SK하이닉스를 반도체 업종 top pick으로 매수 추천한다. 글로벌 경기 불안감 확대는 항상 SK하이닉스에 대한 좋은 매수 기회가 됐었던 점을 기억할 필요 가 있다.
--------------------------------------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론 목표가 155달러(2022.03.22) (0) | 2022.03.23 |
---|---|
SK하이닉스(000660/BUY/155,000원) (0) | 2022.03.22 |
5G 스마트폰의 성장이 마이크론의 성장 동력(2022.03.17) (0) | 2022.03.18 |
마이크론은 번스타인의 목표가 상향으로 폭등(2022.03.16) (0) | 2022.03.17 |
삼성 파운드리, 성숙공정 투자 확대(2022.03.14) (0)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