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9
피터 린치가 사용했다는 주식이 싸냐 비싸냐를 알아보는 PE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의 적정 평가를 알아보는 PER이라는 지표에 성장을 더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매년 이익을 내는 주식이지만 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그 주식은 매수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주식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 엔비디아 주식이 많은 이익을 내고 있지만 그 이익의 성장률이 하락하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주식이 매수하기에 적절한가에 대한 찬반 양론이 있는 것입니다.
일부는 Nvidia가 현재 주가수익비율(P/E)이 58로 나스닥 100 지수 평균 P/E인 32보다 높기 때문에 과대평가되었다고 지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vidia는 뛰어난 성장으로 그 평가를 정당화해 왔습니다.
또한, Nvidia의 주가수익성장비율(PEG 비율)이 0.14에 불과하다는 점은 회사가 예측된 성장률을 감안할 때 매우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G 해석 방법:
- PEG가 1:
- 일반적으로 주가가 적정하게 평가되었다고 간주합니다.
- 회사의 이익 성장률이 현재 주가에 반영된 상태입니다.
- PEG가 1보다 작음:
- 저평가된 주식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주가 대비 회사의 이익 성장률이 더 높아 투자 매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PEG가 1보다 큼:
- 고평가된 주식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가가 이익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투자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시:
- 주가: 50달러
- 주당순이익(EPS): 5달러
- PER = 주가 ÷ EPS
- 예상 이익 성장률: 15%
이 경우, PEG가 1보다 작으므로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하이닉스의 PEG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은 SK증권의 2024년11월28일 리포트입니다.
당시 주가는 168,300원이고 목표가는 300,000원이었습니다.
오늘 12월9일 주가 168,900원과 비슷합니다.
위 표에서 2024년 예상 주당 순이익은 24,648원으로 PER는 6.8배이고,
순이익 성장률은 2025년 주당 순이익 33,917원 나누기 2024년 주당 순이익 24,648원하면,
순이익 성장률은 37%가 나온다.
2025년 예상 순이익으로 본 PEG는 PER(6.8)/성장률(37)=0.18이 나온다.
PEG가 0.18로 1미만이므로 하이닉스의 주가는 저평가되었다고 본다.
또 증권사 예상대로 2025년 주가가 300,000원이되고, 순이익이 24.69조원이 달성된다면
PER는 300,000/33,917=8.84배가 된다.
순이익 성장률이 43,740나누기 33,917하면 1.29로 성장률은 29%가 된다.
2026년 예상 순이익으로 본 PEG는 8.84나누기 29하면 0.30으로 역시 1미만이 된다.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DRAM과 HBM이 2024년 3분기 DRAM 산업 매출 13.6% QoQ 상승 견인- TrendForce (2024.11.26) (0) | 2024.12.10 |
---|---|
중국발 D램 치킨게임?...가격 4개월만에 35.7% 급락 (0) | 2024.12.10 |
델과 HP Inc., 실망스러운 PC 판매 실적 발표 후 주가 하락/2025년은 PC 교체시기 도래(2024.11.28) (2) | 2024.11.28 |
미국은 중국의 200개이상의 반도체에 HBM등 수출 금지 조치할 듯(2024.11.26) (2) | 2024.11.27 |
서버 DRAM과 HBM이 2024년 3분기 DRAM 산업 매출을 전 분기 대비 13.6% 증가시켰다 (0)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