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31
금리 상승기에는 주식은 상승한다.
언제까지 상승하나? 어닝일드(주당순이익÷주가×100)가 금리보다 낮아질 때까지 상승한다.
1단계-->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기 시작하면 주가는 하락한다.
어느 정도 기간 조정을 받는다.
2단계-->이제 금리 상승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1년간 몇번 올릴 것인가등의 소식이 나오고,
하락하던 주식 시장이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큰 폭의 하락이 나오면 그때가 바닥이고
1~2일후에는 주식은 상승하기 시작한다.
3단계-->주식 시장은 중간 중간 조정을 받으면서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4단계-->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하여 채권수익률이
주가 수익비율보다 높아지면 주식 시장은 무너진다.
--------------------------------------------------------------------------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나스닥 또 3 반등 의문 제기한 골드만 | 한경닷컴 (hankyung.com)
미국 시장은 지난 금요일(1월28일), 일본 시장은 오늘(1월31) 상승으로 전환.
지금은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온 상태다.
첫번째 화살표가 1차상승(랠리 rally), 두번째 화살표가 확인 상승(follow-through).
확인 상승이 나오면 하락하던 시장이 상승으로 돌아선 것으로 본다.
1.아래는 미국 다우,나스닥, S&P그래프.
2.아래는 상승 신호 발생한 구글(알파벳)과 마이크로 소프트.
3. 일본 니케이는 오늘(1월31일) 상승 신호 발생.
4. 한국 코스피 지수는 1차 상승만 나온 상태로 연휴 끝나고 개장하는 목요일이나
금요일 거래량(거래대금) 증가하면서 상승하는 모양이 나와야 상승으로 전환하는 것임..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도 1차 상승(랠리)만 나온 상태로 2차 상승(확인 상승) 나와야 됨.
--------------------------------------------------------------
텐인텐[10년 10억 만들기] | 어닝 일드 (earning yield ) - Daum 카페
주식이 싼지 비싼지 판단 여부 (tistory.com)
어닝 일드 (earning yield )
주가수익률이란게 있죠(어닝 일드).
주당순이익을 현재 주가로 나눈 값입니다.
per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죠.
즉 어닝일드는 per의 역순입니다.
내가 보유한 주식이 1년에 몇%의 이익을 내나를 보여주는 값이죠.
그런데 이 어닝일드(주가수익률과)와 채권수익률은 비교해서
어닝일드가 좋으면(높으면) 채권을 팔고 주식을 사는 것이고,
채권수익률이 좋으면 주식을 팔고 채권을 산다는 겁니다.
복잡하지만 결론은 주식과 채권중에 이익이 많이 나는 쪽에
투자한다는 겁니다.
지금 몇몇분이 2000년 미국 닷컴 버블때와 비교해서 우려를 하는 분들이 있어서
그 당시와 지금을 비교해봅니다.
1.2000년 닷컴 버블시의 일부 기술주들의 per은 70~80배,
2.1999년부터 2000년3월까지 1년간 대부분 기술주가 포함된 나스닥은 100%상승,
3. 연준은 1999년6월부터 2000년5월까지 1년간 금리를 4.75%에서 6%로 인상.
물론 채권 금리도 6%이상으로 인상됐겠죠.
2000년 당시 퍼가 70배라면 어닝일드는 1.4%정도입니다.
그 당시 채권수익률이 6%이상인데 당연히 주식을 팔겠죠.
지금 2017년도 미국 시장 퍼는 20배정도입니다. 즉 어닝일드가 5%정도입니다.
하지만 미국 국채 2년물 수익률은 1.35%, 10년물은 2.3%정도 되죠.
즉 주식이 채권보다 수익률이 좋다는 얘기입니다.
아직 미국 시장은 거품이 아니다.
한국 거래소 주식 볼까요.
어제 코스피 2450포인트 일 때 시가총액 1592조입니다.
올해 거래소 순익익 140조원을 예상할 경우 코스피 PER는 11.37배.
PER을 뒤집어 놓은 주가수익률은 8.79%입니다.
어제자 국채 3년물 수익률은 1.72%, 회사채는 2.26%입니다.
어닝일드 8.79%와는 갭이 6%이상 차이네요. 갭이 너무 크죠.
이 갭이 2~3%까지 줄어들면 그때는 주식을 팔때를 생각해야 합니다.
재미로 하이닉스 어닝일드를 볼까요.
올해 주당 순이익 12,000원 정도 예상하면 12000원 나누기 현재가 71,200원하면,
16.8% 나오네요. 너무 싸죠.
'반도체-삼성전자-하이닉스-마이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낸드 제조사들은 200단이상 경쟁(2022.02.02) (0) | 2022.02.03 |
---|---|
2022년 서버 성장에 낙관적(2022.02.01) (0) | 2022.02.02 |
2021년4분기 PC출하량 3% 증가 (0) | 2022.01.28 |
SK하이닉스 4분기 실적 발표(2022.01.28) (0) | 2022.01.28 |
삼성전자 2021년4분기 및 연간 실적 발표 (0) | 2022.01.27 |