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PEG로 본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저평가 상태(2024.12.09)

2024.12.09

 

피터 린치가 사용했다는 주식이 싸냐 비싸냐를 알아보는 PE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의 적정 평가를 알아보는 PER이라는 지표에 성장을 더하여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매년 이익을 내는 주식이지만 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면 그 주식은 매수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주식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 엔비디아 주식이 많은 이익을 내고 있지만 그 이익의 성장률이 하락하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주식이 매수하기에 적절한가에 대한 찬반 양론이 있는 것입니다.

 

일부는 Nvidia가 현재 주가수익비율(P/E)이 58로 나스닥 100 지수 평균 P/E인 32보다 높기 때문에 과대평가되었다고 지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vidia는 뛰어난 성장으로 그 평가를 정당화해 왔습니다.

 

또한, Nvidia의 주가수익성장비율(PEG 비율)이 0.14에 불과하다는 점은 회사가 예측된 성장률을 감안할 때 매우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G 해석 방법:

  1. PEG가 1:
    • 일반적으로 주가가 적정하게 평가되었다고 간주합니다.
    • 회사의 이익 성장률이 현재 주가에 반영된 상태입니다.
  2. PEG가 1보다 작음:
    • 저평가된 주식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주가 대비 회사의 이익 성장률이 더 높아 투자 매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PEG가 1보다 큼:
    • 고평가된 주식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가가 이익 성장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투자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시:

  • 주가: 50달러
  • 주당순이익(EPS): 5달러
  • PER = 주가 ÷ EPS
  • 예상 이익 성장률: 15%

 

이 경우, PEG가 1보다 작으므로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하이닉스의 PEG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은 SK증권의 2024년11월28일 리포트입니다.

당시 주가는 168,300원이고 목표가는 300,000원이었습니다.

오늘 12월9일 주가 168,900원과 비슷합니다.

 

위 표에서 2024년 예상 주당 순이익은 24,648원으로 PER는 6.8배이고,

순이익 성장률은 2025년 주당 순이익 33,917원 나누기 2024년 주당 순이익 24,648원하면,

순이익 성장률은 37%가 나온다.

 

2025년 예상 순이익으로 본 PEG는 PER(6.8)/성장률(37)=0.18이 나온다.

PEG가 0.18로 1미만이므로 하이닉스의 주가는 저평가되었다고 본다.

 

또 증권사 예상대로 2025년  주가가 300,000원이되고, 순이익이 24.69조원이 달성된다면

PER는 300,000/33,917=8.84배가 된다.

순이익 성장률이 43,740나누기 33,917하면 1.29로 성장률은 29%가 된다.

2026년 예상 순이익으로 본 PEG는 8.84나누기 29하면 0.30으로 역시 1미만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